{{{#!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80, #fff, #fff, #fff,#003380)" {{{#!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fff> | }}}}}} | ||||||||||||||||||||||||||||||||||||||||||||||||||||||||||||||||||||||||||||||||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지정 유네스코 협동학교 ASPnet UNESCO Associated Schools Project Network | |||||||||||||||||||||||||||||||||||||||||||||||||||||||||||||||||||||||||||||||||
| ||||||||||||||||||||||||||||||||||||||||||||||||||||||||||||||||||||||||||||||||||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
<colbgcolor=#003380><colcolor=#fff>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서울大學校師範大學附設初等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895년 4월 16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국립[국립] |
교장 | 양형진 |
교감 | 박연화 |
교화 | 장미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576명[기준] |
교직원 수 | 48명[기준]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4[4]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국립초등학교[국립]이다. 서울대학교 부설이며 정식명칭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약칭은 서울사대부초, 서사부초,사대부초 등이 있다.2. 학교 연혁
- 1895년 4월 16일: 한성사범학교부속소학교 설립
- 1936년 4월 1일: 최초로 여자아동을 입학시킴
- 1936년 6월 1일: 을지로5가 경성사범학교 구내에 신축한 교사로 이전함(교실 수17개)
- 1945년 7월 5일: 시국의 정세 추이에 따라 휴교함
- 1945년 7월 24일: 조국 광복 후 첫 수업 개시(12학급)
- 1946년 6월 29일: 조국 광복 후 첫 졸업식 거행
- 1946년 8월 22일: 국립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앙국민학교라 개칭함(을지로교사), 국립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성동국민학교라 개칭함(용두동교사)
- 1947년 9월 1일: 을지로교사(본교)와 용두동교사(분교) 통합/제1대 김기서교장 부임
- 1948년 6월 5일: 국립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국민학교 제1회 졸업식 거행(남48, 여46, 총 94명)
- 1950년 6월 26일: 시국정세 급변에 따라 임시 휴교
- 1951년 2월 2일: 부산사범학교부속초등학교 내 임시사무소 설치하고 부산으로 내려온 직원아동으로 수업 개시
- 1951년 10월 26일: 부산시 서대신동 2가에 가교사 신축하여 수업 계속
- 1953년 7월 20일: 부산피난학교 폐교식 거행
- 1953년 9월 1일: 서울 을지로 사범대학 구내에서 수업 개시(13학급)
- 1954년 9월 8일: 제2대 이창우교장 부임
- 1957년 11월 11일: 교가제정발표(윤석중 작사 김성태 작곡)
- 1959년 10월 1일: 교기 새로이 제정 조제
- 1961년 1월 12일: 제3대 조석기교장 부임
- 1961년 4월 1일: 20학급편성
- 1961년 8월 29일: 제4대 권청자교장 부임
- 1963년 3월 1일: 19학급편성
- 1963년 4월 3일: 제5대 이지호교장 부임
- 1965년 11월 19일: 별관 3개 교실 인수
- 1967년 9월 15일: 교사를 본관으로 이전(총 42실)
- 1968년 5월 23일: 문교부지정 반공도덕생활연구발표회 개최
- 1969년 11월 29일: 제6대 최삼준교장 부임
- 1971년 7월 9일: 제7대 이혜우교장 부임
- 1974년 11월 7일: 연구공개회(산수·자연·음악과 학습지도 방법 및 평가에 관하여)
- 1975년 3월 1일: 제8대 윤석산교장 부임
- 1975년 6월 1일: 동숭동 199번지 구 법대 교사로 이전
- 1977년 12월 6일: 연구공개회(특별활동 지도방법 및 평가 개선)
- 1978년 3월 1일: 제9대 류수열교장 부임
- 1978년 11월 3일: 연구공개회(수업목표도달을 위한 수업체제 개선)
- 1980년 6월 6일: UNCSG J.S.A와 자매결연(자매부대)
- 1981년 5월 14일: 학교급식실(42.54평) 개관
- 1981년 10월 23일: 제10대 김공선교장 부임
- 1981년 11월 5일: 다목적강당(71.30평) 개관
- 1982년 5월 24일: 서울사범대학생 교육실습
- 1982년 12월 15일: 동요곡집 제1집 발간
- 1983년 2월 5일: 푸른교실 교지 발간
- 1983년 2월 25일: 부국연합지 초등교육 속간
- 1983년 11월 20일: 동요곡집 새싹들의 합창 제2집 발간
- 1984년 7월 25일: ‘교육의 언저리’(교생실습 낙수첩)발간
- 1985년 8월 27일: 일본 般橋市 海神국교와 자매결연
- 1986년 8월 28일: 브라질대건한글학교와 자매결연
- 1989년 3월 1일: 제11대 김병렬 교장 부임
- 1989년 8월 24일: 서울창경국민학교 아동 600명 전입
- 1989년 9월 2일: 신축교사 준공식(별관)
- 1991년 8월 12일: 학칙개정(규칙제843호)(귀국자녀반 설치 승인)
- 1992년 3월 5일: 귀국자녀 학급 신설(1학년 1개 학급)
- 1993년 3월 2일: 귀국자녀 학급 1학년 1학급, 2학년 1학급 편성
- 1993년 4월 8일: 전국국립대학부국교장연합회 개최
- 1994년 1월 10일: 싱가폴 한국인학교와 자매 결연
- 1994년 3월 2일: 귀국자녀 학급 3학년 1학급 신설
- 1994년 3월 4일: 입학식(일반학급 4학급 학급당 30명 편성)
- 1995년 3월 2일: 귀국자녀 학급 4학년 1학급 신설
- 1995년 11월 14일: 개교 100주년 기념 ‘현장교육개선을 위한 연구 논문집’ 발간
- 1996년 3월 2일: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로 개칭
- 1996년 10월 14일: 서울대 간호대생 보건실습
- 1996년 11월 9일: 어린이 소방대 최우수학교(내무부장관 표창)
- 1996년 12월 18일: 자매부대(J.S.A) 위문 및 트리 장식
- 1997년 3월 1일: 귀국자녀 학급 6학급 모집
- 1997년 3월 10일: 어학실 설치 운영
- 1997년 5월 3일: 교문 앞 시계탑 건립
- 1997년 6월 10일: 서울대학교 총장, 부총장 본교 내방
- 1997년 7월 5일: 미국초등교원 1,2학년 수업 참관
- 1997년 9월 1일: 제12대 강인복교장 부임
- 1997년 9월 12일: 귀국학급 수업 공개
- 1997년 9월 25일: 전국산업디자인전 학교 특별상 수상(대한상공회의소회장상)
- 1997년 11월 6일: 일본 쓰꾸바대학교수 일행 내방(수학과 수업 공개)
- 1997년 11월 8일: 전국고전읽기 백일장 단체상 수상
- 1997년 12월 9일: 미국초등교사 학교 방문(5학년 수업공개)
- 1998년 4월 30일: 인터넷실 설치
- 1998년 5월 30일: 국제교육이해의 날 행사
- 1998년 9월 30일: 프로젝션 TV전교실 설치 완료
- 1998년 10월 23일: 교내 환경정비 열린 울타리 조성
- 1999년 5월 14일: 베트남 교육관계자 방문 참관
- 1999년 6월 23일: 도쿄대 교수 일행 수업 참관
- 1999년 12월 30일: 학교교육계획서 우수학교 표창(교육부장관)
- 2000년 6월 8일: 교육행정연수반 47명 학교 참관
- 2000년 10월 10일: 나고야대 교수학생 일행 수업 참관
- 2001년 3월 1일: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로 개칭
- 2001년 9월 1일: 제13대 최윤석교장 부임
- 2001년 12월 28일: 교육과정 운영 우수학교 표창(서울시교육감)
- 2002년 8월 14일: 전교사 도장공사 완료
- 2002년 11월 21일: 서울특별시교육청 특별활동운영 우수학교 선정
- 2002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운영평가 우수학교 선정
- 2002년 12월 15일: 디지털도서관 개관
- 2002년 12월 16일: 5,6학년 스키체험학습
- 2003년 3월 3일: 주5일수업 협력학교 운영(수업일수 205일)
- 2003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교육청 특별활동 우수학교 선정
- 2004년 10월 30일: 학교평가 최우수상,「기본이 바로 된 어린이」최우수 학교 선정
- 2004년 12월 30일: 학교홈페이지 경연대회 대상
- 2005년 12월 30일: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선정
- 2006년 9월 1일: 제14대 전학도교장 부임
- 2006년 12월 22일: 특색 있는 방과후학교 운영 및 만족도 우수학교 표창(서울시교육감)
- 2006년 12월 30일: 「기본이 바로 된 어린이」우수 학교, 특별활동 우수학교 선정
- 2007년 2월 8일: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
- 2007년 11월 17일: 귀국초등학생을 위한 우리나라 길라잡이 워크북 발간
- 2007년 11월 21일: 교육인적자원부 상설시범학교 전국단위 발표회, 학교교육력강화 우수사례 발표회(귀국학생 특별학급 운영을 중심으로)
- 2007년 12월 5일: 북경대부속소학 방문(자매학교결연)
- 2008년 3월 6일: 새 교육과정 대비 창의적 재량활동 교재 개발적용(1,2학년)
- 2008년 3월 12일: 학생생활플래너 워크북 개발적용(2~6학년)
- 2008년 3월 18일: 독서논술 교육을 위한 생각노트 제작(1~6학년)
- 2008년 4월 1일: 특수학급 1학급개관
- 2008년 4월 11일: 2008 교원능력평가 선도학교 지정
- 2008년 4월 22일: 발명영재단 창단식
- 2008년 5월 21일: 중부교육청 다문화이해교실(CCAP)-방글라데시
- 2008년 8월 25일: 생태학습장(연못) 조성
- 2008년 8월 25일: 사물함 교체, 본관 특별실 냉난방공사
- 2008년 10월 28일: 교과부지정정책과제 운영보고회 및 전시회(기초학력 및 교과별 책임지도제 운영)
- 2009년 3월 7일: 영어전용실 개관
- 2009년 5월 6일: 지역공동 수학영재학급 개강식
- 2009년 10월 19일: 미술실,수학체험활동실 개관
- 2009년 12월 8일: 교육방법혁신연구팀 최우수팀 선정
- 2009년 12월 18일: 과학교육우수학교표창(서울시교육감)
- 2010년 4월 20일: 인조잔디운동장 완공
- 2010년 5월 12일: 119 동요부르기 놀이마당 금상
- 2010년 6월 7일: 어린이교통안전음악대회 금상
- 2011년 3월 17일: MLS 싱가포르 학교관리자, 교사 단체 학교 방문
- 2011년 3월 29일: 일본 조사 학습 연구회 본교 도서관 운영사례 탐방
- 2011년 4월 20일: 세계 책의 날 도서관 축제
- 2011년 5월 28일: ‘제33회 공군참모총장배 Space Cha년 le월 ge일: * 2011’ 우수 단체상
- 2011년 8월 30일: 마로니에꿈터 개관
- 2011년 9월 1일: 제15대 황장범교장 부임
- 2011년 10월 26일: 초등학교 국정도서 현장적합성 검토 및 통합본 개발 연구 발표회, 자기주도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토론형·협력형 전국수업공개
- 2012년 7월 11일: 스마트홀 리모델링 개관
- 2012년 9월 10일: 호주 시드니 Chatswood 초등학교 자매결연
- 2012년 10월 15일: 경인교육대학 교육실습학교로 지정
- 2012년 11월 14일: 개정교육과정 1,2G 국어·수학 적합성 검토 관련, 전국수업공개 및 보고회
- 2013년 11월 13일: 개정교육과정 3,4G 국어·과학 적합성 검토 관련, 전국수업공개 및 보고회
- 2014년 1월 24일: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로 개칭
- 2014년 6월 20일: 전국국립대학교부설초등학교연합회 워크숍 개최
- 2014년 10월 8일: 종합 학예 발표회
- 2014년 11월 5일: 5, 6학년 국정도서 현장 적합성 검토 연구학교 공개 보고회
- 2015년 10월 15일: 개교 120주년 기념 행사
- 2015년 11월 11일: 융합인재교육 리더스쿨 상설연구학교 보고회
- 2016년 9월 1일: 제16대 이형래교장 부임
- 2016년 11월 16일: 융합인재교육 리더스쿨 상설연구학교 2년차 보고회
- 2017년 8월 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SINARMAS WORLD ACADEMY 자매결연
- 2017년 12월 1일: 개정교육과정 3,4G 국어, 사회 교과서 적합성 검토 연구
- 2017년 12월 31일: 2017 대한민국미래교육박람회 최우수 기관 표창(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2018년 12월 7일: 개정교육과정 5,6G 과학, 도덕 교과서 적합성 검토 연구
- 2019년 2월 14일: 제72회 졸업, 졸업생 113명(총 졸업생 12,518명)
- 2020년 9월 1일:제17대 김귀숙 교장 부임
- 2021년 1월 15일: 제74회 졸업, 졸업생 108명(총 졸업생 12,733명)
- 2022년 9월 1일: 제18대 박연화 교장 부임
- 2023년 1월 13일: 제76회 졸업, 졸업생 104명
3. 교훈 및 상징
3.1. 교가
1절 훈련원 옛터에다 자리를 잡고
새벽녘 샛별처럼 빛나는 학교
참되고 씩씩하고 서로 정다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2절 연달아 피어나는 무궁화 처럼
언니네 뒤를이어 자라는 우리
저마다 뜻을 이뤄 나라를 빛낼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새벽녘 샛별처럼 빛나는 학교
참되고 씩씩하고 서로 정다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2절 연달아 피어나는 무궁화 처럼
언니네 뒤를이어 자라는 우리
저마다 뜻을 이뤄 나라를 빛낼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우리는 서울사대 부설어린이
보통 월요조회나 각종 행사 시간에 교가를 부른다.
3.2. 교화
교화 |
|
장미 건강, 행복, 광명을 의미 |
3.3. 교목
교목 |
|
은행나무 튼튼하고 꿋꿋하게 자라는 서울사대부의 어린이를 상징 |
4. 학교 생활
오래된 전통과 100명 정도를 뽑음에도 몇 천명이 지원하는 엄청난 입학 확률로 명성이 있는 학교여서 그런지, 꽤나 보수적이고 교칙이 엄격한 것으로 보인다. 요즘은 그나마 풀렸다.[6]공수와 같이 예절과 품위를 보이고 운동 분야에 소극적이다. 사실 공수하고 걸어다니는 건 1,2학년 때만 한다.
매일매일 플래너를 쓰고, 한자,에세이 공부에 독후감도 써야 해서 생활이 매우 빡빡한 편이다. 그래서 중학교에 가서 자유로운 분위기에 오히려 놀라는 학생들도 많다.
시설이 매우 좋고, 디지털 기기도 제공한다.
4.1. 주요 행사
서사부초는 매년하는 어린이날 기념 체육대회를 하고 가을 대운동회는 학예회와[7] 1년을 주기로 돌아가며 하고 있다. 단,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에는 코로나로 인해 못 했다.체험학습도 1년에 최소 3번정도는 간다. 역시 2020, 2021학년도에는 코로나로 인해 못 갔다.
5. 학교 시설
5.1. 신관
신관에는 1,2학년, 귀국학급의 교실과 급식실이 있다.5.2. 본관
3~6학년의 교실과 교무실, 보건실, 도서관, 미술실 등이 있다. 2022년 8월경 리모델링 공사를 했고, 현재 완공했다.5.3. 마로니에 꿈터
체육관, 음악실, 과학실 등이 있다. 본관 리모델링 시작 후에는 3학년 교실로 쓰였다.5.4. 부여중 예체능관
본관 공사로 인해 잠시 썻던 공간이다 부여중 건물이지만 빌려 쓰다 현재 본관을 쓰고 있다. 4학년부터 6학년의 교실과, 음악실, 교무실 등으로 쓰였다.5.5. 주요 부서
학교에 오케스트라, 마칭밴드, 스카우트, 명예경찰소년단 등이 있다.오케스트라
2학년부터 지원하고 3학년부터 활동할 수 있다. 현악기, 타악기, 관악기 같은 악기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이다. 2년에 한 번씩 전국대회에도 나가는데, 2017년에는 대상을 탈 정도로 실력이 높다. 2022년에는 아쉽게 2위를 했다. 또, 연말 정기연주회가 있다.
마칭밴드
2002년에 창단된 마칭밴드는 행진을 하며 연주하는 서울시 유일 초등학교 마칭밴드로, 현악기를 제외한 금관, 목관, 타악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3학년부터 단원 활동을 할 수 있다.[8] 매년 정기연주회를 한다.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주로 방송통신대, 이화장을 이용하며 혜화역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집이 멀어서 학부모가 태워다 주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학원 버스와 셔틀버스도 심심찮게 오는 편이다.7.1. 버스
- 통신대(이화장)/이화사거리/방송대앞 정류장: 100[9], 102[10], 104[11], 107[12], 109, 140[13], 143[14], 150[15], 160[16], 162[17], 273, 301[18], 601, 710[19], 2112, 종로07, 종로08
- 대학로입구.이화사거리 정류장: 종로03
- 이화동(이화장) 정류장: 7025
7.2. 철도
[국립] 2013년 부로 서울대학교로 무상반환되어 법인화되었으나 어디까지나 국립대학법인 산하인 이유로 여전히 국립학교로 분류된다.[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4] 여중과 붙어있다.[국립] [6] 단속은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7] 16년도 이후로 학예회는 각 학년별로 시행한다.[8] 연주하고 싶은 악기를 따로 연습해 가야 할 필요는 없지만, 악보를 보고 박자를 맞추는 등의 기본 음악 지식은 있어야 한다.[9] 용산구청→하계동 방향 한정[10] 동대문→상계동 방향, 역방향은 이화동(이화장) 정류장[11] 서울역→우이동 방향 한정[12] 동대문→민락동 방향, 역방향은 이화동(이화장) 정류장[13] 양재동→도봉산역 방향 한정[14] 개포동→정릉 방향 한정[15] 시흥대교→도봉산역 방향 한정[16] 온수동→도봉산역 방향 한정[17] 여의도→정릉 방향 한정[18] 장지동→혜화동 방향, 역방향은 이화동(이화장) 정류장[19] 상암동→수유역 방향 한정[20] 약 400m가량 떨어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