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2 23:55:47

서지수(조선)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58대

이광좌
제159대

정호
제160·161대

이광좌
제162대

홍치중
제163대

심수현
제164대

이의현
제165대

김흥경
제166대

이광좌
제167대

김재로
제168대

조현명
제169대

김재로
제170대

이종성
제171대

김재로
제172·173대

이천보
제174대

유척기
제175대

이천보
제176대

김상로
제177대

홍봉한
제178대

신만
제179대

홍봉한
제180대

윤동도
제181대

서지수
제182대

김치인
제183대

홍봉한
제184대

김치인
제185대

김상복
제186대

신회
제187대

김상복
제188대

한익모
제189대

김상복
제190대

신회
제191대

한익모
제192대

김상복
제193대

한익모
제194대

김상복
제195대

한익모
제196대

신회
제197대

한익모
제198대

김상철
제199대

김양택
제200대

김상철
제201대

서명선
제202대

김상철
제203대

서명선
제204대

정존겸
제205대

서명선
제206대

정존겸
제207대

김치인
제208대

김익
제209대

이재협
제210대

김익
제211대

채제공
제212대

홍낙성
제213대

이병모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제304대

이병모
제305대

심환지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제337대

이병모
제338대

심환지
제339대

이시수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문청공(文淸公)
서지수
徐志修
출생 1714년(숙종 40)
사망 1768년(영조 44)
재임기간 제181대 영의정
1767년 1월 9일 ~ 4월 15일
(음력 1766년, 영조 42년 12월 9일 ~ 영조 43년 3월 17일)
시호 문청(文淸)
본관 대구 서씨
일지
송옹, 졸옹
붕당 소론
부모 부친 - 서명균(徐命均, 1680 ~ 1745)
모친 - 청풍 김씨 김구의 딸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할아버지·아버지·본인 삼대가 재상을 지냈다.

2. 생애

영조 9년인 약관인 20세(1730년)에 진사시에 장원한 후 174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헌부 정언과 지평을 거쳐 1744년인 영조 20년에 홍문록에 피선되고 주서·부교리·수찬·교리·응교·이조정랑 등 청현직을 두루 역임하고 1750년 영조 26년 유신(儒臣)으로 호칭되는 옥당[1]의 장관을 비롯 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대사헌·예문제학·형조판서·호조판서 등을 지내고 영조 35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 사도세자를 모함한 김상로와 홍계희 등을 탄핵하였고 세자시강원의 빈객으로 사도세자를 교도하여 그 보호에 힘썼다. 사도세자가 죽고 훗날 정조가 되는 세손을 김귀주와 정후겸 등이 위협하자 세손보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정조에게 추앙을 받았다. 1765년인 영조 42년에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을 거쳐 1766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인 서명균은 경종 때 소론 중에 온건한 입장을 견지하였고 서지수 역시 소론 온건파로 탕평책에 힘썼다. 이는 그가 소론임에도 노론에게 상당한 호평을 받는 부분에서도 알 수 있다.[2]
영조실록 111권, 영조 44년 8월 1일 병진 1번째기사 1768년 청 건륭(乾隆) 33년 판 중추부사 서지수의 졸기.

판중추부사 서지수(徐志修)가 졸(卒)하였다. 서지수의 집안은 대대로 청렴하고 소박해서 잇따라 태부(台府) 에 올랐으나, 충신 염결(忠愼廉潔)함을 스스로 지니는 것이 가난한 선비와 같았다. 전후로 여러 번 바른 말을 올렸고 이미 정승에 들어가자 중외의 서민이 모두 기뻐하였다. 정승의 자리에 오래 있지 아니하여 비록 시행한 바가 없었으나 여정(輿情)의 신망이 끝까지 쇠하지 아니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졸하니 도성 백성이 시장을 파하고 서로 슬퍼하였다.
영조실록 111권, 영조 44년 8월 1일 병진 4번째기사 1768년 청 건륭(乾隆) 33년 서지수와 좌의정의 시호와 부의에 관한 일을 하교하다.

하교하기를,

"아! 서 판부사(判府事) 의 삼대(三代)를 내가 예전과 지금에 모두 보았고 모두 정승의 자리에 올랐으니, 드물게 있는 일이라고 이를 만하다. 하물며 삼대가 옛날에도 섬겼고 나를 섬겼으니, 나라를 위하는 참된 충성을 대대로 전하였다고 이를 만한데, 절혜(節惠)의 법을 어찌 늦출 수 있겠는가? 해조(該曹)로 하여금 본가(本家)에 신칙하여 곧 시장(諡狀)을 올리게 하고 바로 시호를 의논하여 석달 안에 거행함으로써 나의 권권(眷眷)한 뜻을 표시하게 하며, 고 좌의정[3]의 시호는 시장을 기다리지 말고 특별히 한결같이 거행하게 하라.

아! 나를 섬긴 두 정승에 대해 늙은 나이에 모두 시호를 의논하게 되니, 또한 어찌 우연한 것이겠는가? 창연(愴然)함을 깨닫지 못하겠다. 이제 대신이 아뢴것을 듣건대 벼슬이 정승 자리에 이르렀으나 청렴하고 가난하다고 하니 숭상할 만하다. 본래의 치부(致賻) 외에 제물(祭物)을 더 주고 그 아들은 복(服)을 마치기를 기다려서 조용(調用)하게 하라."

3. 여담

서지수는 3대가 정승을 지낸 기염을 토하였다.[4] 그의 증조부는 병조참의 서문상[5] 이고 조부는 숙종영의정을 역임한 서종태이다. 아버지는 경종~영조좌의정을 역임한 서명균이며 서지수 본인 역시 영의정을 역임하였고 동생인 서명빈은 이조판서와 판의금[6]에 올랐다. 외가는 노론이었는데 외조부 역시 숙종 때 우의정을 역임은 김구[7]였으며 김구의 아들이자 20년간 영의정을 역임해 김재로[8]와 그 아들 김치인[9]영의정을 역임하였다.[10] 더욱이 김구의 동생이자 김유의 아들인 김상로, 김약로 등 가까운 인척도 모두 영의정을 역임했다. 그의 아들인 정조때 서유신은 대제학에 이르렀고 손자이자 서유신의 아들인 서영보도 순조때 대제학을 역임하였으며 서영보의 아들이자 서지수의 증손자인 서기순도 철종 때 대제학을 역임하여 삼대가 대제학[11]을 역임하는 기염을 통한다. 그외 손자인 병조판서 서경보 등을 중심으로 서지수의 직계에서 정경이 쏟아져 나왔으며 영조의 비 정성왕후 서씨와 그 아비 달성부원군 서종제도 근친이었다. 촌수 차이가 조금 나나 역시 친척인 서종옥이 영조 때 이조판서를 지냈고 그 아들인 서명응과 서명선은 각각 정조 때 이조판서, 영의정을 역임했다. 서명응의 아들인 호조판서 서호수, 손자인 대제학 서유구북학파의 비조로 이 부자손으로부터 임원경제지, 해동농서, 완영일록, 화영일록, 대악후보, 고사십이집 등이 쏟아져나와 농예발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고 볼 수 있다.
[1] 홍문관의 별칭.[2] 노소론을 떠나 당시 이건창의 당의통략에서도 현상(賢相)으로 허여받았다고 한다.[3] 서명균을 의미한다.[4] 3대 모두 소론에 속하였다.[5] 형은 역시 소론으로 영의정까지 역임한 서문중이다.[6] 숭반(崇班)의 중신(重臣)으로 의정 다음인 종1품이다.[7] 노론이다.[8] 외삼촌이다.[9] 서지수와는 이종사촌이 된다.[10] 그럼 이 집안도 부자손 3대가 정승집안이다. 김구(우의정), 김재로(영의정), 김치인(영의정)[11] 대제학을 문형이라 칭할만큼 문치가 국시인 조선에서 대제학은 정승과 맘먹는 가문의 영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