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정호(인명)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58대 이광좌 | 제159대 정호 | 제160·161대 이광좌 | 제162대 홍치중 | |
제163대 심수현 | 제164대 이의현 | 제165대 김흥경 | 제166대 이광좌 | |
제167대 김재로 | 제168대 조현명 | 제169대 김재로 | 제170대 이종성 | |
제171대 김재로 | 제172·173대 이천보 | 제174대 유척기 | 제175대 이천보 | |
제176대 김상로 | 제177대 홍봉한 | 제178대 신만 | 제179대 홍봉한 | |
제180대 윤동도 | 제181대 서지수 | 제182대 김치인 | 제183대 홍봉한 | |
제184대 김치인 | 제185대 김상복 | 제186대 신회 | 제187대 김상복 | |
제188대 한익모 | 제189대 김상복 | 제190대 신회 | 제191대 한익모 | |
제192대 김상복 | 제193대 한익모 | 제194대 김상복 | 제195대 한익모 | |
제196대 신회 | 제197대 한익모 | 제198대 김상철 | ||
제199대 김양택 | 제200대 김상철 | 제201대 서명선 | 제202대 김상철 | |
제203대 서명선 | 제204대 정존겸 | 제205대 서명선 | 제206대 정존겸 | |
제207대 김치인 | 제208대 김익 | 제209대 이재협 | 제210대 김익 | |
제211대 채제공 | 제212대 홍낙성 | 제213대 이병모 | ||
}}}}}}}}} |
정호 관련 틀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nopad> | |
출생 | 1648년 11월 24일 (음력 인조 26년 10월 10일) |
사망 | 1736년 11월 15일 (향년 87세) (음력 영조 12년 10월 13일) |
충청도 충주목 (現 충청북도 충주시) | |
묘소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지장리 산 100 |
재임기간 | 제159대 영의정 |
1725년 6월 3일 ~ 1727년 6월 3일 (음력 영조 1년 4월 23일 ~ 영조 3년 4월 14일) | |
시호 | 문경(文敬) |
본관 | 연일 정씨[1] |
자 | 중순(仲淳) |
호 | 장암(丈巖) |
붕당 | 노론 |
부모 | 부친 - 정경연(鄭慶演, 1605 ~ 1666) 모친 - 민광환(閔光煥)의 딸 여흥 민씨 |
부인 | 최응천(崔應天)의 딸 강릉 최씨 |
자녀 | 2남 4녀 장남 - 정희하(鄭羲河, 1681 ~ 1747) 차남 - 정순하(鄭舜河) 딸 - 4명 |
[clearfix]
1. 개요
조선 숙종조 중기부터 영조조 때의 문신. 정철의 현손이며 송시열의 제자로, 영조조 초기에 민진원과 함께 노론 강경파의 수장이였다.2. 가족 관계
- 고조부 정철
3. 여담
정치적으로는 노론 강경파에 속했지만, 학문적으로는 의외로 호락논쟁에서 낙론, 즉 인물성동론을 지지했고 그의 제자인 김위재와 김정묵[4]도 낙론을 지지했다,야사에 따르면 30이 넘도록 과거 급제를 못하고 있었는데 꿈속에 산신령이 나타나 이름을 고(告)로 고치라고 말했다고 한다. 특이한 점은 보통 설화 속 등장인물들은 이러면 이름을 고치는데, 정호는 "내가 실력이 안돼서 떨어지면 몰라도 이름 때문에 떨어졌다고?"라는 생각에 빡쳐서 안 고쳤다. 그것도 꿈에서 여러번 산신령이 나와 거듭 고치라고 해도 그는 무시했고 결국 혼자 노력해서 35살에 급제했다고.
그 밖에 배나무에 관한 에피소드도 전한다. 78살 때 정호는 낙향해서 수안보에 살았는데, 어느 날 그 근처로 벼슬하러 온 이형좌(李衡佐)가 정호에게 인사를 올리러 왔을 때 정호가 배나무를 심는 것을 봤댄다. 늙어서 언제 먹을지도 모르는 배나무는 왜 심냐고 의아했던 이 사람은, 10년 후 충청도 감사가 되어서 88살이 된 정호를 다시 찾았다. 그런데 정호가 그때 갖다준 배가 10년 전에 심은 그 나무에서 따온 것이었다.
윤승운이 만화로 이 사람에 대하여 그린 바 있다. 이 만화에서 은퇴하여 배나무를 심은 정호에게 그 벼슬아치가 배는 열매를 맺자면 몇년은 걸리지 않습니까? 말했는데 당신 나이가 이제 여든인데 언제 그거 먹을려고? 은근히 비아냥이 담겨져 있었다는 것이다. 정호도 그 말을 이해했지만 그냥 덤덤하게 나무를 심고 신경도 안 썼다. 그리고, 10년 지나 그가 정호랑 배를 먹으며 맛있다고 감탄하자 정호는 웃으면서 "누가 꼭 자신이 먹고자 뭘 키우겠나? 이 배나무에서 열린 배를 다른 사람이 먹으면 그만 아니겠나?" 라며 10년전 그런 말을 한 그 사람을 점잖게 타일렀다고 한다. 그 사람은 부끄러워하며 사죄했지만 정호는 자네를 꾸짖고자 말하는 게 아니니 그렇게 사죄할 거 없다면서 같이 배를 먹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