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214대 심환지 | 제215대 이시수 | 제216대 이병모 | 제217대 서매수 | |||
제218대 이병모 | 제219대 김재찬 | 제220대 서용보 | 제221대 한용구 | |||
제222대 김재찬 | 제223대 남공철 | 제224대 이상황 | 제225대 심상규 | |||
제226대 이상황 | 제227대 조인영 | 제228대 권돈인 | 제229대 정원용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29대 정원용 | 제230대 조인영 | 제231대 권돈인 | |||
제232대 김흥근 | 제233대 김좌근 | 제234대 정원용 | ||||
제235대 김좌근 | 제236대 정원용 | 제237대 김좌근 | }}} | |||
제237대 김좌근 | 제238대 조두순 | 제239대 이경재 | 제240대 김병학 | |||
제241대 정원용 | 제242대 김병학 | 제243대 홍순목 | 제244대 이유원 | |||
제245대 이최응 | 제246대 서당보 | 제247대 홍순목 | 제248대 김병국 | |||
제249대 심순택 | 제250대 김병시 | 제251대 김홍집 |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306대 이시수 | 제307대 서용보 | 제308대 이시수 | 제309대 서매수 | |||||
제310대 이경일 | 제311대 한용구 | 제312대 서용보 | 제313대 이시수 | |||||
제314대 김재찬 | 제315대 한용구 | 제316대 김재찬 | 제317대 김사목 | |||||
제318대 남공철 | 제319·320대 이상황 | 제321대 이존수 | 제322·323·324대 이상황 | |||||
제325대 심상규 | 제326대 홍석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26대 홍석주 | 제327대 박종훈 | 제328대 김홍근 | |||||
제329대 정원용 | 제330대 권돈인 | 제331·332대 김도희 | }}} | |||||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3대 박종훈 | 제334대 김홍근 | 제335대 김홍근 | |||||
제336대 이헌구 | 제337대 조두순 | 제338대 박회수 | 제339대 조두순 | |||||
제340대 이유원 | 제341대 김병학 | 제342대 강로 | 제343대 이최응 | |||||
제344·345대 김병국 | 제346대 송근수 | 제347대 김병국 | 제348대 김홍집 | |||||
제349대 김병시 | 제350대 김홍집 | 제351대 김병시 | 제352대 김홍집 | |||||
제353대 조병세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340대 서용보 | 제341대 김관주 | 제342대 이경일 | 제343대 김달순 | |||||
제344대 서용보 | 제345대 김재찬 | 제346대 김사목 | 제347대 남공철 | |||||
제348대 임한호 | 제349대 이서구 | 제350대 심상규 | 제351대 이존수 | |||||
제352대 정만석 | 제353대 김이교 | 제354·355대 박종훈 | ||||||
제354·355대 박종훈 | 제356대 이지연 | 제357대 조인영 | 제358대 정원용 | |||||
제359대 권돈인 | 제360대 김도희 | 제361대 박회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2대 박영원 | 제363대 김좌근 | 제364·365·366대 조두순 | }}} | ||||
제367대 이경재 | 제368대 임백경 | 제369대 류후조 | 제370대 홍순목 | |||||
제371대 한계원 | 제372대 박규수 | 제373대 김병국 | 제374대 김병덕 | |||||
제375대 심순택 | 제376대 김병시 | 제377대 김유연 | 제378대 조병세 | |||||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출생 | 1821년 |
사망 | 1879년 (향년 58세) |
시호 | 문헌(文獻) |
본관 | 신 안동 김씨 |
자 | 경교(景敎) |
호 | 영초(穎樵) |
부모 | 부친 - 김수근(金洙根, 1798 ~ 1854) 모친 - 풍양 조씨 조진택(趙鎭宅, 1746 ~ 1795)의 딸 |
부인 | 정부인 - 파평 윤씨 계부인 - 파평 윤씨 2계부인 - 성주 이씨 |
자녀 | (양자) - 김승규(金昇圭, 1861 ~ ?) |
[clearfix]
1. 개요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2. 생애
철종의 장인이 된 김문근이 그의 숙부다. 철종비 철인왕후 김씨와는 사촌지간인 셈. 동생으로는 김병국이 있다.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일원이었다. 세도가의 자제 답게 1853년 급제한 이후 곧바로 대사헌과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권으로 안동 김씨 세도 정치가 막을 내렸음에도 흥선 대원권과의 친분 관계로 인해 동생 김병국과 함께 중용되어 1864년 이조판서가 되었다가 이듬해 공조판서, 좌찬성을 거쳐 좌의정으로 승진되었다. 그리고 실록 총재관이 되어 철종 실록을 편찬하고 찬집소총재관이 되어 대전회통을 완성하였다.개화에 어느 정도 생각이 있었던 동생 김병국과 달리 대표적인 보수 척화론자로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 탄압을 적극적으로 주장했고, 당시 척화론을 주장하던 이항로를 흥선 대원군에게 천거해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게 하였다. 영의정을 거쳐 1875년 영돈녕부사가 된 뒤 강화도 조약 체결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사망하기 직전에도 인천의 개항만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을 정도로 철저한 척화론자였다.
3. 당백전의 입안자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좌의정 김병학이 아뢰기를, "백성들의 생활은 어렵고 재정은 다 떨어졌는데 건축 공사를 크게 벌이고 있으므로 공사(公私) 간에 일을 더는 지탱해 나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신은 이에 밤낮으로 근심하고 두려워하면서 어떻게 하면 잘 조절하여 메워 나갈 수 있을까 생각하였지만 아직 그 방책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돈이라는 것은 경중을 잘 맞추어 준절하여 쓰는 물건입니다. 옛적에 당십전이나 당오전을 쪼개어 당이전이나 당삼전으로 만들어 쓴 법은 모두 일시적으로 임시변통한 정사였습니다 지금 나라의 재정이 몹시 고갈된 때에 응당 이익되는 것과 손해보는 것을 절충해서 쓰는 원칙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당백대전(當百大錢)을 주조하여, 널리 쓰이고 있는 통보(通寶)와 함께 사용한다면 재정을 늘리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감히 신의 좁은 소견을 대번에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시임 대신(時任大臣)과 원임 대신(原任大臣), 의정부 당상(議政府堂上官)에게 하문하시기를 바랍니다."하니, 하교하기를, 진달한 것이 아주 좋다. 속히 시행하도록 하라."하였다. - 고종 3년(1866년) 10월 30일 2번째 기사 |
흥선대원군 집권 시절 경복궁 중건을 위해 찍어낸 당백전은 초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조선경제를 엉망으로 만들었다. 상평통보 최고액권이 당이전이었으니 갑자기 50배의 주화를 시장에 쏟아내게 되어 경제가 엉망이 되었다. 그 입안자가 바로 김병학이다.
4. 대중매체
사극 명성황후에서는 박영지가 연기했다. 대원군의 거의 유일한 평생지기 친구로 나온다. 흥선대원군을 물심양면 돕는가 하면 흥선대원군이 섭정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고종과 화해하라며 주장하고 민승호 일가가 폭사할 때도 흥선대원군을 지지하는 일파가 벌인 일이라며 흥선대원군의 무죄를 주장한다. 흥선대원군이 어려울 때도, 가택에 연금을 당할 때도 항상 흥선대원군 옆에만 있는 사람이다. 어느 정도냐면 죽기 얼마 전 모두가 명성황후의 편에 서자 "자네들은 중전 마마의 편에 서시게! 나마저 떠나면 누가 대원위의 편에 서 있겠나?"라고 말하는 것이 묘미.배우 박영지의 나이 때문인지 사실 김병기보다 3살 어린데 여기서는 형님으로 나오며 안동 김씨의 일파인 김좌근과 아들 김병기, 친동생 김병국 앞에서는 대원군의 편에 서라고도 한다(...)
폭군 고종대왕 일대기에선 왕이 전쟁에 나간 사이 가문의 수장인 김좌근이 역모를 기획하자 이에 반대했으나 설득에 실패하고, 이에 김좌근과 결별하고 평양에 있는 왕에게 이를 알렸다. 덕분에 역모의 실패로 가문이 몰락하는 와중에도 멸문까지는 막을 수 있었다. 전쟁 후 회담에서 청이 서구열강들에게 힘을 못 쓰는 모습을 보게 되면서, 원역사와 같은 보수 척화론자와는 거리가 있는 행보를 보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