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1:41:32

조병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조병세(프로게이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조병세(1949)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
총리대신
조선 내각총리대신
초대

김홍집
초대

김홍집
제2대

박정양
제3대

김홍집
제4대

김병시
제5대

윤용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선 의정
제6대

김병시
제7대

심순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
제1대

심순택
제2대

김병시
제3대

심순택
제4대

윤용선
제5대

조병세
제6대

윤용선
제7대

심순택
제8대

윤용선
제9대

심순택
제10대

윤용선
제11대

이근명
제12대

윤용선
제13대

이근명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대신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제14대

민영규
제15대

조병호
제16대

이완용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제16대

이완용
}}}}}}}}}}}}
조병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수구파
守舊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종
(1873 ~ 1882)
사대당 (친청파)
김병시 김보현 남정철 명성황후 민겸호
민승호 민영소 민영익 민영휘 민태호
송병준 이완용 조병세 조병식 흥인군
고종
(1882 ~ 1897)
사대당 (친청파)
김병시 김성근 남정철 명성황후 민병석
민영소 민영익 민영휘 민종묵 박제순
송병준 조병세 조병식 조영하 홍종우
대한제국
(1897 ~ 1910)
친청파 (사대당) 친러파
남정철 민영소 김병시 민병석 이근택
조병세 홍종우 이범진 이용익 조병식
일제강점기 조선
(1910 ~ 1945)
친일반민족행위자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파일:투명.png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병시
제2대

정범조
제3대

김홍집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정범조
제7대

민영휘
제8대

이호준
제9대

박정양
제10대

한규설
제11대

이종건
제12대

이하영
제13대

조병식
제14대

정낙용
제15대

임상준
제16대

신기선
제17대

김가진
제18대

조병세
권한대행

김가진
제19대

민영소
제20대

박정양
제21대

심상훈
제22대

민종묵
제23대

이근택
제24대

한규설
제25대

서정순
제26대

김윤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좌의장
우의장
조병세 정범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부의장
초대

김영수
제2대

어윤중
제3대

신기선
제4대

윤치호
제5대

이하영
제6대

윤치호
제7대

홍종억
제8대

서정순
제9대

김가진
제10대

이유인
제11대

이용태
제12대

이도재
제13대

이종건
제14대

이근호
제15대

이건하
제16대

김가진
제17대

이근호
제18대

이종건
제19대

이근상
제20대

이재곤
제21대

성기운
제22대

신기선
제23대

이근상
}}}}}}}}}}}}

경술국치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555; 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배경 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전개 운요호 사건 · 강화도 조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영일동맹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 정미 7조약 · 대한제국군 해산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경술국치
관​련 인​물
<colbgcolor=#000><colcolor=#FFF>을사조약
관련자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민영기 · 이하영 · 이재극 · 이토 히로부미 · 하야시 곤스케
정미​7조약
관련자
이완용 · 임선준 · 고영희 · 이병무 · 조중응 · 이재곤 · 송병준 · 이토 히로부미
경술국치
관련자
이완용 · 박제순 · 고영희 · 조중응 · 민병석 · 이병무 · 윤덕영 · 조민희 · 데라우치 마사타케
기타 인물 조선 총독 · 왕공족 · 이왕 · 조선귀족
영​향
순국 지사 민영환 · 박승환 · 이범진 · 조병세 · 황현 · 홍범식
저항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최익현 · 신돌석 · 임병찬 · 이인영 · 허위 · 이강년 · 홍범도) · 13도 창의군 · 헤이그 특사 (이상설 · 이준· 이위종)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안중근) · 오적 암살단 (나철) · 황제 대리 의식 집행 거부 & 관료 암살 시도 (남정철 · 박영효 · 이도재)* · 시일야방성대곡 (장지연)
기타 한일병합 (일제강점기 · 한국통감부 · 조선총독부 · 무단 통치 · 친일반민족행위자 · 토지 조사 사업) · 일본어 잔재설 · 식민사관 · 식민지 근대화론 · 한일 무역 분쟁
관련 문서 식민지 · 강점기 · 병합
* 박영효 등이 고종의 퇴위에 협조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다 처벌된 사건은 이완용이 고종 퇴위를 반대하던 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있음}}}}}}}}}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조선 정승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파일:조병세.jpg
출생 1827년 6월 2일
한성부 남부 낙산방 회동계 회동
(現 서울특별시 중구)[1]
사망 1905년 12월 1일 (향년 78세)
한성부
본관 양주 조씨
자 / 호 치현(穉顯) / 산재(山齊)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
종교 유교 (성리학)
상훈 대훈위 금척대수장 (1905)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부모 부친 - 조유순(趙有淳, 1803 ~ ?)
모친 - 대구 서씨 서직수(徐稷修, 1760 ~ 1823)의 차녀
형제자매 남동생 - 조병창(趙秉昌)
부인 광산 김씨 - 김준현(金準鉉, 1793 ~ ?)의 딸
자녀 장남 - 조태희(趙台熙, 1857 ~ ?)
장녀 - 한산 이씨 이용직(李容稙, 1852 ~ 1932)의 처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이용직이 그의 사위이며, 한진그룹 조중훈의 조부 조병규(趙秉圭)는 그의 8촌이다.

2. 생애

양주 조씨음서로 참봉에 임명되었다가 32살의 조금 늦은 나이에 1859년(철종 10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사관(史官)이 되고 1864년(고종 1년) 실록청 도청 낭청으로서 《철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흥선대원군이 실각하면서 조씨가 본격적으로 기용될 때 1874년 함경도 암행어사, 1877년 대사헌에 승진되었고 이어 의주부윤, 다시 대사헌, 1887년 공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예조·이조판서, 1889년 한성판윤(서울시장)을 지내고 그해 우의정에 올랐다. 1893년 좌의정이 되었으나 이듬해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정계를 떠나 경기도 가평에 은거하였다.[3]

1896년 폐정개혁을 위하여 시무(時務) 19조를 상소하였고, 1898년 중추원의장(中樞院議長)과 의정대신(총리대신)을 역임하였다. 이때 독립협회의 주된 표적이었다. 그래서 국왕의 고문인 특진관(特進官)에 임명되었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1900년 다시 입궐하여 국정개혁을 건의하였다.

1905년 10월 을사조약 체결 이후 78세의 노구[4]를 이끌고 상소를 올리고 고종을 알현하려 했으나 저지당한다. 이후 민영환 등의 관리들과 함께 백관을 이끌고 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시위를 했으나 강제 해산, 연금당했고 다시 풀려나자 대한문 앞에서 시위를 했으며 다시 쫓겨났다.

11월 28일 시종부 무관장 민영환이 한일 협상 조약을 맺은 대신들을 처벌하라고 소두(疏頭; 상소의 대표)로서 상소하였으나 윤허되지 않자 이날 다시 상소하였는데 역시 윤허되지 않았다.

11월 29일 소두(疏頭)[5] 이하를 잡아들이라는 명령이 철회되었다.

그러나 다음날인 11월 30일 민영환이 비분강개하여 칼로 자살하였다. 이날 민영환에게는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의정대신이 추증되었고 시호도 내려졌다. 같은 날 영돈녕사사 심순택 등이 박제순, 이지용, 이완용, 이근택, 권중현오적을 처단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다음날인 12월 1일 조병세가 최후의 유서를 남기고 마지막 상경을 하여 일본군이 쫓아내자 가마에서 음독 자결했다. 이날 민영환에게 대훈위 금척대수장(大勳位金尺大綬章)이 내려졌다.

다음날인 12월 2일 고종은 "졸(卒)한 특진관 조병세는 나라를 근심하여 절개를 지켜 죽었다."라고 하면서, 대훈위 금척대수장을 내리도록 하였다.

12월 3일 충정공 조병세, 충정공 민영환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충성과 절개가 매우 가상하다고 하여 치제(致祭)하는 의식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1962년 조병세, 민영환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1] 지금의 회현동1·2가·충무로1가·남대문로3가 일대.[2] 본래는 경기도 시흥에 묻혀 있었으나 2011년 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3]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 일대에 이전부터 양주 조씨 집성촌이 있었다.[4] 한규설 등과 21살, 민영환과 34살 차이가 난다. 당시 대한제국에 남은 신료 가운데 가장 원로급 노신이라 할 만한 인물이다.[5] 대표로 상소한 자. 민영환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