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09:56:51

이근명(1840)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
총리대신
조선 내각총리대신
초대

김홍집
초대

김홍집
제2대

박정양
제3대

김홍집
제4대

김병시
제5대

윤용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선 의정
제6대

김병시
제7대

심순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
제1대

심순택
제2대

김병시
제3대

심순택
제4대

윤용선
제5대

조병세
제6대

윤용선
제7대

심순택
제8대

윤용선
제9대

심순택
제10대

윤용선
제11대

이근명
제12대

윤용선
제13대

이근명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의정대신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제14대

민영규
제15대

조병호
제16대

이완용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제16대

이완용
}}}}}}}}}}}}
조선귀족 자작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대한제국 제11·13대 의정
이근명
李根命 | Lee guen-myeng
본관 전의 이씨
출생 1840년 1월 21일
경기도
사망 1916년 6월 11일 (향년 75세)
재임기간 대한제국 제11대 의정
1903년 1월 22일 ~ 5월 15일
대한제국 제13대 의정
1903년 9월 12일 ~ 1905년 1월 ?일
직업 정치가, 관료
종교 유교(성리학)
작위 조선귀족 자작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1. 개요

李根命, 1840~1916

조선 말의 문신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순구(舜九)이며, 호는 동미(東眉)이다. 이흥민의 아들이었으나, 이시민에게 입양되었다.

2. 생애

1871년 과거에 급제한 뒤 관직 생활을 하였고 1886년에는 이조참판, 1898년에는 내부대신이 되었다.

1895년 춘천부관찰사가 되고 이 해부터 여러 차례 궁내부 특진관을 역임하였다. 1896년에는 평안남도 관찰사가 되어 평안남도 판사를 겸임하였다. 1898년 비서원경·내부대신으로 발령 받았고, 의정부찬정을 겸하였으며, 이 해부터 여러 차례 태의원경을 역임하였다. 1899년에는 중추원의관·시종원경·장례원경·홍문관학사로 임명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일본군에게 구금되었으며, 그 해에 4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1등 태극장을 받았다.

그 이후로는 일제에 순응하여 국권 피탈에 협력하게 된다. 1907년 대한제국을 방문하는 일본 황태자를 환영하기 위하여 조직된 신사회 발기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민영규와 함께 국기를 들고 앞길을 인도하여 숙소 앞에서 만세를 불렀고, 규장각 지후관이 되었으며,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대훈이화대수장을 받았다.

1908년 대한산림협회의 명예회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1910년 3월에는 친일단체 일진회의 합방청원운동에 동조하는 협성회를 발기하고 임원으로 활동하며 일제의 국권 침탈에 협조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자작의 작위를 받았고, 1911년 1월 13일에 5만원의 은사공채를 받았으며 1912년 8월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5년에는 경성협찬회에 기부금을 내고 특별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16년 6월 사망했고 같은 해 9월 손자 이충세(李忠世)가 그 작위를 습작한다.


3. 둘러보기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거부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