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한규설 | |||
제11대 이종건 | 제12대 이하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정낙용 | 제15대 임상준 | |||
제16대 신기선 | 제17대 김가진 | 제18대 조병세 | 권한대행 김가진 | 제19대 민영소 | |||
제20대 박정양 | 제21대 심상훈 | 제22대 민종묵 | 제23대 이근택 | 제24대 한규설 | |||
제25대 서정순 | 제26대 김윤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좌의장 | 우의장 | |||
조병세 | 정범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부의장 | ||||
초대 김영수 | 제2대 어윤중 | 제3대 신기선 | 제4대 윤치호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윤치호 | 제7대 홍종억 | 제8대 서정순 | 제9대 김가진 | 제10대 이유인 | |||
제11대 이용태 | 제12대 이도재 | 제13대 이종건 | 제14대 이근호 | 제15대 이건하 | |||
제16대 김가진 | 제17대 이근호 | 제18대 이종건 | 제19대 이근상 | 제20대 이재곤 | |||
제21대 성기운 | 제22대 신기선 | 제23대 이근상 | }}}}}}}}}}}} |
성기운 관련 틀 | |||||||||||||||||||||||||||||||||||||||||||||||||||||||||||||||||||||||||||||||||||
|
조선귀족 남작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대한제국 중추원 부의장 성기운 成岐運 | Seong Ki-un | |
성명 | <colbgcolor=#fff,#191919>성기운 (成岐運) |
호 | 치암 (痴菴) |
자 | 봉서 (鳳瑞) |
본관 | 창녕 성씨 (昌寧) |
출생 | 1847년 (헌종 13) 12월 10일 |
충청남도 공주시 | |
사망 | 1924년 11월 27일 (향년 77세) |
직업 | 관료, 외교관 |
종교 | 유교 (성리학) |
작위 | 조선귀족 남작 |
약력 | 대한제국 중추원 부의장, 특명전권공사 농상공부대신, 장례원경 조선귀족 남작, 조선유교대동회 회장 경학원 대제학, 선만협회 총재 |
비고 |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 대한제국 시기의 정치인, 외교관, 친일반민족행위자.개화파 정치인으로 동학농민운동 때 청나라의 도움의 요청하는 등 본래는 박제순 등과 함께 친청파였으나 이후 친러 성향을 보이며 여흥 민씨 세력과 함께하였다. 하지만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민씨 세력이 몰락하자 친일파로 전향해 한일 강제 병합에 협조하며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었고 경술국치 이후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는다. 이후에도 친일 행적을 이어갔고 사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2. 생애
1847년 (헌종 13년) 12월 10일, 충청남도 공주에서 노론 양반 가문의 자식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창녕이다.1880년 과거에 급제해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오스트리아, 영국, 독일 등 여러 나라의 공사로 활동했고 1900년 일본 공사가 되었다.
1902년 철도원 총재, 1904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관찰사, 1905년 충청북도 관찰사, 1906년 8월 경기 관찰사를 차례로 역임했다. 같은 해 11월 농상공부대신이 되었다. 1907년 이완용 내각에서 중추원 부의장이 되었다.
1910년 국민협성회의 한일 합병 실행 추진 단체인 한국평화협회에서 서무부 총장이 되었다. 이와 같은 친일 행적으로 일제에게 남작 작위를 받았다.
한일 합병 이후 1911년 은사공채 2만 5000원을 받고, 다음 달 작기본서봉수식에 참가해 정식으로 남작 작위증을 받았다. 1915년에는 조선총독부의 조선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시정사업을 선전하기 위한 친일 단체의 정회원으로 기부금을 냈다. 유교대동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1924년 경학원 대제학으로 활동하다가 1924년 11월 27일 사망했다.
사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고,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으며 친일파 705인 명단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3. 여담
- 한국 병합 기념장, 다이쇼 덴노 즉위 기념 대례 기념장을 받았다고 한다.
4. 같이 보기
박제순 내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차수 | 제1차 | 제2차 |
내부대신 | 이지용 | 박제순 | |
농상공부대신 | 성기운 | 조중응 | |
군부대신 | 권중현 | ||
법부대신 | 이하영 | 고영희 | |
탁지부대신 | 민영기 | 고영희 | |
학부대신 | 이완용 | 이용직 | |
※ 외부대신은 을사조약으로 소멸됨. ※ 군부대신은 대한제국 군대해산으로 소멸됨. | |||
(김홍집 내각 · 박정양 내각 · 김병시 내각 · 윤용선 내각 · 심순택 내각 · 조병세 내각 · 이근명 내각 · 조병식 내각 · 박제순 내각 · 민영규 내각 · 조병호 내각 · 이완용 내각)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