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17:23:07

천궈푸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중화민국 CC단 총수
천궈푸
陳果夫
파일:천궈푸 군복사진II.jpg
출생 1892년 10월 27일
청나라 절강성 호주부
(現 저장성 후저우시 우싱구)
사망 1951년 8월 25일
중화민국 타이베이
본명 천쭈다오(陳祖燾, 진조도)
정체 陳果夫
간체 陈果夫
한국식 독음 진과부
영문 Chen Guofu
과부(果夫)
국적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대만)
학력 육군강무학교 및 황푸군관학교
직업 군인, 정치가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기타5.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가로 본명은 천쭈다오.

2. 생애

1892년 저장성 후저우시에서 태어았다. 신해혁명 당시 삼촌 천치메이와 함께 봉기에 참가했으나 이 과정에서 폐결핵을 앓아 평생을 요양하면서 지내야했다.

이후 계축전쟁에서 천치메이와 함께 상하이 제조창 공격에 참가했으며, 천치메이의 사망 이후에는 그의 측근이었던 장제스의 도움을 받았다. 이후 육군강무학교와 황푸군관학교를 마친 후, 중국 국민당의 군대인 국민혁명군에 복무하며 국공내전, 중일전쟁에 참전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중화민국 중앙평의회 중앙위원 등이 있다.

1947년 저우포하이의 감형을 요구하는 편지를 장제스에게 보냈으며 국부천대 이후 1951년 병사했다.

한편, 생전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기도 했는데, 1912년 상하이에서 신규식이 결성한 독립운동단체인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에 쑹자오런·천치메이·후한민 등과 함께 참여하여 활동하였으며 1919년 이후 중국 국민당의 지도급 인사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자금을 지원하고, 임정 요인들의 신변 보호에 힘쓰는 등 한국독립운동에 꾸준히 협조하였다.

1932년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 직후 장제스김구의 면담을 주선하여, 한국 독립군 간부 양성을 위한 남경중앙군관학교 한인반을 특설하여 이후 한인을 입학시키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또 1940년 충칭 임시정부가 한국광복군을 창설할 수 있도록 주선하였고, 1942년 충칭에서 열린 중한문화협회 창립대회에서 이승만 등과 함께 명예이사로 추대되었다. 이후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지속적으로 임시정부의 활동자금을 지원하였다.천궈푸의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3. 가족관계

천궈푸의 작은 아버지는 중화민국의 혁명가이며 정치가로 유명한 천치메이이다. 또한 중화민국의 정치가인 천리푸는 그의 동생이다. 장제스의 두번째 부인인 천제루는 천궈푸의 친척 동생이다.

4. 기타

1966년 대한민국 정부대한민국 건국에 대한 천궈푸의 공헌을 기리는 의미로 건국훈장을 추서했다.

5. 매체에서

호이4에서 중화민국 정치고문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