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3:29:21

성진우(나 혼자만 레벨업)/아이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성진우(나 혼자만 레벨업)
파일:성진우1.png

성진우 관련 문서

작중 행적 · 아이템 · 능력 · 인간관계 · · 게임에서의 모습

1. 개요2. 입수난이도 불명3. 입수난이도 : 없음4. 입수난이도 : E급5. 입수난이도 : D급6. 입수난이도 : C급7. 입수난이도 : B급8. 입수난이도 : A급9. 입수난이도 : S급

1. 개요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주인공 성진우가 획득한 아이템중 입수난이도와 효과가 드러난 아이템을 서술하는 문서

2. 입수난이도 불명

3. 입수난이도 : 없음

4. 입수난이도 : E급

5. 입수난이도 : D급

6. 입수난이도 : C급

전직 퀘스트 이후부터 행적을 감췄지만, 가끔씩 '단검 쇄도'를 쓸 때마다 다른 단검들과 같이 나왔다. 웹툰 후반부에 한국 헌터 협회장인 고건희를 죽이고 도주하는 혹한의 군주에게 성진우가 '단검쇄도'를 써서 카사카의 독니가 혹한의 군주 몸에 박혀 그대로 소실되었다가 군주들과의 회의 때 혹한의 군주가 잡고 있는 것을 마지막으로 분량이 없어졌다. 그래서 독자들은 성진우의 근본무기라면서 너무나도 그리워하고 있다. 여담으로 카사카의 독니 수준으로 평가받은 단검이 3천만원이라는 것을 보면 이것 역시 그 정도 가격일 듯하다.

7. 입수난이도 : B급

8. 입수난이도 : A급

9. 입수난이도 : S급

에필로그에서 어금니의 탐욕의구슬을 지팡이 모양으로 개조할때 특별한 목재가 있다고 언급되는데 그것이 정황상 세계수의 파편일것으로 보여진다. 신수를 제작하고 남은재료중 하나가 세계수의 파편이기도 하다.[8]



[1] 300만원이다.[소실됨] [3] 애니메이션에선 빨간색이다[4] 전문가의 말로는 1억은 넘을 거라고 서술되었다.[5] 웹툰에선 이 장면이 생략되었다.[6] 보통의 마법효과 증폭 아이템은 20%에서 30%가 한계고 최고의 장인이 최고의 장비로 만든 것이 50%를 약간 넘는다고 한다.[7] 아무리 좋은 장인이 제작해도 1.5배밖에 안되어서 헌터들 사이에서는 엄청나게 끝내주는 아티팩트. 최종인이 이걸 보면 돈다발을 들고 벼를거라는 감정사의 언급이 있다. 다행히 팔기를 포기했을 때 그림자 군단에서 환호성이 울렸다.[8] 몽둥이 길이가 빌라 높이쯤 된다. 오염된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게 2m도 안된다.[9] 세계수의 파편을 이용하여 만든 병으로 추정[10] 정확히는 308+220으로 528이다.[11] 물론, 바란이 직접 쓰던 장검에서 너프를 먹었다. 백염의 폭풍은 스턴효과도 붙여져 있지만 아이템이 된 이후로는 그냥 번개가 ... 나오는 검일 뿐이다. 물론 절대 번개가 약한 건 아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 세계관에서 번개란 불 마법의 파괴력과 빛 마법의 빠르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엄청난 상위 합성 마법으로 수준 높은 마법 계열 헌터만이 사용 가능한 스킬이며, 그마저도 S급이라도 연속 사용은 불가능 할 정도의 고등마법이다.[12] 번개마법이 유독 어려운 마법이라는듯. 웹툰에서는 제주도에 혼자 남아 개미알을 정리하는데 써서 후에 입단테스트를 한 차해인과 아진길드의 첫 레이드 토벌 때 동행한 우진철, 이를 보고 받은 고건희밖에 모른다.[13] 이그리트는 감격하여 무릎을 꿇으려 하고 진우는 급하게 하지 말라고 말리면서 아이언이 이그리트의 태도의 절반만이라도 따라와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베르였으면 절을 했을것이다.[14] 라그나로크에서는 이그리트가 성진우, 차해인 35주년을 축하하는 의미로 차해인에게 해당 검을 넘겨주었다.[15] 소설에서 가장 비싼 대검의 공격력이 1000을 조금 넘는다 한다는데 사실상 한손에 대검 하나라 묘사됬다 근데 대검 1자루 공격력이 1000이면 2자루가 아니라 3자루아닌가?[16] 당연히 제주도에서의 베르보다 한참 강하다. 국가권력급 헌터 5명과 최상급(S급, A급으로 추정.) 헌터 수십명을 동원했음에도 국가권력급을 제외한 전원이 몰살당한 수준.[17] 이런 미친 무기를 토마스가 소유할 수 있던건 카미쉬가 토마스를 물자 토마스가 그 이빨을 뽑았기 때문이다....[18] 하지만 후속작에서 다시 만들어졌다.[19] 소설 외전에선 제작에 능한 난쟁이들이 진우의 소환수로 있기 때문에 만약 용제의 이빨이나 뼈를 뽑았다면 더 강한 무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20] 하지만 후속작에서 용제이빨로 만든 검을 쓰는중이라 밝혀지며 제일 강한 무기는 아니게 되었다.[21] 애초에 비슷해지려면 근력이 최소1280은 되어야 하는데 이때 성진우 근력의 4배가 넘는다.[22] 파괴력을 요할수록 무거워지는듯. 이 때 진우는 근력 스탯이 300이 넘어갔다.[23] 이름은 진우가 워낙 단단하다 보니 이렇게 지은 것. 본래 이름은 모른다.[24] 참고로 이 시점 베르는 S급 마수도 가볍게 찢어버리는 힘을 갖추었다.[25] 보스를 처리하고 나서 받은 씨앗을 체육관에 심어서 다시 부활시켰다.[26] 이 체육관의 벽이 S급들의 공격에도 나름 끄떡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상상을 초월한 공격력이다.[27] 용제의 본명.[28] 라그나로크 편 시점에서 성진우가 용제의 송곳니를 무기로 사용 중이라고 베르가 언급한 적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