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 | ||||
| ||||
| | | | |
| | | | |
ISU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
| |
최초 개최지 | |
| |
최근 개최지 | |
| |
차기 개최지 | |
|
[clearfix]
1. 개요
ISU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매년 1월에 개최한다. 유럽 국가 소속의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다.[1]2. 역사
1997년에 처음 시행되었으며 개최지는 매년 바뀐다. 당시 유럽은 쇼트트랙 불모지였기에 이탈리아가 초강세를 보였다. 남자부에서는 이탈리아의 파비오 카르타와 니콜라 로디가리가 각각 7회, 5회 우승했고 여자부에서는 불가리아의 전설 라다노바가 5연패와 7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이뤘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쇼트트랙이 세계평준화가 되었고 러시아, 네덜란드, 헝가리, 영국 등 다른 유럽 국가들의 기량이 상승해 예전 만큼 한 나라가 압도적인 모습은 나오기 힘들다. 그리고 이 경쟁은 다시 유럽 선수들의 기량 상승의 원천이 된다.3. 역대 종합 우승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 1997 말뫼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 2011 헤이렌베인 | ||
2회 | 1998 부다페스트 | 16회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
3회 | 1999 오버스트도르프 | 17회 | 2013 말뫼 | |||
4회 | 2000 보르미오 | 18회 | 2014 드레스덴 | |||
5회 | 2001 덴 하흐 | 19회 | 2015 도르드레흐트 | |||
6회 | 2002 그르노블 | 20회 | 2016 소치 | |||
7회 |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 21회 | 2017 토리노 | |||
8회 | 2004 주테르메이르 | 22회 | 2018 드레스덴 | |||
9회 | 2005 토리노 | 23회 | 2019 도르드레흐트 | |||
10회 |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 24회 | 2020 데브레첸 | |||
11회 | 2007 셰필드 | 25회 | 2021 그단스크 | |||
12회 | 2008 벤츠필스 | 26회 | 2022 드레스덴 | 취소COVID-19 | ||
13회 | 2009 토리노 | |||||
14회 | 2010 드레스덴 |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 2023 그단스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 2024 그단스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9회 | 2025 드레스덴 | 500m | 회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 1997 말뫼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5회 | 2011 헤이렌베인 | ||
2회 | 1998 부다페스트 | 16회 | 2012 믈라다볼레슬라프 | |||
3회 | 1999 오버스트도르프 | 17회 | 2013 말뫼 | |||
4회 | 2000 보르미오 | 18회 | 2014 드레스덴 | |||
5회 | 2001 덴 하흐 | 19회 | 2015 도르드레흐트 | |||
6회 | 2002 그르노블 | 20회 | 2016 소치 | |||
7회 | 2003 상트페테르부르크 | 21회 | 2017 토리노 | |||
8회 | 2004 주테르메이르 | 22회 | 2018 드레스덴 | |||
9회 | 2005 토리노 | 23회 | 2019 도르드레흐트 | |||
10회 | 2006 크르니차즈드루이 | 24회 | 2020 데브레첸 | |||
11회 | 2007 셰필드 | 25회 | 2021 그단스크 | |||
12회 | 2008 벤츠필스 | 26회 | 2022 드레스덴 | 취소COVID-19 | ||
13회 | 2009 토리노 | |||||
14회 | 2010 드레스덴 |
}}}}}}}}} ||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7회 | 2023 그단스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8회 | 2024 그단스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9회 | 2025 드레스덴 | 500m | 회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 2021-22 시즌을 마지막으로 3000m 슈퍼파이널과 선수권 종합 우승 제도가 폐지되었다.
3.1. 여자부
역대 유럽선수권 여자부 종합 순위 | |||||
199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97 | | | | | |
1998 | | | | - | |
1999 | | | | | }}}}}} |
200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0 | | | | | |
2001 | | | | | |
2002 | | | | | |
2003 | | | | | |
2004 | | | | | |
2005 | | | | | |
2006 | | | | | |
2007 | | | | | |
2008 | | | | | |
2009 | | | | | }}}}}} |
201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0 | | | | | |
2011 | | | | | |
2012 | | | | | |
2013 | | | | | |
2014 | | | | | |
2015 | | | | | |
2016 | | | | | |
2017 | | | | | |
2018 | | | | | |
2019 | | | | | }}}}}} |
202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0 | | | | | |
2021 | | | | | |
2022 | | 취소COVID-19 | }}}}}} |
3.1.1.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21 | 17 | 14 | 52 |
2 | | 19 | 12 | 11 | 42 |
3 | | 9 | 7 | 0 | 16 |
4 | | 7 | 9 | 13 | 29 |
5 | | 3 | 5 | 6 | 14 |
6 | | 2 | 4 | 8 | 14 |
7 | | 1 | 5 | 6 | 12 |
8 | | 1 | 5 | 3 | 9 |
9 | | 1 | 1 | 3 | 2 |
10 | | 1 | 1 | 0 | 2 |
3.2. 남자부
역대 유럽선수권 남자부 종합 순위 | |||||
199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97 | | | | | |
1998 | | | | - | |
1999 | | | | | }}}}}} |
200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0 | | | | | |
2001 | | | | | |
2002 | | | | | |
2003 | | | | | |
2004 | | | | | |
2005 | | | | | |
2006 | | | | | |
2007 | | | | | |
2008 | | | | | |
2009 | | | | | }}}}}} |
201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0 | | | | | |
2011 | | | | | |
2012 | | | | | |
2013 | | | | | |
2014 | | | | | |
2015 | | | | | |
2016 | | | | | |
2017 | | | | | |
2018 | | | | | |
2019 | | | | | }}}}}} |
2020년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0 | | | | | |
2021 | | | | | |
2022 | | 취소COVID-19 | }}}}}} |
[1] 티보 포코네가 종합 1위였으나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가 되었다.[2] 티보 포코네가 종합 3위였지만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가 되었다.[3] 싱키 크네흐트가 종합 3위였지만 빅토르 안에게 중지를 들어올리는 욕을 해서 박탈당했다.
3.2.1.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22 | 8 | 10 | 40 |
2 | | 12 | 16 | 4 | 32 |
3 | | 9 | 14 | 5 | 28 |
4 | | 9 | 9 | 14 | 32 |
5 | | 2 | 5 | 6 | 13 |
6 | | 2 | 2 | 5 | 9 |
7 | | 2 | 1 | 1 | 4 |
8 | | 1 | 2 | 8 | 11 |
9 | | 0 | 2 | 1 | 3 |
10 | | 0 | 1 | 3 | 4 |
11 | | 0 | 0 | 1 | 1 |
4. 최다 우승자
선수 | 우승 | 우승 연도 | |
남자 | | 7회 | 1997, 1998, 1999, 2000, 2002, 2003, 2005 |
여자 | | 7회 | 2000, 2001, 2002, 2003, 2004, 2006, 2007 |
| 7회 | 2008, 2009, 2011, 2012, 2013, 2017, 2018 |
4.1. 메달 집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 43 | 28 | 23 | 94 |
2 | | 28 | 26 | 18 | 72 |
3 | | 20 | 19 | 26 | 65 |
4 | | 10 | 20 | 11 | 41 |
5 | | 9 | 7 | 0 | 16 |
6 | | 5 | 10 | 12 | 27 |
7 | | 4 | 4 | 12 | 20 |
8 | | 2 | 1 | 1 | 4 |
9 | | 1 | 7 | 11 | 19 |
10 | | 1 | 1 | 0 | 2 |
11 | | 1 | 0 | 3 | 4 |
12 | | 0 | 2 | 1 | 3 |
13 | | 0 | 1 | 3 | 4 |
14 | | 0 | 0 | 1 | 1 |
5. 역대 대회
- 200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0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0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0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0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6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8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1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2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2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
2022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2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2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 2025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1] 다만 이스라엘과 터키 선수들은 아시아 대륙에 속하지만 유럽선수권에 출전한다. 이는 다른 빙상종목도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