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신사(修信使)는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조선에서 일본 제국으로 파견한 사절단을 말한다. 신뢰를 닦는 사절이라는 뜻으로 양국의 신뢰를 돈독히 하겠다는 뜻이다.[1]2. 1차 수신사
1876년 2월 22일 김기수를 수신사로 임명하였고 그를 위시한 75명을 4월 4일에 일본에 파견하였다. 김기수 일행은 4월 29일 부산을 출발해 5월 7일 도쿄에 도착하였고 20일간 도쿄에 머물면서 메이지 덴노를 비롯해 산조 사네토미, 이토 히로부미 등 일본의 주요 인사를 만나고 일본의 각종 시설을 시찰하였다. 김기수는 기행문「일동기유」에서 메이지 유신 이후의 서구화된 일본의 모습을 소개하고 일본과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했다.다만 주장과는 별개로 김기수를 비롯한 수신사 일행은 일본을 보면서 상당한 컬쳐 쇼크를 받고 서양 문물에 대해서 상당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일본 정부가 주최한 무도회에 참석한 것이 있다. 남녀 쌍쌍이 모여서 왈츠를 추는 것을 본 수신사 일행은 그야말로 경악했으며, 김기수는 일본 육군경의 딸이 서슴없이 자신에게 다가와서 손을 잡고 인사한 것을 두고 예절이 무너졌다며 개탄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의 학교들을 시찰하는 자리에서 인체 해부실습을 하는 걸 보고 질색하면서 '성현의 말씀은 다 접어두고 부국강병의 술책만 숭상하고 있다'면서 비판하기도 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