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3:28:18

数学Ⅲ(2018)

수학Ⅲ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전 교육과정 체제하의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数学Ⅲ(200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대한민국의 6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Ⅲ에 대한 내용은 고급 수학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헤이세이 30년(2018년) 고시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수학 과목 ('22~ 高1)
일반 과목 선택 이수 과목1
1 선택 이수 과목은 학생의 특성이나 학교의 실태, 단위수 등에 따라 과목 내에서 일부 내용을 선택하여 이수하는 과목이라는 뜻이다.
2 사실상 이과 전용 과목.
■ 이전 교육과정: 헤이세이 21년(2009년) 고시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수학 과목
대학입학공통테스트 수학 교과 범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24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헤이세이 20년 고시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이전 교육과정) 참고 바람.
2025년도 ~
수학① 『수학Ⅰ, 수학A』 · 『수학Ⅰ』
수학② 『수학Ⅱ, 수학B, 수학C』

}}} ||

1. 개요2. 내용
2.1. 1. 함수와 극한2.2. 2. 미분법2.3. 3. 적분법

1. 개요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이과계열 학생들이 3학년에 배운다.[1] 극한과 초월함수의 미적분에 대해서 다룬다. 복소평면과 곡선의 내용이 수학C로 올라가면서, 한국의 미적분(2015 개정)과 목차가 같아졌다.[2] 다만 공통테스트에선 수학Ⅰ, 수학A, 수학Ⅱ, 수학B, 수학C만을 다루기 때문에 공통테스트에서는 미출제되어 본고사에서만 다루어지고,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EJU 수학 코스2(이과)에서 출제된다. 일본에서는 이 과목을 すうがくさん(수-가쿠산)으로 읽는다.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25년 이후의 대학입학공통테스트에서도 기존과 동일하게 출제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고사에서는 출제된다. 참고로 일본은 대체로 공통테스트보단 대학별 본고사가 합격 여부에 가장 큰 당락을 좌우한다.

2. 내용

2.1. 1. 함수와 극한

한국에서는 미적분Ⅰ[3]에서 함수의 극한을, 미적분Ⅱ[4]에서 수열의 극한을 배우는데[5] 일본에서는 여기서 배운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대학교의 미분적분학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극한을 이용해 미적분을 정의하지만, 일본은 수학II에 서술되었듯이 거의 암기에 가깝다.

수열의 극한에서는 어떤 수열의 항이 계속 커질 때, 함수의 극한은 함숫값이 계속 커질 때를 기준으로 배운다. 또한 합성함수, 역함수 등 한국에선 대부분 고1 때[6] 배우는 함수들도 여기서 나온다.

2.2. 2. 미분법

초월함수의 미분을 배운다. 수학 II에서 배웠던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는 물론 음함수와 매개변수 함수의 미분에 대해서도 배운다.
자연로그를 [math(\ln)]으로 쓰는 한국 교육과정과는 달리 일본 교육과정에서는 [math(\log)]와 같이 쓴다.

2.3. 3. 적분법

초월함수의 적분을 배운다. 구분구적법으로 적분을 정의하며 부정적분, 정적분 외에 부분적분과 치환적분을 배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공부 좀 하는 고등학교에서는 그 이전에 끝내버리기도 하며, 문과도 필수 이수로 지정하는 고교도 있다.(...)[2] 사실 이것보다는 엡실론-델타 논법, 콤팩트성 등 엄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를 제거한 수학과 2학년용 해석학(수학)과 순서가 같아졌다고 보는 것이 더 알맞을 것이다.[3] 2015 개정의 수학Ⅱ.[4] 2015 개정의 미적분.[5] 과거 교육과정 중 2009 개정에서는 미적분Ⅰ(2009) 한 과목에서 각각 수열과 함수의 극한을 배웠다. 더 이전에는 수학 I 과목에서 배웠으나 2009 개정과 마찬가지였다.[6]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 6단원, 2009 개정 교육과정 수학 II 2단원,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5단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공통수학2 3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