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00:37:06

순순육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orihime inoue.jpg이노우에 오리히메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36386><colcolor=#FFFFFF> 행적 <colbgcolor=#fff,#1f2023>행적
능력 순순육화
게임판
(공식)
브레소울
콜라보 세븐나이츠
기타
}}}}}}}}} ||
<colbgcolor=#e36386><colcolor=#fff> 순순육화
盾舜六花
파일:db59b479283191094c8d91d27825a508f9409be2_hq.gif
애니메이션

1. 개요2. 구성
2.1. 츠바키2.2. 슌오우2.3. 히나기쿠2.4. 리리2.5. 바이곤2.6. 아야메
3. 능력4. 기술
4.1. 고천참순4.2. 쌍천귀순4.3. 삼천결순4.4. 사천항순
5. 능력의 정체6. 기타

[clearfix]

1. 개요

만화 《블리치》에 등장하는 풀브링. 오리히메의 친오빠인 이노우에 소라가 선물해준 머리핀이 변형한 6개의 순순육화들을[1] 이용하여 사용하는 기술들. 오리히메의 마음과 언령을 통해서 발동한다.

2. 구성

각각의 육화들은 오리히메의 영혼과 개별적인 형태이며, 각각 고유한 모습과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여섯명의 영혼 모두 육화라는 이름처럼 각각 꽃과 관련이 있는 이름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영력을 느낄 수 있는 자들만 순수육화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

2.1. 츠바키

<rowcolor=#FFF,#e36386> 츠바키(동백꽃)
椿鬼
파일:Ep13Tsubaki.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카와 토시유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산
파일:미국 국기.svg 월리 윙거트
}}}
츠바키는 다혈질적인 성격을 지닌 남성 영혼이며, 그는 순순육화 영혼들 중 유일하게 직접 공격이 가능한 영혼이다. 공격의 위력은 강력하나 본체 자체의 내구성은 약하기 때문에 반격을 자주 당하며 한번은 부서진 적도 있다.[2] 오리히메의 분노와 살의가 강할수록 위력은 더욱 강력해지지만 싸움을 싫어하는 평화주의적인 오리히메의 성격은 츠바키의 전반적인 힘을 억제한다. 그는 혼자 고천참순을 담당하며, 사천항순 또한 담당하고 있다.

원작자 팬클럽 Q&A에 의하면 마음 속 상대를 공격하기를 주저하는 마음, 즉, 공격 수단에 대한 무의식적인 거절이 츠바키의 존재 이유와 모순되어 있기 때문에 츠바키가 오리히메에게 반항적이라고 한다.

2.2. 슌오우

<rowcolor=#FFF,#e36386> 슌오우(벚꽃)
舜桜
파일:Ep13Shun%3F.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노다 쥰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보영
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일라이어스판
}}}
슌오우는 친절한 성격을 지닌 여성 영혼이며, 츠바키와 함께 오리히메에게 말을 자주 건다. 쌍천귀순 능력을 담당한다.

2.3. 히나기쿠

<rowcolor=#FFF,#e36386> 히나기쿠(국화)
火無菊
파일:Ep13Hinagiku.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키시오 다이스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지훈
파일:미국 국기.svg 커크 손턴
}}}
히나기쿠는 활발한 성격을 지닌 남성 영혼이며, 삼천결순과 사천항순 능력을 담당한다.

2.4. 리리

<rowcolor=#FFF,#e36386> 리리(백합)
リリィ
파일:Ep13Lily.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쿠기미야 리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지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트 히긴스
}}}
분홍색 머리카락, 노란색 고글, 파란색 수영복 등 미래적인 디자인을 지닌 여성 영혼이며, 삼천결순을 담당한다.

2.5. 바이곤

<rowcolor=#FFF,#e36386> 바이곤(매화)
梅巌
파일:Ep13Baigon.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야나다 키요유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승훈
파일:미국 국기.svg 리엄 오브라이언
}}}
대머리에 근육질적인 몸을 지닌 남성 영혼이며, 삼천결순을 담당한다.

2.6. 아야메

<rowcolor=#FFF,#e36386> 아야메(붓꽃)
あやめ
파일:Ep22Ayame.webp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세나 아유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영미
파일:미국 국기.svg 필리스 샘플러
}}}
차분한 성격을 지닌 여성 영혼이며, 쌍천귀순을 담당한다.

3. 능력

순순육화의 능력은 사상의 거절. 각종 사상을 '거절'함으로써 어떠한 '현상'을 없었던 일로 만들 수 있다. 단순한 시간역행 이상의 현실조작계 특수능력인지라 이 사상의 거절은 이미 반소멸한 자도 되살린다. 하지만 힐러로서는 엄청난 능력인데에 비해 공격력은 형편없는 수준이라, 오리히메의 전투력은 파티 내 최약체를 면하지 못했다. 유일한 공격옵션인 츠바키를 해방하기 전의 야미한테 발사했더니 간단히 막히고 '파리냐'는 소리까지 들었다.[3] 덕분에 공격 능력은 후반으로 갈수록 공기화되고 치유와 방어 능력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하지만 힐량은 세계관 정점급인데다가 방어 능력은 무려 영왕을 흡수한 유하바하의 공격을 막을 정도로 성장했다.

소울 소사이어티 편에선 단순 서포터 특화 정도로 생각했던 능력이 아란칼 편에 와서 신의 섭리를 부정할 수 있다는 언급이 나오면서 위상이 급격하게 높아졌었다. 아이젠이 오리히메를 이용하려고 납치하거나 오리히메가 붕옥을 없애겠다는 결심을 하는 전개가 나오면서 당시 오리히메의 위상이 그야말로 폭주했으나,[4] 아란칼 편 후반에서 영압 때문에 이치고의 상처를 더디게 치료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다만 죽은 자 조차 살려낼 수 있는 강력한 능력임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천년혈전 편에서 사신들의 처참한 피해가 강조되는 1차 침공, 2차 침공 모두 오리히메를 소울 소사이어티에 보내지 않고 웨코문드에 머무르게 해 한동안 스토리의 중심에서 빗겨나게 만들었다. 오리히메가 끼어들면 사신들의 피해는 사실상 최소화 되는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인듯.

4. 기술

4.1. 고천참순

<colbgcolor=#e36386,#1c1d1f><colcolor=#e36386> 고천참순
孤天斬盾
파일:224d9b40343fc134718135bc73cc7660.jpg
원작
파일:orihime-bleach.gif
애니메이션
츠바키 고천참순! 난 거절한다.[5]
유일한 공격기술이다. 이 기술은 ‘방패의 양면’의 거절로 '츠바키'를 직접 날려서 적 안에 방패를 치고 '물질의 결합'을 거절해 절단한다. 위력은 절대적이지만 문제는 츠바키의 내구성이 엄청나게 약해서 적에게 닿기 전에 츠바키가 먼저 당해버린다. 덕분에 첫 등장 이후 이 공격이 통용된 적이 없다. 심지어 소울 소사이어티 편에서 잇칸자카 지로보한테 어설프게 날렸다가 도리어 츠바키가 다치기도 하고, 야미 리야르고에게 날렸을 때는 아예 츠바키가 파괴당해서 이후 아란칼 편에서 하치가 회복시켜주기 전까지 사용하지 못했다. 적어도 아란칼 편 시점까지 이 기술이 실질적으로 통할 수 있는 상대는 딱 일반적인 호로 정도 뿐이다. Q&A에서 마음 속에선 상대를 공격하기를 주저하는 즉, 공격 수단에 대한 무의식적인 거절이 츠바키의 존재 이유와 모순되어 있기 때문에 츠바키가 오리히메에게 반항적이라는 설정이 나와 공격능력이 어설픈 것도 오리히메의 성격이 남을 상처 입히는 걸 거부하기 때문에 위력이 나오지 않는 걸로 보인다. 해당 설정이 공개된 이후, 팬들 사이에선 오리히메가 남편이나 아들을 눈 앞에서 잃는 등의 극단적인 일을 당하고 남을 상처 입히는 걸 주저하지 않게 되면 무차별 공간절단기로 각성할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많이 나왔다.

4.2. 쌍천귀순

<colbgcolor=#e36386,#1c1d1f><colcolor=#e36386> 쌍천귀순
雙天歸盾
파일:prmqdo8oxkmc1.jpg
원작
파일:543dd16d60409abc69b3b7f224061508.jpg
애니메이션
슌오우, 아야메 쌍천귀순! 난 거절한다.
'슌오우', '아야메'를 사용하여 반구 또는 타원형의 방패를 전개한다. 이 기술은 ’방패 안‘의 거절로 내부의 존재가 피해를 입은 사실을 거절해 공격당하기 전으로 되돌린다. 그 회복 능력은 가히 초월적으로, 시간제한은 있지만 죽은 사람을 부활시키거나,[6] 원래대로라면 결코 불가능하다는 만해 수리까지도 가능하다. 능력이 개화한지 얼마 안된 소울 소사이어티 편에서부터 4번대 3석 이에무라 야소치카가 자신과 부대장 코테츠 이사네와 필적하다 했으며 4번대 대장 우노하나 레츠도 자신들의 도움은 필요 없을 거라고 판단하는데다, 소설 CFYOW에서 히사기 슈헤이야마다 세이노스케의 우노하나와 대등 내지는 능가할지도 모르는 회도를 보고도 '그래도 오리히메 것보다는 덜 놀랍다'고 반응하였고, 천년혈전 편 상극담에서는 유하바하와의 싸움에서 중상을 입은 이치고를 순식간에 고치고, 유하바하도 흠칫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 등 회복 분야에 있어서 가히 치트키급의 위상을 작중 내내 과시한다.

다만 언제나 되돌리는 게 가능한 건 아니라 아란칼 편에선 우르키오라의 영압에 뒤덮인 이치고의 상처는 더디게 회복되었고[7], 천년혈전 편에선 베여버린 영왕을 다시 살리려고 사용했으나 전혀 효과가 없었다.

소설 CFYOW에서 오리히메의 능력에 대해 자세히 밝혀졌는데,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시간이 너무 경과한 경우, 완전히 혼백이 소실된 경우, 애초에 아무 흔적도 안 남은 경우라면 소생이 불가능하다. 이 설정이 공개된 후, 영왕을 못 고쳤던 건 영왕이 너무 드높은 상위 존재라서가 아니라 단순히 너무 오래 전부터 죽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8][9] 다만 작중 사라지고 시간이 상당히 흐른 그림죠 재거잭의 왼팔을 복구한 것을 보면 며칠에서 몇주 정도의 시간은 문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쌍천귀순의 결계가 외부의 공격에 대한 방어결계로도 사용이 가능한 듯 하여, 키르게 오피의 영자집속 능력에 쌍천귀순이 벗겨지자 오리히메가 상당히 놀랐다. Q&A에 의하면 쌍천귀순으로 고칠 수 있는 것은 주로 '눈에 보이는 것',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혀졌다.

4.3. 삼천결순

<colbgcolor=#e36386,#1c1d1f><colcolor=#e36386> 삼천결순
三天結盾
파일:오리히메방어성공.png
원작
파일:orihime-on-her-way-to-save-him-v0-i29mbts2jbrb1.gif
애니메이션
히나기쿠, 바이곤, 리리 삼천결순! 난 거절한다.
'히나기쿠', '바이곤', '리리'를 사용하여 삼각형 형태의 방패를 전개한다. 이 기술은 ’방패 밖‘의 거절로 상대의 공격을 거절해 방어한다. 오리히메의 막아내겠다는 의지가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방어력이 점점 올라가는 모양이다. 천년혈전 편에서는 평범한 대장급 따위는 손쉽게 찢어버릴 만큼 강해진 우류의 리히트 레겐이나 영왕을 흡수한 유하바하의 공격을 막아내는 무시무시한 방패가 되었다. 블리치 세계관에 존재하는 물리적 공격으로 정면에서 뚫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경악스러운 내구도가 된 것이다.
파일:624Orihime_catches.webp
쌍천귀순과 마찬가지로 다른 응용법도 있는데, 방패를 이동 수단이나 착지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잘 부각이 안될 수도 있으나 특수한 환경이 조성된 영왕궁 전투에선 방패를 발판으로 삼거나 다른 인물들의 추락을 막아주기도 하며 괜찮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10]

4.4. 사천항순

<colbgcolor=#e36386,#1c1d1f><colcolor=#e36386> 사천항순
四天抗盾
파일:fd391c202761ca43eb835f3a3a732ff2.jpg
원작
파일:tumblr_00fa927109a866154d699aef2680c1ea_bf21f60c_540.gif
애니메이션
사천항순! 난 거절한다.
사신대행 소실 편에서 처음 등장한 삼천결순의 업그레이드판. '히나기쿠', '바이곤', '리리'의 삼천결순에 '츠바키'로 점 하나를 더 찍어 정사면체 형태의 방패를 전개,[11] 공격을 받은 순간 폭발하여 충격을 확산시키고, 자동으로 상대에게 반사하는 효과를 추가한다. 삼천결순이 영왕바하의 공격도 막는 것에 비해 제라드의 참격을 막아내다가 반사는 하지 않고 그대로 흘려보낸 걸 보면 반사시킬 수 있는 정도에 한계가 있으며, 방어능력도 삼천결순보다는 부족한 듯하다.

5. 능력의 정체

아란칼 편에선 '신의 섭리를 역전시키는 괴이한 힘'으로 설명되었으나, 이후 능력 자체의 정체에 대해선 사신대행 소실 편에서 풀브링 능력의 일종으로 밝혀졌다.
완결 이후 소설판에서 밝혀지기로 풀브링거는 모두 영왕의 파편을 지녔고 풀브링 또한 여기에서 발현된 능력이라 설명되며 '신의 섭리를 역전시키는 괴이한 힘'이란 설명이 그렇게까지 과장된 것은 아니었다는게 드러났다.[12]

6. 기타



[1] 오리히메는 이들을 요정으로 취급된다.[2] 이후 바이자드 멤버인 우쇼다 하치겐이 복구해주었다.[3] 정확히는 공격 또한 사상의 거절을 응용한 방법인 만큼 절대적인 절삭 능력을 자랑할 가능성이 높지만, 공격의 주체인 츠바키는 딱히 사상의 거절을 두르고 있는 것도 아니라 참격이 나가기 전에 해방도 안 한 야미한테 때려잡히는 수준이라 의미가 없다. 심지어 이렇게 때려잡으면 공격이 취소돼서 더더욱. Q&A에 따르면 오리히메가 본능적으로 적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에 츠바키가 유독 약한 것이라고 한다.[4] 다만 아이젠이 붕옥의 해방을 앞당기고 가져가는 바람에 붕옥에 대해선 오리히메가 나설 틈이 만들어지지 않았다.[5] 능력을 발동하기 위해 필요한 언령이지만 이후에 오리히메가 성장함으로 언령을 제외하고도 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6] 그림죠에게 배빵+세로로 상반신이 문자 그대로 반죽이 되어버린 메노리 말리아를 깔끔하게 살려냈다.[7] 블리치의 특성상 자신보다 영압이 한참 높은 상대가 입힌 상처는 거절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다.[8] 츠키시마의 북 오브 디 엔드가 영왕바하의 힘을 공략해낸 것을 생각하면 풀브링이 영왕에게 안 통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유하바하가 말했던 “인간 따위의 힘으로 영왕을 되살릴 수 있을 것 같으냐“는 인간 따위의 힘으로 (이미 훨씬 전에 죽은) 영왕을 되살릴 수 있을 것 같으냐는 의미도 성립하기 때문에 본편에서의 대사와 이어진다.[9] 영왕은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상태라고 표현되지만 주요 장기, 특히 심장마저 도려낸 채로 100만 년 이상 경과했기 때문에 오리히메의 능력이 안 통하는 케이스에 속한다.[10] 이치고와 유하바하의 전투 여파로 날아간 다른 일행들이 떨어지지 않게 추락을 막아주었다.[11] 첫 등장 시에는 기존 삼각형 모양의 방패에다 정면에 츠바키를 배치하여 삼각뿔 모양이었지만 천년혈전 편에서부터 정사면체로 변경되었다.[12] 물론 풀브링 중에서도 이 정도로 강력한 능력은 순순육화를 제하면 과거를 개변하는 북 오브 디엔드정도 뿐이며, 영왕의 혈통인 유하바하의 올마이티와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은 능력이다. 다른 풀브링거의 힘이 모두 이 정도는 아니란 걸 고려하면 이는 오리히메의 재능.[13] 이때 대부분의 독자들은 "츠바키 군이 누구야?" 하는 반응이었다. 아란칼 편 초기 등장 이후 장장 50여 권을 등장 안했으니 까먹을 만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