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Super Rugby Pacific | |||
| |||
<colbgcolor=#19a9b4><colcolor=#fff> 기간 | 2025.2.15 ~ 0.00 | ||
팀 수 | 11팀 | ||
참가 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
준우승 | |||
리그 1위 | |||
2024 | 2026 |
[clearfix]
1. 개요
슈퍼 럭비의 30번째 시즌.시간은 한국 시간(UTC+09)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2. 참가 클럽
<rowcolor=#fff> 국가 | 클럽 | 연고지 | 경기장 | 감독 |
뉴질랜드 | 블루스 | 오클랜드 | 이든 파크 | |
크루세이더스 | 크라이스트처치 | 아폴로 프로젝츠 스타디움 | ||
하이랜더스 | 더니든 |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 | ||
허리케인스 | 웰링턴 | 스카이 스타디움 | ||
치프스 | 해밀턴 |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 | ||
모아나 퍼시피카[1] | 오클랜드 | 노스 하버 스타디움 | ||
호주 | 퀸즐랜드 레즈 | 브리즈번 | 선콥 스타디움 | |
ACT 브럼비스 | 캔버라 | GIO 스타디움 | ||
와라타스 | 시드니 | 알리안츠 스타디움 | ||
웨스턴 포스 | 퍼스 | HBF 파크 | ||
피지 | 피지언 드루아 | 수바 | HFC 뱅크 스타디움, 처칠 파크 |
3. 선수 이적
4. 시즌 운영
승점은 SANZAAR 시스템을 따른다. 승리 4점, 무승부 2점, 패배 0점을 기본으로 상대 팀보다 트라이를 3개 이상 많이 했을 때 추가 1점, 1~7점차로 패배했을 때 1점을 각각 추가로 부여한다.정규시즌은 각 팀이 홈&원정 각 7경기씩 치르며 작년 대비 총 15라운드에서 16라운드로 조정되었다. 즉, 2번의 휴식주를 가진다는 뜻. 팀이 줄면서 포스트시즌도 8팀에서 6팀으로 조정되었다.
포스트 시즌은 리그 상위 6개팀이 진출한다. 여느 리그처럼 준플레이오프를 가지지 않고, 1위vs6위, 2위vs5위, 3위vs4위로 단판전을 치른 뒤 승리 팀 및 패배 팀 중 정규시즌 순위가 가장 높았던 1팀이 4강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즉, 1위 팀은 지더라도 4강 진출이 보장된다.
5. 정규시즌
<rowcolor=#fff> 클럽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1승 | 25/14 (+11) | 4점 | |||
1승 | 33/25 (+8) | 4점 | |||
1승 | 36/32 (+4) | 4점 | |||
1승 | 45/44 (+1) | 4점 | |||
1승 | 37/36 (+1) | 4점 | |||
1패 | 44/45 (-1) | 1점 | |||
1패 | 36/37 (-1) | 1점 | |||
1패 | 32/36 (-4) | 1점 | |||
0/0 (0) | 0점 | ||||
1패 | 25/33 (-8) | 0점 | |||
1패 | 14/25 (-11) | 0점 |
플레이오프(4강 확정)
플레이오프
5.1. 라운드별 순위
||<tablebordercolor=#2b628e><rowbgcolor=#2b628e><rowcolor=#fff>||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과거와 달리 매 라운드 휴식을 가지는 팀이 있기 때문에 경기 수가 다른 것은 고려하지 않고 액면 그대로 순위 비교를 하였다.5.2. 클럽별 요약
<rowcolor=#000> 홈 경기 | 원정 경기 |
6. 플레이오프
7. 통계
- 최다 득점 :
- 최다 트라이 :
- 총 트라이 :
8. 기타
[1] 명목상으로는 남태평양 섬나라 연합팀이지만 선수단 구성만 폴리네시아인이 다수일 뿐, 경기장은 뉴질랜드에 있으며 행정적으로도 뉴질랜드 럭비 소속이라 실질적으로 뉴질랜드 팀이라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