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7:55:48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신도림 현대백화점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대백화점/점포
,
,
,
,
,

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백화점
천호점
신촌점 미아점 목동점
중동점 판교점 킨텍스점 부산점
울산점 충청점
유플렉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3%> 판교점 ||<width=33.3%> 신촌점 ||<width=33.3%> 중동점 ||
충청점 디큐브시티
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송도점 대전점
시티아울렛
동대문점 가산점 대구점
* 공식 웹 사이트 기재순
}}}}}}}}} ||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디큐브시티점 (2011)
파일:디큐브시티 전경.jpg
연계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개점일 2011년 8월 26일(디큐브백화점)
2015년 5월 18일(현대백화점)
휴무일 새해 첫날, 추석, 설날 당일
영업 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30분~ 오후 8시30분
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30분 ~ 오후 8시30분
공휴일 오전 10시30분 ~ 오후 8시 30분
소유 JR투자운용
지점장 정일주 수석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62 (신도림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문화][U]

1. 개요2. 역사3. 층별 안내4. 매장 구성
4.1. 본관4.2. 유플렉스
5. 매출6. 사건사고7. 여담8. 경쟁 점포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디큐브시티 내에 위치한 현대백화점 지점.

2. 역사

디큐브백화점의 신도림점이었으나 2015년 5월 18일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으로 재개장하였다.[3] 현대백화점 직영점이긴 하지만 임차한 점포이고, 아직 계약기간이 남아있는 점포가 많아, 오픈 당일에는 지하 1층의 스타슈퍼가 현대백화점 자체 식품관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전혀 바뀌지 않았다. 복잡한 구조와 그로 인한 불편한 쇼핑 동선, 가려지는 시야의 정리 등 개선이 시급했다.

그러다가 2016년 12월까지 전체 매장 개편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형적인 백화점의 면모를 갖추었다. 개장시부터 있던 브랜드는 몇 안되고, 현대백화점이 인수하면서 거의 모든 MD 구성을 바꿨다고 보면 된다. 전신인 디큐브백화점은 20~30대를 타겟으로 한 복합 쇼핑몰을 표방했는데, 현대백화점은 이러한 타겟층을 인근 대단지 아파트의 가족층으로 바꿔 잡고 활발한 리뉴얼을 펼쳤다.#

그러나 이후 이지스자산운용이 디큐브시티를 인수하면서 점포의 영업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이지스자산운용은 디큐프시티 인수 이후 현대백화점이 운영 중인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도 오피스 공간으로 리모델링하길 원한다며, 현대백화점 측에 검토해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소식이 나오고 현대백화점 측이 매출이 부진한 디큐브시티점 영업 중단을 반길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으나, 의외로 현대백화점은 영업의 지속을 원하는 입장이라고 한다.[4] 그러나 이지스자산운용이 구로구에 이미 용도 변경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알려져, 2025년 현대백화점과의 계약이 종료되는대로 백화점을 내보내고 오피스로 전환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3. 층별 안내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48665a><table bgcolor=#ffffff,#1f2023><colbgcolor=#48665a><colcolor=#fff> 6F || 식당가 ||
5F 리빙·식당가
4F 스포츠·아웃도어·아동·유아
3F 남성패션·골프·구두
2F 여성패션·란제리
1F 화장품·핸드백·패션잡화·SPA
B1 영패션·U-PLEX·패션잡화·SPA·교보문고·문화센터
B2 현대식품관·푸드코트·영패션·U-PLEX
B3~B7 지하주차장

4. 매장 구성

4.1. 본관

영업면적 52,800㎡(15,972평)으로, 현대백화점의 대대적 리뉴얼 후에도 상권 특성상 고급화에는 한계가 있어 SPA 브랜드, 영 패션 브랜드 중심의 쇼핑몰 형태로 매장이 운영되고 있다. 그래도 유동인구가 굉장한 신도림역과 바로 직결되기에 현대백화점에서도 나름 신경 쓰는 점포. 지하에 이케아 플래닝 스튜디오를 입점시키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지하 2층에 현대백화점 식품관과 주요 패스트푸드점, 카페가 있다. 제대로 된 식당가를 원한다면 5층과 6층으로 가면 된다. 2층, 4층, 5층에도 카페가 있다.

많은 지적을 받고 있는 동선은 중앙의 에스컬레이터가 빙빙 도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어 불편하긴 하지만, 메인 입구쪽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면 층간 이동이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4.2. 유플렉스

<colbgcolor=#ed058f><colcolor=#fff>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U-PLEX (2015)
연계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도림역
개점일 2015년
휴무일 새해 첫날, 추석, 설날 당일
영업 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30분~ 오후 8시30분
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30분 ~ 오후 8시30분
공휴일 오전 10시30분 ~ 오후 8시 30분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62 (신도림동)
[clearfix]

타 현대백화점 유플렉스는 아예 별개의 건물을 쓰거나(신촌점, 중동점 등), 한 층을 통으로 사용하는 식(판교점)으로 백화점 본 건물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디큐브시티점은 같은 층에서도 어디까지가 백화점이고 어디까지가 유플렉스인지의 구분이 다소 불명확하다. 애초에 백화점 전체가 꼭 쇼핑몰 같은 성격을 띄고 있기도 하고, 현대백화점의 인수 당시 H&M, ZARA, 유니클로 등 메이져 SPA 브랜드의 계약기간이 최대 2026년까지 되어 있다보니 리뉴얼 당시에도 이 브랜드 매장을 그대로 놔두면서 이런 형태가 됐다.[5]

H&M과 ZARA, 탑텐, MUJI, 유니클로 등의 SPA 브랜드가 지하 1층~2층에 걸쳐 입점했다. 지하 1층에는 교보문고가, 지하 2층에는 올리브영과 다이소 등이 입점했다.

5. 매출

<colbgcolor=#46665a><colcolor=white><rowcolor=white> 연도 순위 연 매출 신장률
2016년 49위 2,329억 원 72.6%
2017년 46위 2,575억 원 10.9%
2018년 44위 2,603억 원 2.4%
2019년 43위 2,592억 원 -0.4%
2020년 45위 2,054억 원 -20.8%
2021년 50위 2,034억 원 -1.0%
2022년 48위 2,420억 원 18.9%
2023년 48위 2,306억 원 -4.7%

2016년 대대적으로 리모델링을 거치며 장기적으로 4,000억 원 대 매출을 목표로 내걸었으나, 2016년 2,329억원, 2017년 2,575억원, 2018년 2,603억원, 2019년 2,592억원 등으로 2,000억 대 중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와 오프라인 유통의 침체로 매출이 크게 감소하며 20.8% 역신장한 2,054억 원(전국 45위)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소폭 적자 상태로, 만일 현대백화점이 폐점을 고려한다면 현대백화점 부산점과 더불어 1순위로 평가받고 있다.# 2021년에도 코로나 보복소비 영향을 받지 못한 채 매출이 1.0% 역신장한 2,034억 원을 기록하였다.

이렇듯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은 2010년대 중후반 오픈 이후 몇 년간 매출이 꾸준히 상승했지만, 2018년 이후엔 상승세가 꺾인데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하락한 매출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백화점이라고 하기엔 부족한 매장 구성 때문에 바로 앞 역인 영등포역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영등포점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으로 백화점 고객을 빼앗기고 있다. 현대백화점 목동점과도 상권이 겹치는 문제가 있었는데, 심지어 2021년 근처 여의도에 더현대 서울까지 오픈하면서 팀킬이 이뤄지고 있다.

디큐브시티점의 주 목표 타겟인 2030 젊은 고객들도 신세계 타임스퀘어점과 붙은 경방 타임스퀘어나 새로 오픈한 더현대 서울에게 빼앗기는 추세. 심지어는 바로 다음 역인 구로역NC백화점 신구로점과도 경쟁하고 있다. 결국 2023년에는 매출이 다시 역신장하는 등 매출 전망이 밝지 못하다.

6. 사건사고

7. 여담

8. 경쟁 점포

9. 둘러보기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백화점 ||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롯데백화점 강남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갤러리아 명품관
신세계백화점 수서역점
현대백화점 천호점 롯데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NC백화점 강서점
롯데백화점 관악점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롯데백화점 건대스타시티점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NC백화점 신구로점
- 롯데백화점 노원점 -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 - 현대백화점 신촌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 현대백화점 미아점 롯데백화점 잠실점
NC백화점 송파점
현대백화점 목동점
행복한백화점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더현대 서울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중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 NC백화점 불광점 - 롯데백화점 본점
신세계백화점 본점
-



[문화] 문화 센터[U] 현대 유플렉스 현대백화점의 영패션 특화 점포[3] 이로써 디큐브백화점은 거제점만 남게 되었다.[4] 기사를 보면 현대백화점은 디큐브시티점이 문을 닫으면 고객들이 바로 옆의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점롯데백화점 영등포점으로 옮겨갈 것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백화점들은 디큐브시티와 한 정거장 차이밖에 안 나거니와, 특히 신세계 타임스퀘어는 더현대 서울과 직접적으로 경쟁 중인 상대라 현대백화점 입장에서는 신경이 안 쓰일 수가 없다.[5] 굳이 구분하자면 1층과 2층의 SPA 브랜드들과 지하 1층 전체, 그리고 식품관을 제외한 지하 2층 전체가 유플렉스 매장에 해당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8 (이전 역사)
문서의 r2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