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5:06:32

신세계백화점/신세계 VIP 클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신세계백화점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백화점
강남점 경기점 김해점
마산점 본점
스타필드 하남점 의정부점
수서점 (2029년 예정)
송도점 (미정)
팩토리스토어
가산점 강남점 고양점 광양점
기장점 대구점 대전점 센텀점
수원점 시흥점 안성점 양주점
여주점 파주점
스타일마켓
대전점
쇼핑몰
센텀시티 몰
프리미엄아울렛
여주점 파주점 부산점 시흥점
제주센터
1. 순서는 공식 홈페이지 기재 기준
2. 프리미엄아울렛은 신세계사이먼 기준
3. 개점 예정점은 개점순 기준
}}}}}}}}} ||

1. 개요2. 선정 기준3. 등급 설명4. 혜택5. VIP 제휴카드
5.1. 여담
6. 주차권

[clearfix]

1. 개요

백화점들과 동일하게 작년 1월 1일~12월 31일까지 구매한 금액을 산출해서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VIP 고객으로 선정시키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신세계 VIP 정보 홈페이지

2. 선정 기준

<colbgcolor=#2D2D2D><rowcolor=#fff><colcolor=#fff> 등급명 2024년 선정기준 금액
TRINITY 매출 최상위 999명
DIAMOND 6,000만원 이상
(1억원 이상 혜택 상이)
PLATINUM 4,500만원 이상(강남점, 본점, 센텀시티점, 대구신세계)
4,000만원 이상
GOLD 2,500만원 이상(강남점, 본점, 센텀시티점, 대구신세계)[1]
2,000만원 이상
BLACK 800만원 이상
RED 400만원 이상

3. 등급 설명

레드, 블랙,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트리니티 총 6개 등급이 있다. 2016년까지는 레드 등급이 없었고, 로얄(현 블랙), 아너스(현 골드), 퍼스트(현 플래티넘), 퍼스트 프라임(현 다이아몬드), 트리니티였다가 2017년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블랙,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는 구매금액이 그 등급 기준보다 높지만 다음 등급에 도달하지는 못한 사람들을 위한 중간 혜택이 있다. 보통 티어 사이사이에 위치해 있는데, 블랙의 경우는 다음 등급인 골드 기준금액이 2,000만원이라서 1,500만원으로 중간 티어가 잡혀 있다.

4. 혜택

VIP로써 대접받는 느낌이 드는 건 못해도 골드 등급부터이며, 레드와 블랙은 상위 등급들에 비해 금액대가 많이 낮다보니 혜택이 많지 않다.

5. VIP 제휴카드

VIP 신용카드는 신한카드삼성카드에서 발급한다. 둘 다 등급에 따라 발급받을 수 있는 카드가 다른데, 대체적으로 1억 미만 다이아몬드는 삼성카드, 그 이상은 신한카드가 혜택이 좋은 편.

삼성카드에서는 The S라는 제휴카드 브랜드로 나오며, 희한하게 아랫 단계의 VIP가 연회비 3배인 PRESTIGE보다 훨씬 더 혜택이 다양하고 실용적이다. 심지어 PRESTIGE카드는 신세계 골드 이상이어야만 발급이 가능하고, VIP카드는 딱히 등급 제약도 없는데도 이 모양이다. 일단은 윗등급이라 마스터카드 월드 등급이지만 무늬만 월드고[9], 세일리지 더 주고 내부행사 할인이 추가되는 정도지만 그건 VIP카드로도 실적만 괜찮으면 백화점에서 따로 챙겨준다. 이러다 보니 신세계백화점으로 몰빵하려는 새내기 VIP들이 많이 발급하며, 신세계백화점 내에서도 많이 밀어주는 편이다.

신한카드에서는 The BOON이라는 제휴카드 브랜드로 나오는데, 골드부터 1억 미만 다이아몬드 등급이 발급 가능한 VIP, 그리고 1억 이상 다이아몬드와 트리니티 등급이 가입 가능한 SVIP로 나뉜다. 여긴 반대로 VIP 카드는 평범한 진퉁 플래티넘 카드 수준이라 그다지 인기는 없는데, 윗등급인 SVIP는 국내에서는 꽤 드문 비자 인피니트 등급에[10], 무제한 PP카드, 생활 부문에서 대한항공 마일리지 적립률이 꽤 괜찮아서 발급 가능한 사람들은 거의 이쪽으로 발급받는다. 신세계백화점 내부 판촉행사에서도 위의 삼성 프레스티지카드보다 그 이상으로 취급받다 보니, 연회비 5만원 더 내고 무제한 PP카드와 마일리지 챙기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 건 어쩌면 당연한 거다.

VIP가 되든 말든 카드 자체의 혜택은 부실한 타 백화점카드들과 달리[11] 그 자체만으로도 꽤 좋은 혜택을 제공하고, VIP 혜택 중에서 이 카드들을 쓰면 할인한도가 뻥튀기되거나 리워드를 더 얹어 주기 때문에 이 정도가 되면 다른 신세계 제휴카드를 잘라버리고 이 카드로 갈아탄다.

5.1. 여담

사용금액이 1억에 약간 못 미치는 구간인 경우, 결혼했다면 다이아몬드 등급을 노리기보다는 적절히 실적을 나누어 부부가 모두 플래티넘을 다는게 효율적일 수도 있다. 1억 미만 다이아몬드 1개보다 플래티넘 2개가 더 유용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위의 설명에도 적혀 있지만, 같은 다이아몬드라도 1억 이상 다이아몬드에만 주어진 혜택이 있기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다이아 등급은 2개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달리 말해 플래티넘과 6천 다이아 혜택이 별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원래는 플래티넘 등급과 다이아몬드 등급이 같은 퍼스트 라운지를 사용하였으나, 2021년 센텀시티점의 퍼스트 라운지가 2개로 바뀌면서 플래티넘 등급과 다이아몬드 등급의 라운지가 분리되었고, 2022년에는 강남점과 대구신세계의 다이아몬드 전용 퍼스트 라운지가 신설되면서 라운지가 분리되었다. 매장 공간이 여유로운 대형 점포들은 라운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긴 하나, 공간만 분리되었을 뿐 같은 퍼스트 라운지여서 그런지 메뉴나 다과는 동일하게 제공된다.

6. 주차권

파일:신세계 레드/블랙 주차권.jpg

레드, 블랙 등급의 주차권. 발렛파킹은 이용이 불가하며, 무료주차 서비스가 제공된다. 레드 등급과 1,500만원 이하로 사용한 블랙 등급은 저 디자인에 소속점이 써진 스티커가 제공된다.

파일:신세계백화점 VIP 주차권.jpg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등급의 주차권. 발렛파킹 서비스와 무료주차가 가능하다. 골드 등급은 저 디자인에 소속점이 써진 스티커가 제공된다

파일:신세계백화점 트리니티 VIP 스티커.jpg

트리니티 등급의 주차권. 발렛파킹 서비스와 무료주차가 가능하며, 트리니티 등급에게 제공되는 2개의 주차권중 1개만 이 디자인의 주차권이 제공되고 나머지 1개는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 등급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제공된다.

모든 등급이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주차권이 발급되는데 모든 스티커에는 그 해의 연도가 써져있으며, 레드와 블랙 등급의 경우 소속점과 VIP라고 써진 주차권이 발급되며, 1,500만원 이상 구매한 블랙 등급의 주차권은 소속점이 써지지 않고 VIP라고만 써진 주차권, 그리고 발렛이 되는 상위 등급들의 경우 골드 등급은 그 소속점이 써져있고 VALET라고 써진 스티커, 플래티넘 등급과 다이아몬드 등급은 VALET이라고만 써진 스티커(다이아몬드의 경우 1억이상 구매시 주차권이 2장 지급된다), 트리니티 등급은 TRINITY라고 써진 스티커 1장(전점 발렛 & 종일 무료주차)과 다이아몬드 등급과 같은 디자인의 주차권 1장(전점 발렛 & 5시간 무료주차)이 발급된다.

[1] 강남점과 본점의 경우 2024년 이후 GOLD 등급 고객이 발렛 이용을 하려면 3,000만원 이상 구입해야 한다.[2] 2023년 현재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비씨카드에서 발급 중이다.[3] 카드상품 설명 내에 '신세계백화점 제휴 혜택 제공'이라는 언급이 없으면 아무리 신세계 관련 이름이 붙어있어도 해당되지 않음에 유의. 대표적으로 SSG.com 삼성카드.[4] 간혹 골드나 플래티넘 등급부터는 잡지와 함께 명품 홍보물이 같이 배송되기도 한다.[5] 레드는 전점통합 월 10회 / 일 2잔, 블랙은 전점통합 일 1회 3잔이다. 월 10회 기준으로도 마실 수 있는 잔의 차이가 꽤 나서, 작년에 뭔가 좀 크게 질렀던 신세계백화점 고객은 동네 부녀회에서 꽤 괜찮은 대접을 받는다고 한다.[6] 그 와중에 강남점은 그냥 기준으로는 골드가 워낙 많아 2,500만원으로 발렛 서비스 기준을 올렸다.[7] 1억 이상 다이아몬드는 세일리지 추가, 발렛 주차권 2장, 삼성증권 PB 자산관리, 패스트 트랙 서비스, 강남점 어퍼하우스 이용, 대전점 퍼스트 프라임 라운지 이용, 프라이빗 포인트 70만점이 지급된다.[8] 단, 강남점은 트리니티 전용이 아닌 1억 이상 다이아몬드 고객도 같이 사용하는 발렛 구역이다.[9] 혜택이 전체적으로 월드 맛만 보는 수준이라서, 아랫등급인 비자 시그니처의 괜찮은 카드들보다도 혜택이 떨어진다. 참고로 삼성카드 마스터 월드등급 카드들이 전반적으로 이런 걸 보면 거의 종특 수준. 실제로 신세계백화점 내 삼성카드 설계사들도 고객에게 프레스티지카드는 잘 권하지 않는다. 그 정도면 돈 나가는 데 비교적 관대한 사람들인데도 돈값 못한다고 까일 정도다.[10] 오로지 캐나다에만 있는 인피니트 프리빌리지를 제외하면 비자카드 최상위 등급이다. 2023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 등급으로 나오는 카드는 어지간해서는 발급 신청도 못 해보는 카드연회비 4배에 바우처도 마일리지도 다 어중간한 카드정도가 고작이고, 혜택 자체의 출혈이 심해 다른 카드사에서는 거의 사장되었다.[11] 현대백화점카드와 갤러리아 카드는 바깥에선 아예 쓸 수가 없고 그나마 갤러리아 제휴카드는 발급사가 워낙 짠돌이라 그런지 그저 그런 수준이다. 롯데백화점 VIP 롯데카드의 경우 등급에 따라 앞면이 다를 뿐 알맹이는 똑같은데, 그래도 이것저것 생색은 냈던 구 레니스카드 시절과 달리 지금은 카드 자체 혜택은 고작 국내외 0.5% 할인이라 연회비가 1/5인 그냥 롯데백화점카드보다도 혜택이 별로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실적 인정 기준이 신세계보다는 널럴해서, 롯데카드가 아닌 타사카드나 상품권으로 결제해도 L.POINT 적립만 한다면 전액 실적으로 잡아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