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df00> | }}} |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fdf00> 청운효자동 | 청운동 | 신교동 | 궁정동 | 효자동 | 창성동 | 통인동 | 누상동 | 누하동 | 옥인동 | 세종로 | ||
사직동 | 통의동 | 적선동 | 체부동 | 필운동 | 내자동 | 사직동 | 도렴동 | 당주동 | 내수동 | 세종로 | 신문로1가 | 신문로2가 | ||
삼청동 | 팔판동 | 삼청동 | 안국동 | 소격동 | 화동 | 사간동 | 송현동 | ||
부암동 | 부암동 | 신영동 | 홍지동 | ||
평창동 | 구기동 | 평창동 | ||
무악동 | 무악동 | ||
교남동 | 교남동 | 평동 | 송월동 | 홍파동 | 교북동 | 행촌동 | ||
가회동 | 가회동 | 재동 | 계동 | 원서동 | ||
종로1·2·3·4가동 | 세종로 | 청진동 | 서린동 | 수송동 구청 | 중학동 | 종로1가 | 공평동 | 관훈동 | 견지동 | 와룡동 | 권농동 | 운니동 | 익선동 | 경운동 | 관철동 | 인사동 | 낙원동 | 종로2가 | 훈정동 | 묘동 | 봉익동 | 돈의동 | 장사동 | 관수동 | 종로3가 | 인의동 | 예지동 | 원남동 | 종로4가 | ||
종로5·6가동 | 연지동 | 효제동 | 종로5가 | 종로6가 | 충신동 | ||
이화동 | 이화동 | 연건동 | 동숭동 | ||
혜화동 | 와룡동 | 혜화동 | 명륜1가 | 명륜2가 | 명륜3가 | 명륜4가 | ||
창신1~3동 | 창신동 | ||
숭인1~2동 | 숭인동 |
종로구의 법정동 신영동 新營洞 | Sinyeong-dong | |
<colbgcolor=#ffdf00><colcolor=#1d1d1b>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행정표준코드 | 1111018600 |
관할 행정동 | 부암동 |
면적 | 0.36㎢ |
인구 | 3,397명[1] |
인구밀도 | 9,436.11명/㎢ |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 행정동 기준으로는 부암동에 속한다.2. 상세
북한산성의 수비를 담당하는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의 청사를 삼청동에서 이 지역으로 새롭게 이전한 데서 유래하였다. 세검정초등학교 자리가 총융청이 있던 곳이다.청와대 위라는 이유로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고층 건물이 지어지지 못하는 까닭에 지역 주민들 사이에선 '인서울 시골'이라 불린다.[2]
워낙 작은 동네다 보니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에서는 홍지동과 함께 부암동으로 부르는 경우가 잦다.
신영동삼거리에서 진흥로와 평창문화로, 세검정로가 교차한다. 진흥로 방향으로는 구기동과 은평구, 평창문화로 방향으로는 평창동과 성북구, 세검정로 방향으로는 홍지동과 서대문구가 있다.
동쪽으로는 북악산 일대의 산지가 분포하며, 그 외에는 빌라, 타운하우스 등이 들어선 주거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동 중앙으로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한강으로 유입하는 홍제천이 곡류하며 흐른다. 신영교를 건너 주택가를 가로질러가면 현통사가 나오며 백사실계곡으로 이어진다.
3. 주요 시설
3.1. 명소
- 세검정
- 신영동삼거리 육교: 서울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3방향 육교이다. 대부분의 육교는 도시미관이나 유지비용 등의 문제로 철거되었으나, 이 육교는 세검정초등학교 재학생들의 통학길 안전 문제로 인해 횡단보도로 대체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3] 이런 희소성 덕분에 영화 촬영지로도 쓰인다.[4]
3.2. 기관
- KB국민은행 세검정지점
- 서울특별시 종로소방서 신영119안전센터 - 2007년 1월 2일 설립
3.2.1. 초등학교
3.3. 주거
위에서 설명했듯이 건축물 고도 제한에 묶여 있어 고층 건물은 규제 이전에 건설된 세검정초나 대아파크빌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중앙건설 구암 중앙하이츠 - 2002년 11월 입주.
- 월드캐슬빌라: 과거 연산군이 일탈을 즐긴 '탕춘대' 터에 건설되었다. 때문에 고지대에서 홍제천의 곡류를 감상할 수 있어 전망이 좋다.
4. 교통
4.1. 버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bgcolor=#3d5bab> 간선 || ||
지선, 맞춤 | |
마을 | |
공항 | [7] |
5. 관할 행정동
5.1. 부암동
종로구의 행정동 부암동 付岩洞 | Buam-dong | |||
<colbgcolor=#ffdf00><colcolor=#1d1d1b>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
행정표준코드 | 3000044 | ||
관할 법정동 |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 ||
하위 행정구역 | 18통 98반 | ||
면적 | 2.27㎢ | ||
인구 | 9,051명[8] | ||
인구밀도 | 4,029.9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종로구 | |
| 곽상언 (초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 윤종복 (초선) | ||
종로구의원 | 나 선거구 | |||
| 김하영 (초선) | ||
| 정재호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창의문로 145 (부암동 265-21) | ||
부암동 주민센터 |
[1]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2] 홍지동도 비슷한 상황이다.[3] 한때 철거 여부를 놓고 찬반이 있었지만, 육교를 유지하는 대신 지역 고령층들의 편의를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4] 예시[5] 대한민국 최대의 사회 난제인 저출산과 고령화 속에서도 꾸준히 입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만성적인 교실 부족에 시달린다.[6] 보물로 지정된 당간지주가 교내 운동장에 위치해 있다. 서울 장의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235호). 학교 부지에 원래 절이 있었으나 언젠가 그 절은 사라지고 석재인 당간지주만 남은 것.[7] 운영 중단[8]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