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0:55:02

무악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df00>
파일:종로구 CI.svg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f00> 청운효자동 청운동 | 신교동 | 궁정동 | 효자동 | 창성동 | 통인동 | 누상동 | 누하동 | 옥인동 | 세종로
사직동 통의동 | 적선동 | 체부동 | 필운동 | 내자동 | 사직동 | 도렴동 | 당주동 | 내수동 | 세종로 | 신문로1가 | 신문로2가
삼청동 팔판동 | 삼청동 | 안국동 | 소격동 | 화동 | 사간동 | 송현동
부암동 부암동 | 홍지동 | 신영동
평창동 구기동 | 평창동
무악동 무악동
교남동 교남동 | 평동 | 송월동 | 홍파동 | 교북동 | 행촌동
가회동 가회동 | 재동 | 계동 | 원서동
종로1.2.3.4가동 세종로 | 청진동 | 서린동 | 수송동
구청
| 중학동 | 종로1가 | 공평동 | 관훈동 | 견지동 | 와룡동 | 권농동 | 운니동 | 익선동 | 경운동 | 관철동 | 인사동 | 낙원동 | 종로2가 | 훈정동 | 묘동 | 봉익동 | 돈의동 | 장사동 | 관수동 | 종로3가 | 인의동 | 예지동 | 원남동 | 종로4가
종로5.6가동 연지동 | 효제동 | 종로5가 | 종로6가 | 충신동
이화동 이화동 | 연건동 | 동숭동
혜화동 와룡동 | 혜화동 | 명륜1가 | 명륜2가 | 명륜4가 | 명륜3가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창신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숭인동
}}}}}}}}} ||
종로구행정동
무악동
毋岳洞 | Muak-dong
<colbgcolor=#ffdf00><colcolor=#1d1d1b>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종로구
행정표준코드 3000046
관할 법정동 무악동
하위 행정구역 12통 71반
면적 0.36㎢
인구 7,990명[1]
인구밀도 22,177.78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종로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재형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종복 (초선)
종로구의원 | 가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여봉무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응주 (초선) }}}}}}}}}
행정복지센터 통일로14길 36 (무악동 60-2)
무악동 주민센터
1. 개요2. 역사3. 주요 시설
3.1. 문화재3.2. 편의3.3. 교육
3.3.1. 초등학교3.3.2. 중고등학교
3.4. 주거
4. 교통
4.1. 버스
4.1.1. 직행4.1.2. 일반4.1.3. 간선4.1.4. 지선4.1.5. 심야4.1.6. 마을4.1.7. 공항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무악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이다.

종로구 교남동과 더불어 90년대 말 ~ 2000년대 초부터 재건축, 재개발의 규제완화정책[2]의 수혜를 받아 생활환경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서울 도심권 내에서도 보기 드물게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이 되었다. 이처럼 주거환경이 급격히 개선된 결과 젊은 맞벌이 가구가 점차적으로 유입되어 종로구 법정동 중에서도 평균연령이 교남동에 이어 2번째로 낮은 수준이다[3].

2. 역사

무악동은 조선 초기부터 한성부 반송방 지하계에 속하던 성저십리 지역으로, 갑오개혁 당시 지하계 모화현동[4]으로 그 소속이 세분되어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경성부 산하 서대문구역소 현저정으로 분류된 후 해방기에 서대문구 현저동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1975년에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대통령령 제7816호) 제3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서대문구 현저동을 종로구에 편입하고 서울특별시동명칭및구역획정조례(조례 979호)[5]에 의해 현저동의 의주로 북쪽 지역을 무악동으로 분리하여 신설하면서 고유한 법정동 및 행정동을 갖추게 되었다[6].

무악동의 '무악'이라는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풍수지리적 관념에서 어머니의 산(母岳)이라는 뜻의 '모악'이 변하였다는 설, 인왕산무악산에 많은 호랑이를 피하기 위해 '모여서 넘는 고개'라는 뜻의 명칭인 '모악'이 변하였다는 설, 조선의 도읍을 정할 당시 무학대사가 답사한 곳이라는 뜻의 '무학'이라는 명칭이 변하였다는 설 등이 경합하고 있다[7].

3. 주요 시설

3.1. 문화재

3.2. 편의

3.3. 교육

3.3.1. 초등학교

3.3.2. 중고등학교

3.4. 주거

4. 교통

4.1. 버스

4.1.1. 직행

4.1.2. 일반

4.1.3. 간선

4.1.4. 지선

4.1.5. 심야

4.1.6. 마을

4.1.7. 공항

5. 관련 문서


[1]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2] 관련기사 참조[3] 서울열린데이터광장 2022. 1. 기준 참조. 교남동 역시 2010년대부터 경희궁자이 등 아파트 중심의 대규모 재개발에 힘입어 광화문, 여의도 도심권에 대한 직주근접 수요를 흡수한 결과 평균연령이 급격히 낮아졌다.[4] 한성부 서서 반송방도 십칠매지내 제10호 참조[5] 해당 링크는 데이터베이스 일부가 누락되었으므로 같은 날 시행된 서울특별시동장정원조례 참조[6] 무악동주민센터 참조[7] 서울지명사전 참조[8] 국가문화유산포털 참조[9] 중부교육지원청 참조. 다만 배정은 학교군(학군), 학구군 외에 근거리 등교편의 등을 감안하므로 반드시 이들 4곳에 배정되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