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고기초등학교 | 대지초등학교 | 대청초등학교 | 대현초등학교 |
동천초등학교 | 매봉초등학교 | 상현초등학교 | 새빛초등학교 | |
서원초등학교 | 성복초등학교 | 성서초등학교 | 소현초등학교 | |
손곡초등학교 | 솔개초등학교 | 수지초등학교 | 수지꿈학교 | |
신리초등학교 | 신월초등학교 | 신일초등학교 | 용인대덕초등학교 | |
용인대일초등학교 | 용인신봉초등학교 | 용인신촌초등학교 | 용인심곡초등학교 | |
용인한빛초등학교 | 정평초등학교 | 죽전초등학교 | 토월초등학교 | |
풍덕초등학교 | 풍천초등학교 | 현암초등학교 | 홍천초등학교 | |
효자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신월초등학교 新月初等學校 Sinwol Elementary School | |
개교 | 2000년 8월 23일 |
유형 | 초등학교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박운규 |
교표 | |
교화 | 개나리 |
교목 | 소나무 |
교조 | 파랑새 |
학생 수 | 396명 (2024학년도 기준) |
교직원 수 | 52명 (2024학년도 기준) |
관할 교육청 | 경기도교육청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86 (풍덕천동)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folding 【 연혁 펼치기 · 접기 】
2000.01.08 | <colbgcolor=white,#191919> 신월초등학교 설립 인가 |
2000.05.20 | 초대 신춘희 교장 부임 |
2000.08.23 | 18학급 개교 |
2001.02.19 | 제1회 졸업 |
2002.02.19 | 제2회 졸업 |
2002.03.01 | 35학급 편성 |
2002.03.05 | 병설유치원 개원 |
2003.03.01 | 38학급 편성 |
2004.02.13 | 제4회 졸업 |
2004.03.01 | 41학급 편성 |
2005.02.13 | 제5회 졸업 |
2006.02.17 | 제6회 졸업 |
2006.03.01 | 37학급 편성 |
2006.08.25 | 초대 신춘희 교장 퇴임 |
2006.09.01 | 2대 장기열 교장 부임 |
2007.09.01 | 경기도교육청 지정 온라인 평가 연구학교 운영(1년 6개월) |
2008.02.14 | 제8회 졸업 |
2009.02.19 | 제9회 졸업 |
2009.03.01 | 35학급 편성 |
2009.03.01 | 교육과학부지정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운영(1년) |
2010.02.19 | 제10회 졸업 |
2010.09.01 | 3대 류경만 교장 부임 |
2011.02.17 | 제11회 졸업 |
2012.02.16 | 제12회 졸업 |
2013.02.15 | 제13회 졸업 |
2014.02.14 | 제14회 졸업 |
2014.08.31 | 3대 류경만 교장 퇴임 |
2014.09.01 | 4대 김화순 교장 부임 |
2016.02.05 | 제16회 졸업 |
2017.02.10 | 제17회 졸업 |
2017.03.01 | 5대 양금숙 교장 취임 |
2017.03.01 | 24학급 편성 |
2018.02.14 | 제18회 졸업 |
2019.02.12 | 제19회 졸업 |
2019.03.01 | 6대 박운규 교장 부임 |
2019.03.01 | 22학급 편성 |
2022.03.01 | 초등 18학급편성(유치원4학급) |
3. 구조
학교 건물 구조가 독특하다. 마치 E 모양이다.[1] 본관, 별관, 체육관이 있다.4. 본관[2]
4.1. 지하 1층
지하 1층이 있다. 창고로 쓰이고 있는 것 같다.[3]4.2. 1층
병설유치원(3학급), 1학년 교실(3학급), 1학년 연구실, 조리실, 숙직실, 우유창고 등이 있고, 현재 식당이 공사 중이다.4.3. 2층
2학년 교실(3학급), 3학년 교실(2학급), 2학년 연구실, 영어 방과후실, 교통 안전 교육실, 회의실, 교장실, 역사관 겸 협의실, 교무실, 행정실, 보건교육실, 보건실, 도서실 등의 시설이 있으며, 학교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층이다.4.4. 3층
4학년 교실(4학급), 3학년 연구실[4], 4학년 연구실, 돌봄교실, 과학실, 다목적실, 방과후교실, 자치회의실, 준비실, 자료실, 다목적체육관 연결통로 등이 있다.4.5. 4층
5학년 교실(3학급), 5학년 연구실, 영어교실, 강사 대기실, 컴퓨터실, 디지털교실, 혁신연수실, 상담실[5], 다목적실 등이 있다.4.6. 5층
6학년 교실(3학급), 6학년 연구실, 강당, 방송실, 체육창고, 서고, 전담 연구실, 꿈이룸 안전체험관[6], 탈의실과 샤워실, 다목적실 등이 있다.4.7. 6층
창고로 쓰이는... 줄 알았으나 사실 옥상 출입구였다. 울타리로 막아 놓아 출입이 불가하다.5. 다목적체육관
2020년 완공하여 2020년부터 사용하려 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사용하지 못했다. 다만 2021년부터는 체육시간에 한해 사용 중이다. [7]5.1. 1층
필로티 주차장, 다목적실이 있다.5.2. 2층
미술실, 음악실, 실과실, 준비실 2개, 시청각실, 교과연구실이 있다.5.3. 3층
준비실, 다목적체육관, 연결통로[8] 등이 있다.6. 급식
이 학교는 다른 학교와 달리 급식차가 각 교실까지 배달되어 그 교실 급식당번이 급식을 나누어 준다.[9] 2019년 학교 비정규직 파업 사태 당시 풍덕천동 유이하게[10] 급식이 멀쩡히 나왔다.7. 외부
체육관, 정원, 주차장, (유치원)놀이터 등이 있다. ㅌ 모양의 본관에서 1번째와 2번째 가로선 사이에는 소나무를 중심으로 허브정원[11]이 있었지만 현재는 주차장이고,[12] 2번째와 3번째 가로선 사이에는 등하교 출입구가 있다.또 체육관 공사와 동시에 운동장 쪽으로 후문이 하나 생겼다.
8. 이용 가능 대중교통
8.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신월초교.상록아파트.주공9단지 | 1, 1-1, 5, 11, 15, 15-2, 15-3, 16, 82, 82-1, 700-2, 720-1, 720-2, 6900 |
풍덕천2동주민센터.현대성우아파트[13] | M4101 |
8.2. 지하철
역 명칭 | 노선 | 비고 |
수지구청역 | 신분당선 | |
죽전역 | 분당선 | 죽전역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로 환승. |
9. 여담
- 2016년 이후로 체육관 겸 급식실 공사, 화장실 공사[14], 주차장 공사[15], 점자블럭 공사, 창틀 페인트칠 등 여러 가지 공사를 했다. 코로나 시국에도 불구하고 2020년 여름방학에는
또석면 제거 공사를 했다.
- 전교에 엘리베이터가 딱 한대 있는데 원칙적으론 아픈 학생, 급식차만 사용할 수 있지만 예외는 우유당번. 이 규칙을 이용해 등교 시간[16]에 같은 반 우유당번을 도와주는 척 하고 엘리베이터를 탄다. 이때 한 우유상자를 여러명의 학생이 들고 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코로나로 인해 우유 배식이 중단되자 다친
척하는친구를 부축하는 척 같이 타고 가는 수법이 등장했다.[17] 또 혼자서 가능한 바리에이션으로 발목을 삐끗한 척 하고 절룩거리며 탑승한다.[18] 이 방법은 정말 연기만 잘하면 선생님들도 딱히 터치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좋다.하지만 너무 과도하면 병원에 가서 다 들킬 수도 있다.
- 운동장에 풀이 무성하다. 이유는
당연히폐교된 것은 아니고 체육관 공사로 1년 동안 운동장에 출입할수 없었기 때문이다. 체육관 완공 후 이제 운동장을 쓸 수 있다며 다들 좋아했지만...
- 리코더부가 있었다. [19] 시대회나 각종 행사도 다니면서 활동을 꽤 활발하게 했었지만, 담당 음악선생님이 기간이 차서 전보를 하게 된 이후로 흐지부지되었다. 2018년도까지 유지되었다.
[1] 별관은 ㅡ 모양이다.[2] 편의상 본관과 별관을 합쳐서 서술.[3] 버려진 화분 등이 있다고 한다.[4] 3학년 연구실이 2층이 아닌 3층에 있는 이유는 원래 3학년 교실이 3층이였다가 언젠가부터 3학년 교실이 2층으로 옮겨졌다.[5] 예전에는 음악실이였다[6] 다른 학교에서도 안전체험관을 방문한다. 또한 용인시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일반인도 가볼 수 있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임시 중단.[7] 2019년 공사 시작해서 2020년 완공. 2020년 당시 6학년생들은 (코로나가 겹쳐서) 2년간 운동장을 못썼다. 또한 체육관은 2020년말 몇번밖에 사용하지 못했다.[8] 본관 3층 다목적실과 연결되어 있다[9] 의외로 이런 학교 많다[10] 또 다른 학교는 토월초등학교.[11] 말만 그렇지 허브는 없었다!![12] 후술하겠지만 큰 소나무를 통째로 뽑고 만들었다.[13] 도보 약 10분[14] 무슨 화장실 공사를 매년 한다! 망할 놈의 화장실(?)[15] 이 같은 경우는 원래 주차장 부지 중앙에 있던 소나무를 통째로 뽑고 만들었다.[16] 보통 우유당번이 등교시간에 우유를 들고 온다.[17] 사실 예전부터 쓰이긴 했지만 우유당번 핑계가 더 좋았다.[18] 치밀하게 하려고 발을 삐끗하는 흉내를 내다 실제로 삐끗해서 깁스를 찬 학생이 있다.[19]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파트도 나누어서 20~30명정도로 구성되었었고 처음 생기고 근 몇년간 많은 학생들이 들어가고 싶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