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 ||||
잠수함 (SS) | <colbgcolor=#fff,#191919>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 ||||
경비정 (PC) | 유리급R, PT9R | ||||
구잠정 (PC) |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 ||||
미사일 고속정 (PG) |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 ||||
초계프리깃 (PF) | 쿠스급R | ||||
다목적 프리깃 (FFM) | 모가미급, {신형 FFM} | ||||
호위구축함 (DE) |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 ||||
구축함 | 구축함 (DD) |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 |||
방공구축함 (DDG) |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
헬기구축함 (DDH) |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 ||||
다용도 운용모함 (DDH) | 이즈모급 | ||||
상륙정 |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 ||||
상륙함 |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 ||||
기뢰전함 | 소해모함 |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 |||
소해함 |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 ||||
소해정 |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 ||||
소해관제정 |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 ||||
구조함 |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 ||||
군수지원함 | 보급함 |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 |||
급유함 | 하마나R | ||||
연료수송함 | YOT-1급 | ||||
잠수함모함 | 수중처분모선 1호형 | ||||
다용도 지원함 |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 ||||
정보수집함 | 해양측정함 |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 |||
음향측정함 | 히비키급 | ||||
쇄빙함 |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 ||||
시험함 | 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 ||||
특무정 |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 ||||
훈련함 | 연습함 (TV) |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 |||
훈련지원함 (ATS) | 쿠로베, 텐류 | ||||
연습잠수함 (TSS) |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일본 해상자위대의 미래 다목적 호위함(FMF) 획득 사업에 따라 2025년부터 2030년까지 12척이 건조되어 AAW(Anti-Air-Warfare) 임무를 맡는 방공 호위함이다. 모가미급과 마찬가지로 미쓰비시 중공업이 설계 및 건조를 주도하며, JMU(재팬 마린 유나이티드)가 새롭게 하청으로 참여했다.초기 계획상으로는 배치 1에 해당하는 모가미급 호위함은 12척, 배치 2인 이 신형 FFM은 10척이 건조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 중국,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심화되자 방위성은 대폭 증가된 예산을 활용해 성능과 규모를 기존 계획보다 더욱 상향시키는 것과 더불어 이 신형 호위함을 2척 추가 건조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대신 인원 및 운용비용을 조절하기 위해 호위대군의 범용 호위함의 수가 줄어 무라사메급 구축함 2척이 조기 퇴역하고 그 빈 자리는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2척이 보충할 예정이다#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첫 2척에 대한 건조 가격은 1750억엔이다. 2025년도부터는 3척 동시 건조에 대한 예산이 집행되었다.
2. 제원
신형 FFM 新型 FFM | |||
건조업체 | 미쓰비시 중공업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 ||
종류 | 호위함 | ||
척당가격 | 약 873억엔 | ||
총 건조 대수 | 12척 | ||
건조 기간 | 2025년 ~ 2029년# | ||
취역 기간 | 2028년 ~ 2032년 | ||
기준배수량 | 4,880톤 | ||
만재배수량 | 6,500톤 | ||
전장 | 142m | ||
전폭 | 17.4m | ||
전고 | 9m | ||
승조원 | 90명 이하 | ||
속력 | 30노트 이상 | ||
동력 | 방식 | CODAG | |
기관 | 롤스로이스 MT30 가스터빈 엔진 | ||
MAN V28/33DD STC 디젤 발전기 × 2 | |||
출력 | 70,000hp | ||
센서 | - | ||
- | |||
전자전 | - | ||
채프 발사기 | |||
소나 | - | ||
통신/데이터 링크 | 링크 16·22 전술 데이터링크 | ||
NORA-50 복합 안테나 | |||
정보 처리 | - | ||
무장 | 함포 | Mk.45 5인치 함포 × 1문 | |
수직발사대 | Mk.41 VLS × 32셀 | ||
대공 | 23식 함대공 미사일 | ||
RIM-162 ESSM Block 2 | |||
대함 | 12식 지대함 미사일 능력향상형 함발형 4연장 발사통 × 2 | ||
대잠 | 12식 경어뢰 | ||
07식 VLA[2] | |||
소해 | UUV, USV | ||
중간 심도 EMD 무인 기뢰 제거 시스템 | |||
기뢰 | 간이형 기뢰 부설 장치 | ||
CIWS | Sea RAM Block 2 × 1기 | ||
기관총 | M2 12.7mm HMG RWS × 2 | ||
탑재 항공기 | SH-60L × 1, UAV × ? | ||
격납 및 정비고 有 |
3. 특징
모가미급의 확대 개량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모가미급보다 길이는 12m 연장, 폭은 1m 확폭되어 거의 무라사메급 구축함에 맞먹는 규모로 대형화 되었고, 기준배수량 역시 모가미급보다 1,000톤 가량 증가되었고 무라사메급보다도 300톤 더 무겁다.
함교는 외부로 나가기 수월하도록 오픈된 형태가 되었고, 함교를 둘러싸는 난간이 추가되었다. 이는 해적 대책 등의 해외 파견 임무를 수행할 때 소화기 사격이나 파편으로부터 함교를 보호하는 추가적인 방탄판 역할도 겸한다. 레이더 마스트는 모가미급의 정사각형 형태와는 달리 마름모꼴 형상으로 변경되었으며, 주 레이더 및 ESM 안테나 이외에 AESA 안테나면이 하나 더 추가되어 듀얼밴드 레이더로 구성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외 기타 형상이나 엔진 기관, 레이아웃은 모가미급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고, VDS(가변심도 소나) 및 기뢰부설장치와 USV(무인수상정), UUV(무인잠수정) 운용 도크도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승조원 숫자 역시 모가미급과 마찬가지로 90명 이하에 그친다.# 고정 소나는 바우 소나는 아니지만 기뢰 탐지 소나에 대잠 능력을 부여한 다기능 소나가 탑재된다.
또한, UAV를 운용할 예정으로 현재 일본이 테스트 중인 수직 이착륙 무인기 V-BAT 128과 사출식 고정익 무인기 스캔이글 2 등이 유력 후보로 보이고 있다.#
무장은 07식 ASROC, 12식 지대함 미사일 능력향상형 유도탄의 함대함 버전과 더불어 육상자위대의 03식 지대공 미사일(改)에 부스터를 붙여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로 전환한 23식 함대공 미사일이 탑재될 전망이다. VLS 숫자는 32셀이다.
4. 수출 시도
4.1. 호주 SEA 3000 사업
2024년 7월, 호주 해군의 안작급 호위함을 대체하기 위한 SEA 3000 사업에 "Upgraded Mogami"(능력향상 모가미)로 제안된 것이 확인되었다. 호주의 요구사항에 맞게 마스트의 센서부 및 통신, 전자장비 등을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으며, 호주가 도입한 신형 대함미사일인 NSM을 전투 시스템에 통합하는 작업도 착수되었다.#
역시 유력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충남급 호위함과 비교하면 수출 경험 및 현지 건조능력 및 기술이전 의사, 가격/납기를 준수할 수 있는 능력 면에서는 뒤떨어진 평가를 받을 것이 분명하나 함급 자체의 규모와 자동화의 정도, 무인기 운용 및 기뢰전 등 여러가지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과 미래 확장성에 있어서는 높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을 기준으로 대일외교를 중시하는 호주 정치권과 인력난에 시달리는 해군 고위층에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옵션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과거 호주의 재래식 잠수함 도입 사업인 SEA 1000에서 소류급 잠수함이 비슷하게 정치권과 군 고위층의 지지를 받았음에도 기술이전에 소극적인 태도로 인한 호주 노동계의 외면과 실무자들이 제기한 항속거리 문제에 더해 일본을 선호하던 토니 애벗 총리까지 정권교체 당하면서 결국 탈락했던 것처럼 신형 호위함 역시 비슷한 결말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11월, 독일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의 베스트 셀러인 MEKO A200과 함께 최종 후보군에 올랐다. 선정될 경우 전후 일본 사상 최초의 대규모 무기 수출 계약이 될 전망이다.
5. 동형함 목록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모항 | 상태 | ||
06FFM (레이와 6년도 계획 호위함) | ||||||||
FFM-13 | - | 2025년 예정 | - | 2028년 예정 | - | 건조 예정 | ||
FFM-14 | - | 2025년 예정 | - | 2028년 예정 | - | 건조 예정 | ||
07FFM (레이와 7년도 계획 호위함) | ||||||||
FFM-15 | - | 2026년 예정 | - | 2029년 예정 | - | 건조 예정 | ||
FFM-16 | - | 2026년 예정 | - | 2029년 예정 | - | 건조 예정 | ||
FFM-17 | - | 2026년 예정 | - | 2029년 예정 | - | 건조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