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03:03:24

심팜

1. 개요2. 상세3. 팁


파일:external/cfs4.tistory.com/download.blog?fhandle=YmxvZzEzMTc4MkBmczQudGlzdG9yeS5jb206L2F0dGFjaC8xLzA3MDAwMDAwMDEyMy5qcGc%3D.jpg

Sim Farm

1. 개요

맥시스에서 제작한 심 시리즈의 하나로 1993년작. 이후 1996년 WIN3.1로 리메이크되었다. 풀네임은 심팜: 심시티의 시골 사촌(SimFarm: SimCity's Country Cousin).[1]

2. 상세

제목 봐도 알겠지만 본작의 주제는 '농사'다. 근데 이게 보통 생각하는 그런 농사가 아니라 맥시스 게임답게 전형적인 '미국식' 농법을 재현했기 때문에 밭도 왕창 넓고 트랙터 수십대를 동원해야 하고 밭이 커지면 농업용 경비행기로 농약뿌리고 비료뿌리고 하는 등 스케일이 장난아니게 커진다.[2]

보너스로 목축(돼지, 소, 말, 양)도 가능하긴 한데 거의 푼돈 수준이라 별 도움은 안 된다. 마을에서 하는 가축 콘테스트 용으로 기르는 정도. 콘테스트에서 우승해봤자 상금은 역시 푼돈이지만 기분은 좋다. 사실 가축의 경우 사서 계속 키우기만 하면 가격이 오르고, 농산물같은 가격 등락도 없으므로 이익 자체는 확실히 보장되긴 하는데, 가격 상승이 워낙 장기간에 걸쳐 쥐꼬리만큼씩 일어나는지라 실질 이득은 푼돈 수준이다. 의미있는 수준까지 가격이 올라가려면 수년씩 걸리는데, 그동안 농사를 지으면 한해 몇번씩 수익을 실현하고도 남을 것이다. 게다가 가축 사고 울타리 치고 (가축이 들어가 잘 수 있는) 헛간 짓고 가축이 먹을 사료 준비하고 구유도 준비하고 구유에 물채워줄 물탱크 준비하려면 축산업쪽에 들어가는 초기비용이 훨씬 더 높은데, 대체 몇십년이 지나야 이 초기비용이나 상쇄될지도 계산하기 싫을 지경, 또 게다가 사료는 다 먹으면 계속 보충해줘야 한다.(그나마 헛간을 충분히 지어놓으면 들어가 자느라 사료 소모가 없기는 하지만.) 결국 축산업으로는 이익은 커녕 투자비용 보전+세금지불도 힘드니 농사가 주 컨텐츠일 수 밖에 없고, 가축을 기르는 건 보통 충분히 자리잡은 후 여흥이나 심심풀이 삼아 콘테스트 출품용으로 이익 기대 없이 기르는 정도. 어디까지나 주 목적은 농사.

심 시리즈답게 엔딩은 없다. 그냥 밭 갈아서 농사짓고 돈 많이 버는게 끝이다. 그리고 역시 심 시리즈답게 세세하게 신경써야 할 요소들이 상당히 많아서 이런 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몰입해서 할 수 있을 듯. 시작할 때 미국 전역에서 원하는 지점을 찍어서 시작할 수 있는데, 각 지역마다 풍량, 강수량, 기온 등의 기후나 토양 특성(산성 토양인지 염기성인지) 등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걸 생산해야 돈을 많이 벌 수 있나 고민하게 된다.

작물 역시 실제 작물과 비슷하게 모두 비료 필요량, 살충제 필요량, 물 필요량, 토양 적응, 수확시기 등이 다르다. 예를 들면 농사를 지으려면 물바다를 만들어야 하지만 감자 농사를 짓는다면 물을 그렇게 많이 줄 필요는 없다. 돈을 많이 벌고싶다면 작물간 수확시기를 보면서 끊기지 않게 수확하는게 중요. 예를들면 가을엔 쌀을 수확하고 봄엔 보리를 수확하는 식이다. 밭을 새로 만들지 않고, 밭 메뉴에서 다음에 심을 작물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중간 콩을 심어주면 지력 회복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자. 그리고, 메뉴를 보면 농작물 로드 기능이 있는데... 게임에서 제공되는(파일로 존재하는) 총 농작물은 25가지지만, 실제 플레이 할 때 등장하는 작물은 16가지 뿐이다. 즉, 필요에 따라 환경에 적합한 작물을 로드해야 한다는 것이다.

맵 위에는 작은 마을도 존재한다. 플레이어가 내는 세금이 일정 액수를 넘길 때마다 마을이 확장하는데, 확장 될 때마다 플레이어에게 주거지역, 상업지역, 비행장, 장터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장터를 만들면 매년마다 추수감사제라도 되는지 잔치를 벌이며 품평회에 가축을 출품할 수 있다. 농업용 비행기를 구입하려면 비행장을 만들어야 한다.

한국한글화와 함께 '코리아 심팜'이라는 이름으로 현지화(?)하여 수입하였는데, 초기 메뉴 화면에서 농사지을 위치를 선택할 때 원작의 미국 지도를 한국 지도로 스킨만 바꿔놓은 것이다. 그래서 배경은 한국인데 미국식 건물들이 판을 치고 경운기도 없고[3] 경비행기로 농약을 뿌리고 마을축제에서 로데오 경기가 열리는 괴리감을 느낄 수 있다(...). 게다가 별로 크지 않은 한국 땅에서 지역별 기후차이가 엄청나다. 동서로 긴 미국 지도에 남북으로 긴 한국 지도를 그냥 덮어씌우기만 한 탓에, 지도상에서는 육지로 나오는 경기도, 강원도 북부나 전라남도, 경상남도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데 동해와 서해 중부에서는 바다위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기현상이 벌어진다!

3.



[1] 심시티 2000에는 농업지대 설정이 없다. 1900년대 같이 공업화가 덜 된 시기에 경공업지대를 설정하면 간혹 농사를 짓고 있기도 하지만, 전문적인 농업지대는 3000에서나 나왔다.[2] 요즘은 미국 농업도 천조국 스케일이 상당히 많이 죽어서 비행기를 굴리는 부유한 농부는 극히 드물다... GMO가 날이 갈수록 계속 흥하는 중요한 원인중 하나. 그리고 GMO에 기반한 농약들에 내성을 가진 슈퍼 잡초가 튀어나오면 농부들은 FUUUUUUUUCCCCCCCCKKKKKKK을 외치며 인력시장에서 인력을 고용해서 풀을 베어야하는대, 돈을 줘도 인력을 못 구하는 상황이 기다리고 있다. (...) 오히려 새마을 운동때 농업용 헬리콥터를 대량 구매했던 대한민국에서 심팜스러운 농약 살포를 볼 수 있을 지경. 그나마도 헬리콥터 수명이 다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3] 정확히 말하면 한국 농업에서 흔히 사용하는 비교적 소형의 다용도 농기계인 경운기처럼 귀여운 농기계는 쓰지 않고, 대형 트랙터와 트랙터(tractor: 다른 장비를 견인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를 이용해 견인하는 트레일러(trailer: 수확한 농작물의 운반에 사용), 수확기(harvester: 농작물을 수확하는데 사용), 분무기(sprayer: 비료나 농약을 뿌리는데 사용), 파종기(planter: 씨를 뿌리는데 사용), 쟁기(plow: 밭을 갈아엎은데 사용)를 각각 따로 사용한다. 이외의 농기계로는 트럭(truck: 수확물을 사일로나 마을로 옮기는데 사용. 트랙터 없이 혼자 움직일수 있다.)과 비행기(crop duster: air plane이 아니다. 비료나 농약을 각 논밭 단위가 아니라 맵 전체에 살포하는데 사용. 당연히 역시 트랙터 없이 혼자 날아다닌다.)가 등장한다. 비교적 소규모 농업 중심인 한국식 농업환경이 아닌 전형적인 미국식 대규모 농업환경에 어울리는 기계들이다.[4] 붙어있지 않아도 어떻게 들어가기는 한다. 다만 도로가 아닌 곳을 다니면 자가 소유 장비는 내구도에 데미지를 입고, 임대한 장비(주문한 작업을 이행할 장비가 없거나 부족하면 마을에서 빌려온다)는 수리비 명목으로 추가요금을 잔뜩 때린다..[5] 물론 물 저장탑이 비어버리면 말짱 꽝이므로, 펌프나 풍차로 물을 공급하자. 풍차 정도면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