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쎄타토큰 Theta Token (THETA) | |
<colbgcolor=#3333cc><colcolor=#ffffff> 기호 | THETA |
출시일 | 2018년 3월 |
총 공급량 | 1,000,000,000 THETA |
유통량 | 약 1,000,000,000 THETA |
개발사 | Theta Labs |
블록체인 | Theta Network (독자 체인) |
공식 웹사이트 | thetattoken.org |
1. 개요
쎄타토큰(Theta Token, THETA)은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네트워크를 목표로 하는 Theta Network의 거버넌스 토큰이다. 2018년 Theta Labs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들이 여분의 대역폭을 공유하면 보상으로 TFUEL을 받는 P2P 콘텐츠 전송 구조를 갖추고 있다. THETA는 네트워크 운영과 관련된 거버넌스 투표에 사용된다.2. 특징
* **분산형 스트리밍 인프라**: 전통적인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을 보완하며, 사용자가 직접 노드가 되어 콘텐츠 전송에 참여한다.* **듀얼 토큰 시스템**: THETA는 거버넌스용, TFUEL은 실질적인 트랜잭션 수수료와 보상으로 사용된다.
* **노드 구조**: 엣지 노드, 가디언 노드, 발리데이터 노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가디언 노드 이상은 THETA를 스테이킹해야 운용 가능하다.
* **파트너십**: 삼성 VR, Sony, Google, Binance, LINE 등과 협력하며 실사용 사례를 확대 중이다.
3. THETA와 TFUEL의 관계
Theta Network는 두 개의 토큰을 운영한다.- **THETA** : 프로토콜 거버넌스 및 노드 스테이킹 용도.
- **TFUEL** : 콘텐츠 전송 보상, 스마트 계약 수수료 지불 등에 사용.
4. 활용 사례
* 탈중앙화 콘텐츠 플랫폼* VR/AR 스트리밍
* 스포츠 및 e스포츠 실시간 방송
* 교육 및 크리에이터 플랫폼 연계
5. 유사 사례
Theta Network는 사용자의 활동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분산형 경제 구조를 실현하고 있으며, 유사한 리워드 기반 플랫폼 사례로는 리워디 월렛이 있다.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참여(댓글, 설문, 콘텐츠 소비 등)를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자체 토큰 RWD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델은 Web3 생태계에서 유틸리티 기반 토큰 활용의 대표적 흐름을 보여준다.6. 여담
* 2021년 상반기 NFT 서비스 ‘ThetaDrop’을 런칭하며 NFT 영역으로 확장했다.* Theta Network는 자체 블록체인 위에 구축되어 이더리움 등 타 체인과는 직접 호환되지 않지만, 브리지 등을 통한 상호 운용성도 고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