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2:37:57

씬 리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파일:ThinLizzywhite.png 씬 리지
Thin Lizzy
}}}
파일:lizzy-Barry-Plummer002.webp
▲ 씬 리지의 창림멤버들. 왼쪽부터 브라이언 다우니, 필 리놋, 에릭 벨
<colcolor=#fff><colbgcolor=#000> 국적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결성 1969년
아일랜드 더블린
데뷔 1971년 4월 30일
1집
멤버 필 리놋(리드 보컬, 베이스, 1969~1983)
브라이언 다우니 (드럼, 퍼커션, 1969~1983, 1996~1998, 2010~2013)
에릭 벨(기타, 코러스, 1969~1973)
게리 무어(기타, 코러스, 1974, 1977, 1978~1979)
에릭 릭슨(기타, 코러스, 1969~1970)
스콧 고럼 (기타, 코러스, 1974~1983, 1996~2019)
스노이 화이트 (기타, 코러스, 1980~1982)
브라이언 로버트슨 (기타, 코러스, 1970~1974, 1977~1978)
존 사이크스(기타, 코러스, 1982~1983, 1996~2009)
대런 와튼(키보드, 코러스, 1980~1983, 1996~2001, 2010~2019)
리키 워윅 (리드 보컬, 기타, 2010~2019)
마르코 멘도사 (베이스, 코러스, 1996~2003, 2005~2007, 2010~2013)
토미 알드리지 (드럼, 퍼커션, 1998~2003, 2007~2009)
활동 기간 1969~1983, 1994~
장르 블루스 록, 포크 록, 하드 록, 헤비메탈
레이블 데카 레코드, 버티고 레코드, 머큐리 레코드, EMI 레코드, 베르텔스만 뮤직 그룹, 데 레코드, 워너 브라더스
링크 파일:2560px-Thinlizzy-logo.svg.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인기 및 평가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3.2. 라이브 앨범3.3. 컴필레이션 앨범

[clearfix]

1. 개요

1969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결성된 록 밴드로, 독창적인 사운드와 강렬한 연주 스타일로 록 음악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 인기 및 평가

필 리놋은 단순한 베이시스트가 아니라 공격적인 리듬 연주 스타일로 유명했다. 그는 피크를 사용하여 8분음표나 셋잇단음표를 강렬하게 스트럼하는 방식을 구사하며, 틴 리지만의 독특한 그루브를 만들어냈다.

그의 가사는 개인적인 경험과 켈트 문학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이넛은 더블린에서 성장하며 겪은 노동 계급의 삶과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이야기들을 결합하여, 단순한 록 음악을 넘어 서사적인 스토리텔링을 담은 곡들을 만들어냈다.

또한, 그의 보컬 스타일은 당시의 하드 록 가수들과 차별화되었다. 그는 박자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듯한 보컬 프레이징을 사용했으며, 이는 포크나 재즈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감각을 지닌 것이 특징이었다.

1974년부터 씬 리지는 단일 리드 기타에서 트윈 리드 기타(2인 리드 기타) 구조로 전환했다.
이 스타일은 이후 주다스 프리스트와 NWOBHM 밴드들이 발전시키며 널리 퍼졌다.

아이언 메이든은 틴 리지의 "Massacre" 를 커버하여 1988년 싱글 "Can I Play with Madness"에 수록했다.
앤스랙스는 "Cowboy Song"을 1993년 앨범 《Sound of White Noise》의 일본/호주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했고, "Only"와 "Black Lodge" 싱글의 B사이드로도 발매했다.

메탈리카는 여러 차례 틴 리지의 "Whiskey in the Jar"를 커버했으며, 이는 1986년 사망한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버튼은 생전에 씬 리지를 가장 좋아하는 밴드 중 하나로 꼽았으며, 필 리넛의 베이스 연주 스타일에 큰 영향을 받았다.

더 큐어의 프론트맨 로버트 스미스는 2004년 인터뷰에서 "씬 리지의 공연을 2년 동안 10번 이상 봤다. 그들의 라이브 사운드는 정말 강렬했고, 술을 마시는 것보다도 더 강력한 힘을 줬다."라고 말했다.

건즈 앤 로지스 역시 씬 리지의 영향을 받은 밴드 중 하나이다. 프론트맨 액슬 로즈는 씬 리지의 팬이었으며, 씬 리지의 《Black Rose: A Rock Legend》앨범 커버의 장미를 본 뜬 문신을 하기도 했다.[1]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3.2. 라이브 앨범

3.3. 컴필레이션 앨범


[1] 파일:af42tfsrss5b1.jpg파일:black-rose-a-rock-legend.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