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23:23:49

아나스 하지 무함마드

파일:아나스 하지 무함마드 2025-26 시즌 프로필.png
<colbgcolor=#55367c><colcolor=#fff> K 베이르스홋 VA No. 21
아나스 하지 무함마드
أَنَس الْحَاجّ مُحَمَّد | Anas Haj Mohamed
출생 2005년 3월 26일 ([age(2005-03-26)]세)
이탈리아 아브루초주 키에티현 키에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니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 체중 65kg
포지션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1]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55367c><colcolor=#fff> 유스 AC 키에보베로나 (2011~2021)
파르마 칼초 1913 (2021~2023)
선수 파르마 칼초 1913 (2023~2025)
K 베이르스홋 VA (2025~ )
국가대표 4경기[2] (튀니지 / 202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튀니지 국적의 K 베이르스홋 VA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011년부터 AC 키에보베로나의 유스팀에 있다가 2021년 자유 계약으로 파르마로 이적하였다.

2.1. 파르마 칼초 1913

2023년 11월, 파르마 1군으로 콜업되었다.

이 승격한 뒤에도 로테이션 멤버로 스쿼드에 남아 있었다.

리그 5R 레체전에서 에르나니의 부상으로 후반 67분에 투입되며 세리에에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2어시를 달성하면서 팀의 극적인 무승부를 이끌었다. 특히, 에노의 결정적인 헤더골을 날카로운 킥으로 어시한 것이 주요한 포인트.

리그 11R 제노아전에서 전반 17분 베르나베의 부상으로 교체 투입되었다. 나름 분전했으나 발목 염좌 부상을 입고 후반전 시작하자마자 바로 교체되었다.

리그 14R 라치오전에서 선발 출전하였다. 후반 54분, 샤르팡티에가 찔러 준 패스를 그대로 감아차면서 환상적인 세리에 A 데뷔골이자 팀의 추가골을 기록했다. 팀은 3:1로 승리했으며, 본인은 파르마 역사상 두 번째로 어린 나이에 골을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구단이 제시한 재계약 제의를 거절하면서 2024-25 시즌 종료 후 방출 명단으로 분류되었다.

2.2. K 베이르스홋 VA

2025년 9월 9일, 챌린저 프로 리그 소속 K 베이르스홋 VA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4월, 이탈리아 U-17 대표팀에 소집되어 2023 U-17 유러피언 챔피언쉽 예선에 참가하였다.

2023년 3월에는 모로코 U-20 대표팀에 소집되어 훈련 캠프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2023년 9월, 최종적으로 튀니지 대표팀을 선택하였고, 9월 7일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 컵 예선 J조 6차전 보츠와나전에서 후반 82분에 교체투입되며 데뷔하였다. 팀은 3:0 승리.

2026 월드컵 지역예선 H조 1차전 2경기 상투메 프린시페전에서 벤치에 앉아있었고, 후반 82분 투입되어 8분을 소화하였다. 팀은 4:0 승리.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예선 A조 5차전 마다가스카르전에서 처음으로 선발 데뷔하였다. 우측 윙어로 출전하여 45분을 소화하였고, 후반전 시작과 함께 교체되었다. 팀은 2:3 승리.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예선 A조 6차전 감비아전에서는 후반 85분 교체 투입되었다. 팀은 0:1 패배.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K 베이르스홋 VA 로고.svg
K 베이르스홋 VA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벨기에 국기.svg 자비에르 기스 Xavier Gies
2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콜린 다그바 Colin Dagba
3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밀란 고바에르스 Milan Govaers
4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라이언 플랫 Brian Plat
5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이크 음베 소 Loïc Mbe Soh
6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바스 판덴아인덴 Bas Van den Eynden
7 FW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라지브 판라파라 Rajiv van La Parra
8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카스 반 에누 Lukas Van Eenoo
9 FW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아요우바 코시아 Ayouba Kosiah
10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글렌 클래스 Glenn Claes
11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엠레 우준 Emre Uzun
13 GK 파일:말리 국기.svg 에밀 두쿠레 Emile Doucouré
15 FW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아놀드 불라 Arnold Vula
16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안드레스 라비 Andres Labie [1]
17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악슬 반 힘베크 Axl Van Himbeeck
18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라이언 사누시 Ryan Sanusi 주장
1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브리 겐두즈 Sabri Guendouz
21 FW 파일:튀니지 국기.svg 아나스 하지 무함마드 Anas Haj Mohamed
24 DF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에디손 조르다노프 Edisson Jordanov
26 DF 파일:벨기에 국기.svg 데릭 치망가 Derrick Tshimanga
28 DF 파일:부룬디 국기.svg 마르코 바이만스 Marco Weymans
33 GK 파일:벨기에 국기.svg 닉 신톤 Nick Shinton
41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오스카 바르가스 Oscar Vargas
42 M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티아고 루가노 Thiago Lugano
43 MF 파일:벨기에 국기.svg 잰더 주센 Xander Joosen
45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엔사르 브라히치 Ensar Brahic
46 MF 파일:알제리 국기.svg 케리 만수리 Keryane Mansouri
76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데니스 쟘피 Dennis Gyamfi
78 MF 파일:일본 국기.svg 하라구치 겐키 Genki Haraguchi
94 MF 파일:알제리 국기.svg 시릴 케티르 Cyril Khetir
<colbgcolor=#55367c> 구단 정보
구단주: 압둘라흐만 빈 무사아드 / 감독: 모하메드 메수디 / 홈구장: 올림피스 스타디온
출처: 베이르스홋 공식 홈페이지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3일

[1] SV 쥘터 바레험에서 임대

}}}}}}}}} ||
[1] 공격형 미드필더도 소화 가능하다.[2] 2024년 11월 15일 기준[3] 이탈리아출생지주의를 인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