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 |
| |
<colcolor=#ffffff> 이름 | <colbgcolor=#ededed,#191919> [ruby(伯亜, ruby=はくあ)] [ruby(凌駕, ruby=りょうが)] |
현지화명 | 유키 |
성별 | 남성 |
연령 | 22세 |
소속 | - |
주요 출연작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인물 유형 | 주인공, 히어로 |
변신체 | 아바 레드(다이노 레드) |
첫 등장 | 날뛰는 공룡대진격!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에피소드 1) |
마지막 등장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th 용서받지 못한 아바레 |
배우 | 니시 코이치로 |
성우 | 신용우[1] |
김장[2] | |
슈트 액터 | 후쿠자와 히로후미 |
하라 류타[3]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멤버 & 등장 전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아바 레드/다이노 레드 하쿠아 료우가/유키 |
아바레 블루/다이노 블루 산죠 유키토/타이 | |
아바레 옐로/다이노 옐로 이츠키 란루/루란 | |
아바레 블랙/다이노 블랙 아스카 | |
아바레 킬러/다이노 화이트 나카다이 미코토/미토 |
← 허리케인저 멤버ㆍ 데카레인저 멤버 → }}}
}}}}}} ||
[clearfix]
1. 개요
"원기 막대(元気 莫大), 아바 레드!"[4]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의 주인공. 아바 레드(다이노 레드)로 변신한다. 파트너는 폭룡 티라노사우루스. 2. 작중 행적
3. 기타
- 이름의 유래는 백악기.
- 유일하게 변신 명칭 앞에 아바레가 아닌 '아바'만 붙는다. 아바레+레인저인 아바레인저인것 처럼, 이쪽도 아바레+레드인 아바 레드로 지은 듯 하다.
- 담당 배우인 니시 코이치로는 레귤러 멤버들 중 최연장자이며, 마지막 1970년대생 전대 배우이다. 본편 1화를 처음 촬영했을 당시에는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나쁜 남자였다고 하는데, 자신의 성격을 고쳐보고자 오디션에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자신이 슈퍼전대에 출현했다는 사실을 부끄럽게 여겼으나, 계속 아바레인저를 촬영하면서 자신의 나쁜 점을 모두 고치게 되었고, 지금은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한다.[5] 아바레인저가 완결된 2004년에는 '세계우루룬체제기'[6]에 출현하여 한국에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아바레인저가 국내에 방영하던 시절이라서 그를 직관하던 초등학생들이 다이노 레드!라고 놀라워하는 반응을 보였다.
- 신동립 기자가 쓴 미끄러운 겨울길, 노인 넘어지면 큰일이라는 건강 관련 기사에 나왔다.
4. 오프닝 소개 장면
하쿠아 료우가 / 아바 레드 오프닝 소개 장면 |
2 ~ 49화 |
|
5. 같이 보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아바레인저 |
하쿠아 료우가ㆍ산죠 유키토ㆍ이츠키 란루ㆍ아스카ㆍ나카다이 미코토 | |
쿄류야 | |
스기시타 류노스케 · 이마나카 에밀리 | |
다이노 어스 | |
마호로 · 미즈호 | }}} |
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인공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카이조 츠요시 | 사쿠라이 고로 | 덴 마사오 | 아카기 잇페이 | 오오와시 류스케 → 히바 타카유키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아카마 켄이치 (김현일) | 단 호쿠토 | 고 시로 (설용) | 츠루기 히류 (박태일) | 진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타케루 (강영준) | 아마미야 유스케 (홍성민) | 호노 리키 (강철) | 호시카와 가쿠 | 텐도 류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게키 | 천화성 료 | 사스케 | 호시노 고로 | 진나이 쿄스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다테 켄타 | 료우마 | 타츠미 마토이 | 아사미 타츠야 | 시시 카케루 (레오)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시나 요스케 | 하쿠아 료우가 (유키) | 아카자 반반 (탄탄) | 오즈 카이 | 아카시 사토루 (케인)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칸도 쟝 | 에스미 소스케 (마하) | 시바 타케루 | 아라타 (미르) | 캡틴 마벨러스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사쿠라다 히로무 (재키) | 키류 다이고 (강대성) | 라이토 (한별) | 이가사키 타카하루 (이만세) | 카자키리 야마토 (조하늘)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
럭키 | 야노 카이리(윤새벽) 아사카 케이이치로(오한빛) | 코우 (리드) | 아츠타 쥬루 | 고시키다 카이토 (전려욱) | |
46대 | 47대 | 48대 | 49대 | ||
모모이 타로(천홍도) | 기라 | 한도 타이야 | 토노 호에루 | ||
번외 | |||||
아키바레인저 | |||||
아카기 노부오 | |||||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
권주용 | |||||
틀:슈퍼전대 시리즈의 히로인 / 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신전사 / 틀:슈퍼전대 시리즈의 번외 전사 | }}}}}}}}} |
[1] 이후 후속작 파워레인저 S.P.D에서 각종 단역, 마법전사 유캔도에서 진오 / 드래곤 유천, 파워레인저 트레저포스에서 레이 / 트레저 블랙, 파워레인저 와일드스피릿에서 론,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에서 히로 / 엔진 골드와 엔진 젯타이거를 맡게 되었다. 극장판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VS 고버스터즈 공룡 대결전 안녕, 영원한 친구여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2] 극장판 한정.[3] 原隆太.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th 용서받지 못한 아바레 한정.[4] 한국판에서는 "넘치는 힘, 다이노 레드!"로 변경.[5] 사실 일본에서는 아직 성인이 특촬물 출연을 안 좋게 보는 경향이 다소 있다. 그 예로 마츠자카 토리의 부모님은 2009년에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주인공으로 출연하는 것을 알고 영 마땅치 않은 반응을 보였는데, 훗날 아침 드라마에 출연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까 반응이 완전 딴판이었다고 한다. 물론 특촬물 출연을 자랑스러워하는 배우도 많다.[6] 한국으로 치면 '도전! 지구탐험대' 같은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 그가 체험한 것은 바로 줄타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