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무적 파워레인저란 이름으로 방영된 북미판에 대한 내용은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 문서 참고하십시오.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tablebordercolor=red><tablebgcolor=red>
슈퍼전대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rowcolor=#fff> 1대 (1975) | 2대 (1977) | 3대 (1979) | 4대 (1980) | 5대 (1981) |
<rowcolor=#fff> 6대 (1982) | 7대 (1983) | 8대 (1984) | 9대 (1985) | 10대 (1986) | |
<rowcolor=#fff> 11대 (1987) | 12대 (1988) | 13대 (1989) | 14대 (1990) | 15대 (1991) | |
<rowcolor=#fff> 16대 (1992) | 17대 (1993) | 18대 (1994) | 19대 (1995) | 20대 (1996) | |
<rowcolor=#fff> 21대 (1997) | 22대 (1998) | 23대 (1999) | 24대 (2000) | 25대 (2001) | |
<rowcolor=#fff> 26대 (2002) | 27대 (2003) | 28대 (2004) | 29대 (2005) | 30대 (2006) | |
<rowcolor=#fff> 31대 (2007) | 32대 (2008) | 33대 (2009) | 34대 (2010) | 35대 (2011) | |
<rowcolor=#fff> 36대 (2012) | 37대 (2013) | 38대 (2014) | 39대 (2015) | 40대 (2016) | |
<rowcolor=#fff> 41대 (2017) | 42대 (2018) | 43대 (2019) | 44대 (2020) | 45대 (2021) | |
<rowcolor=#fff> 46대 (2022) | 47대 (2023) | 48대 (2024) | 49대 (2025) | ||
번외 | |||||
<colbgcolor=#ffffff,#191919>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 |||||
히어로 마마 리그 | }}}}}}}}} |
||<-4><tablealign=center><bgcolor=#c90000><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white,#191919> 슈퍼전대 시리즈 공룡 모티브 작품 ||
<rowcolor=#333> 공룡전대 쥬레인저 (1992)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03) | 수전전대 쿄류저 (2013)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2019) |
공룡전대 恐竜戦隊 Kyoryu Sentai Zyuranger (1992) | |
방송 시간 | <colbgcolor=#ffffff,#191919>매주 금요일 오후 17:30 ~ 17:55 (25분 방영) |
방송 기간 | 1992년 2월 21일 ~ 1993년 2월 12일 1994년 7월 9일 ~ 1995년 7월 1일 |
방송 횟수 | 50회 |
제작 | 테레비 아사히 토에이 토에이 에이젠시 |
채널 | 테레비 아사히 TVB |
원작 | 야츠데 사부로 |
프로듀서 | 테레비 아사히 : 우츠노미야 쿄조, 카지 아츠시 토에이 : 스즈키 타케유키, 시라쿠라 신이치로 |
감독 | 토조 쇼헤이 |
각본 | 스기무라 노보루[1], 아라카와 나루히사, 이노우에 토시키 외 |
내레이션 | 오오히라 토오루 |
출연 | 모치츠키 유타, 타카야스 아오히사, 후지와라 히데키, 하시모토 타쿠미, 치바 레이코 외 |
첫 에피소드 | 탄생(誕生) |
[clearfix]
1. 개요
방송 예고 트레일러 |
슈퍼전대 시리즈 16번째 작품으로 미국으로 정식 수출 및 편집된 최초의 슈퍼전대 시리즈. 마녀 반도라 일당과 쥬레인저 5명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참고로 일본어 발음 상 '쥬렌쟈(정확하게는 쥬우렌쟈)'는 한자로 변환이 가능하며 '獣連者(수련자)'라고도 부른다.[2]
전작인 제트맨은 인기를 얻긴 했지만 '싸우는 트렌디 드라마' 라고 할 정도로 고연령층을 겨냥한 감이 없잖아 있었기에 이번 작품은 주 시청자인 아이들이 좋아하는 공룡과 판타지를 컨셉으로 잡고 제작해 인기를 얻는데 성공했다.
파워레인저 퍼팩트 대백과 및 캡틴포스, 다이노포스VS고버스터즈에서의 명칭은 '파워레인저 다이노레인저'.
그러나 파워레인저 젠카이저와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에서는 국내 로컬명칭은 '무적 파워레인저'.
여러모로 초신성 플래시맨과 함께 한국에 슈퍼전대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작품이기도 하다. 다만, 이쪽은 미국판 리메이크인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를 통해서 알려졌다.
2. 특징
전작 조인전대 제트맨이 스토리에 트랜디 드라마 스타일의 연애 요소를 도입하는 등 파격적인 시도를 함으로써 호평을 받았고, 80년대 후반 하향길로 접어들어 시리즈 종료 직전의 위기에 처한 슈퍼전대 시리즈를 기사회생 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종료되었다. 그러나 완구 성적 면에서 결코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때문에 일단 찬스를 얻은 슈퍼전대 시리즈 스탭들은 제트맨의 차기작을 '왕도'노선으로 잡게 되었다. 스즈키 타케유키 프로듀서 작품은 초전자 바이오맨부터 대부분 진지했지만 이 작품은 어린이에 촛점을 맞추고 어린이가 좋아할 재미있는 연출과 유머러스한 스토리로 작품을 만들었다. 비밀전대 고레인저 ~ 태양전대 선발칸 때의 노선으로 회귀한 것이다. 다만 이 시기 작품은 기본 코미디였지만 각본가 우에하라 쇼조가 사회비판, 동심 파괴급 블랙 코미디, 우울한 전개도 슬쩍 넣었었으므로 그런 것도 최대한 줄인 이 작품은 더 본격적인 어린이용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각본가가 스기무라 노보루인지라 이 작품도 은근히 충격적인 에피소드도 종종 있고[3] 후반에 선악관에 대해 논하지만 스기무라의 다른 작품과 비교하면 많이 자중한 것이다.여담으로 이에 대해서 처음에 토에이 내부에서는 기껏 제트맨에서 어른 시청자들을 끌어들여 새로운 팬층을 확보했더니 도로 어린이 노선으로 회귀한다며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도 많았다고 한다.
본 작품의 모티브로 공룡이 채택된 것은 마이클 크라이튼의 SF소설 쥬라기 공원이 베스트 셀러가 되고, 스티븐 스필버그에 의해 영화화 된다고 발표된 것이 계기이다.
본작의 첫 기획단계명은 공룡전대 다이노맨, 공룡전대 사우루스맨 이었지만 전자는 1983년작인 과학전대 다이나맨과 명칭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누락되었다.[4]
판타지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옛 이야기나 전설 등의 요소가 많이 가미되어 있다. 이전 전대에서도 요정이 등장하는 등 간간히 사용되었던 소재이지만, 쥬레인저에서는 각 로봇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신'으로 설정하는 등 단순히 '첨가' 수준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극 자체에 큰 영향을 주는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이런 특징은 단지 '마무리' 였던 로봇 액션에도 극적인 역할을 부여하게 되었으며 이후 가오레인저, 마지레인저 등에 차용된다.
그리고 출시할때마다 당시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는 일본의 국민 RPG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영향을 받아[5], 새로운 힘을 얻기 위해서는 거기에 걸맞은 시련을 통과해야만 그 힘을 얻을 자격이 주어진다는 설정 때문에, 쥬레인저 멤버들은 새로운 힘을 얻으려 할 때마다 매번 고생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 등장한 브라이를 기점으로 '신전사'라는 원칙이 완벽하게 자리잡아, 이후 시리즈에서는 대부분 신전사가 등장하게 된다. 원래 브라이는 광전대 마스크맨의 X1 마스크처럼 단역으로 그칠 예정이었지만 등장과 동시에 높은 인기를 얻어 계속 출연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인기를 반영하듯 브라이의 죽음을 메인 이벤트로 잡은 에피소드인 42화 '브라이 죽다'는 13.2%라는 경이적인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사실 실질적으로 극 중에서 사망한 주요 캐릭터는 브라이와 카이(반도라의 아들)뿐이며 반도라 일당도 사망하지 않고 항아리에 봉인된 뒤 우주 저편으로 날아가버리는 등, 의외로 사망자가 적은 작품이다. 그런 것 치고 이미 죽은 브라이가 다시 죽음을 맞는 장면은 명장면이라고 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장면이었다.
공룡전대라고는 하지만 구성을 보면 공룡이라고 할 수 있는 게 딱 두 종류뿐.[6] 사실 공룡의 개념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정확하게 인지되지 않은 탓에 후기에 나온 공룡을 모티브로 잡은 전대에도 가끔 공룡이 아닌 종류가 끼긴 한다.[7] 자주 공룡으로 오인당하는 익룡 프테라노돈이 대표적인 예. 이건 그래도 공룡과 동시대의 생물이고 용각류뿐만이 아니라 고대 파충류전반으로 의미를 넓히면 대충 그렇다 쳐도 이 작품은 명색이 공룡전대라는 이름을 달고 있으면서 공룡 시대 이후에나 나타났을 뿐더러 파충류도 아닌 신생대의 포유류인 매머드[8]나 검치호가 끼어 있고[9] 여기에 신전사는 공룡은 커녕 환상종인 드래곤이라는 점은, 공룡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수준이 높아진 현 시점에서 돌이켜보면 참 재미있는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렇게 된 이유는 5마리를 전부 공룡으로 하면 디자인 라인이 비슷해질 우려가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 그런것이라고 한다.[10][11] 여담으로 쥬레인저 맴버들이 1억 7천만년전 공룡과 함께 싸웠던 고대민족[12]이라는 설정에 대해 '공룡시대에는 인간이 존재하지도 않았다'며 고증에 맞지 않다고 비판하는 소리도 종종 나왔다는데, 이에 대해 스기무라는 "그렇게 따지면 인간이 변신하는건 말이 되나?"라며 가볍게 무시했다고 한다.
캐스팅에서도 특별한 점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전자전대 덴지맨~태양전대 선발칸의 헤드리안 여왕으로 유명한 소가 마치코가 마녀 반도라 역할을 맡은 것. 방영시 반도라의 인기가 쥬레인저의 인기보다 높아서 반도라의 비중을 줄이고 쥬레인저의 활약을 높였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또 프테라레인저 역할을 맡은 치바 레이코는 이 작품을 기점으로 인기가 상승하여 입지가 높아졌고 덕분에 특촬물 = 연예계 등용문 이라는 공식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덕분에 이후 시리즈에서는 다양한 연기자가 등장하게 된다. 단, 초보 연기자들도 많이 있기에 초반 이야기에서는 다소 연기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가면라이더 시리즈도 마찬가지).
2013년 당시 메이 역을 맡은 치바 레이코의 트위터 소식에 따르면, 수전전대 쿄류저 12월 방영분에 공룡전대 쥬레인저 5인방과 함께 게스트 출연한다고 한다고 했으나. 사실은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 출연이 결정된 것이었다. 대신 배우가 직접 나오는 것은 게키를 맡은 모치즈키 유타 뿐이고. 나머지 4명은 목소리만 나온다. 물론 배우들 본인이 직접 녹음한 거다. 단의 목소리가 다른 사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지만. 본인임이 확인되었다. 다만, 엔딩 크레딧에는 이름이 올라와 있지 않는데 이는 배우의 개인적 사정 때문이라고 한다.[13]
은근히 시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던 전대인데, 42화에서 드래곤 시저가 날뛰자 시민들에게 돌을 맞기도 하고 46화에서는 가짜 쥬레인저 소동으로 뺨까지 맞는다.
3. 파워레인저의 시초
이 작품을 얘기할 때 파워레인저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인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Mighty Morphin Power Ranger)는 빠질 수 없는 것으로, TV 시리즈로도 대 히트를 치고 극장판도 히트[14] 워낙 인기가 좋아서 3기까지도 복장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 갔다. 아직도 파워레인저 시리즈는 일본의 특촬을 수입해서 리메이크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지만, 세월이 지날수록 미국판 나름대로의 이야기와 추가 요소를 도입해서 슈퍼전대 시리즈와는 다른 느낌의 프로그램이 되었다. MMPR에 대한 이야기는 해당 항목을 참조.1기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는 일본에서도 방영했는데,[15] 당시 방영하던 초력전대 오레인저의 시청률을 압도하는 기현상을 연출했다.
4. 등장인물
4.1. 쥬레인저
1억 7천만 년 전, 마녀 반도라가 봉인되어 네메시스 행성으로 추방 당한 뒤 언젠가 부활하여 다시금 지구를 침략해올 것을 예상하여 결성된 팀이며 각 부족을 대표하는 전사들을 선발하여 기나긴 잠에 빠지게 하여 훗날 반도라의 침공에 대비한다. 그리고 현대에 우연히 반도라가 봉인에서 풀려나자 이를 저지하게 위해 다시금 기나긴 잠에서 깨어나게 된다.[16]
코드명 | 컬러 | 수호수 | 캐릭터명 | 무기 | 배우 | 국내성우[17] |
티라노 레인저 | 레드 | 티라노사우르스 | 게키 | 용격검 | 모치즈키 유타[18] | 성완경 |
맘모스 레인저 | 블랙 | 쥬맘모스 | 고우시 | 모스 브레이커 | 타카야스 아오히사[19] | 김태훈[20]/이인석[21] |
트리케라 레인저 | 블루 | 트리케라톱스 | 단 | 트리케 랜스 | 후지와라 히데키 | 김혜성 |
타이거 레인저[22] | 옐로 | 사벨 타이거 | 보이 | 사벨 대거 | 하시모토 타쿠미 | 정주원 |
프테라 레인저 | 핑크 | 프테라노돈 | 메이 | 프테라 애로우 | 치바 레이코 | 강시현 |
드래곤 레인저 | 그린 | 드래곤 시저 | 브라이 | 수주검 | 이즈미 시로 |
- 불가사의 선인 바쟈
- 생명의 성령 클로드
- 요정 놈
배우는 이와키 리키야(岩城 力也)[23]. 숲에 사는 요정으로 바쟈와는 오랜 친구. 바쟈와 마찬가지로 공격 마법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투 시에는 광탄을 골프를 하는 것처럼 적에게 명중시키거나, 근대 무기를 이용하고 있다. 삐딱한 면모를 보이지만 사실은 상냥한 성격. 료타(배우는 우에무라 히로키)라는 손자가 있다. 료타는 과거에 브라이가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걸 기억해서 할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를 봉인한 문의 열쇠를 멋대로 가져가 부활시켰는데 브라이가 변한 걸 보고 충격을 받았다.
2025년 현재 아직까지 현역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는 고우시를 연기했던 우몬 세이쥬 한 명밖에 없고, 게키를 연기했던 모치즈키 유타는 2005년에 은퇴했지만 21년 만에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에서 게스트로 출연했다. 단 역을 맡았던 후지와라 히데키는 연기 활동을 그만두고 일본의 국민 아이돌 SMAP의 매니저로 활동했으며 보이로 활약한 하시모토 타쿠미 역시 연기자를 그만두고 현재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지내고 있다. 메이로 활약한 치바 레이코는 아이돌을 은퇴한 뒤 사업가로 성공했다. 해당 항목 참조. 브라이를 연기한 이즈미 시로는 그 후로도 연기자 활동을 하다가 지금은 은퇴하고 한 초밥 집의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4.2. 반도라 일당
5. 등장 메카
6. 사용 장비
자세한 내용은 공룡전대 쥬레인저/무장 및 아이템 문서 참고하십시오.
7. 주제가
7.1. 오프닝: 공룡전대 쥬레인저
7.2. 엔딩
공룡전대 쥬레인저 ED - 모험하자 랍빠삐야! (冒険してラッパピーヤ!) | |
<colbgcolor=#d3d3d3,#2c2c2c> 작사/곡 | 츠노 고우지 |
편곡 | 야마모토 켄지 |
가수 | 피타고라스[24] |
오프닝곡과 엔딩곡을 각각 다른 가수가 부른 최초의 사례다. 이후 다이레인저부터 긴가맨까지는 가수가 기존처럼 동일했지만 고고파이브부터 다른 가수가 부르는 것이 관례로 정착하게 된다.
8. 방송 목록
방영일 | 방영 화수 | 제목 | 각본 | 감독 | 특이사항 |
1992/02/21 | 1화 | 탄생 | 스기무라 노보루 | 토조 쇼헤이 | |
1992/02/28 | 2화 | 부활 | |||
1992/03/06 | 3화 | 싸워라, 절망의 대지 | 오가사와라 타케시 (小笠原 猛) | ||
1992/03/13 | 4화 | 되살아나라, 전설의 무기 | |||
1992/03/20 | 5화 | 무서~운 수수께끼 | 사카모토 타로 (坂本太郎) | ||
1992/03/27 | 6화 | 일어나라! 대수신 | 대수신 첫 등장 | ||
1992/04/03 | 7화 | 보인다, 보여 | 스기무라 노보루 아라키 켄이치 (荒木憲一) | 토조 쇼헤이 | |
1992/04/10 | 8화 | 공포! 순간 식사 | 스기무라 노보루 | 요정 놈 등장 | |
1992/04/17 | 9화 | 달려라, 알 왕자 | 오가사와라 타케시 | ||
1992/04/24 | 10화 | 원숭이는 이제 싫어! | |||
1992/05/01 | 11화 | 주인님! | 스기무라 노보루 아라키 켄이치 | 와타나베 카츠야 | |
1992/05/08 | 12화 | 아빠는 흡혈귀? | 타카쿠 스스무 | ||
1992/05/22 | 13화 | 쏴라! 황금 화살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토조 쇼헤이 | |
1992/05/29 | 14화 | 작아져~라! | 스기무라 노보루 | ||
1992/06/05 | 15화 | 부숴라! 암흑초검 | 사카모토 타로 | ||
1992/06/12 | 16화 | 재치기 대작전 | 타카쿠 스스무 | 료타 등장 | |
1992/06/19 | 17화 | 6번째의 영웅! | 스기무라 노보루 | 토조 쇼헤이 | 브라이 등장 |
1992/06/26 | 18화 | 슬픔의 형제검 | |||
1992/07/03 | 19화 | 여전사 전갈! | 오가사와라 타케시 | 라미이 등장 | |
1992/07/10 | 20화 | 대수신 최후의 날 | |||
1992/07/17 | 21화 | 수호수 대소동 | 토조 쇼헤이 | 드래곤 시저 첫 등장 생명의 성령 클로드 등장 | |
1992/07/24 | 22화 | 합체! 강룡신 | 브라이 합류 강룡신 첫 합체 | ||
1992/07/31 | 23화 | 정말 좋아 초마구 | 사카모토 타로 | ||
1992/08/07 | 24화 | 거북이로 만년 | 아라카와 나루히사 | ||
1992/08/14 | 25화 | 악마가 사는 공원 | 타카쿠 스스무 | 아메미야 케이타 | |
1992/08/21 | 26화 | 빙수를 조심해 | 이노우에 토시키 | ||
1992/08/28 | 27화 | 메이를 먹고 싶어 | 사기야마 쿄코 (鷺山京子) | 토조 쇼헤이 | |
1992/09/04 | 28화 | 대개조! 점토수 | 스기무라 노보루 | ||
1992/09/11 | 29화 | 수수께끼? 다가오는 수기신 | 킹 브라키온 첫 등장 | ||
1992/09/18 | 30화 | 사탄이 온다 | 오가사와라 타케시 | 대사탄 첫 등장 | |
1992/09/25 | 31화 | 부활! 궁극의 신 | 수제 대수신 및 구극 대수신 첫 등장 | ||
1992/10/02 | 32화 | 게키여, 눈물을 베어라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와타나베 카츠야 | |
1992/10/09 | 33화 | 가르쳐 줘! 용기 구슬 | 사기야마 쿄코 | ||
1992/10/16 | 34화 | 브라이 살아라! | 스기무라 노보루 | 사카모토 타로 | |
1992/10/23 | 35화 | 닌자전사 보이 | 타카쿠 스스무 | ||
1992/10/30 | 36화 | 부숴라! 죽음의 거울 | 스기무라 노보루 | 토조 쇼헤이 | |
1992/11/06 | 37화 | 공룡이 태어나다 | 오가사와라 타케시 | ||
1992/11/13 | 38화 | 메이 공주 7변화!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토조 쇼헤이 | |
1992/11/20 | 39화 | 지저수의 눈물...... | 타카쿠 스스무 | 오가사와라 타케시 | |
1992/11/27 | 40화 | 브라이, 죽음의 출발 | 스기무라 노보루 | 토조 쇼헤이 | |
1992/12/04 | 41화 | 불타라, 브라이 | |||
1992/12/11 | 42화 | 브라이 죽다..... | 브라이 사망 | ||
1992/12/18 | 43화 | 되살아나라! 수주검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사카모토 타로 | |
1992/12/25 | 44화 | 여검사! 일본 제일 | |||
1993/01/08 | 45화 | 바보자식 소년 | 타카쿠 스스무 | 오가사와라 타케시 | |
1993/01/15 | 46화 | 등장! 흉악 전대 | 아라카와 나루히사 | ||
1993/01/22 | 47화 | 돌입! 최종결전 | 스기무라 노보루 | 와타나베 카츠야 | 카이 등장 |
1993/01/29 | 48화 | 어둠의 아들 | |||
1993/02/05 | 49화 | 신이 패배하다! | 토조 쇼헤이 | ||
1993/02/12 | 최종화 | 공룡 만세! | 최종회 대사탄, 카이 사망 반도라 일당 봉인 |
9. 중국에서의 표절
중국에서 만든 애니메이션 초니마전대 신수금강(草泥马战队 神受金刚)에서, 해당 작품의 대수신과 드래곤 시저의 메카 디자인을 표절했다.더욱 자세한 내용은 초니마전대 신수금강 문서 참고.
10. 타임라인
- 1화 ~ 50화
- 해적전대 고카이저 - 50화 ~ 51화
-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
11. 관련 작품
- 해적전대 고카이저 - 고우시(50화, 최종화) 게스트 출연
-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 - 게키 게스트 출연
- 슈퍼로봇대전 X-Ω - 대수신 기간한정 참전.
- 마이티 모핀 파워레인저 - 본편보다 더 유명해진 국제판이자 리메이크.
12. 게임
13.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등장인물 | |||
선역 | 등장 전사 | |||
악역 | 반도라 일당 | |||
설정 | ||||
무장 및 아이템 | ||||
음악 | ||||
주제가 | 오프닝 엔딩 : 모험하자 랍빠삐야! | |||
← 조인전대 제트맨 ㆍ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 }}}}}}}}}}}} |
[1] 메인 각본[2] 여담으로 한자 표기가 따로 개제된 것은 '쥬레인저라고 하면 구성인원이 10(じゅう,쥬)명이라고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표기를 타이틀에 넣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실제로는 유태인의 별칭인 Jews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한자표기를 넣은 것이다.[3] 특히 브라이 등장 에피소드가 그렇다. 브라이가 나오는 에피소드는 대부분 스기무라 각본이다.[4] 공룡 역시 짐승이라고 짐승 수(獸)에서 딴 쥬레인저가 되었다. 영어로도 동물이 Zoo인데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 따왔다는 얘기도 있다.[5] 방영 당시 최근작은 드래곤 퀘스트 IV였고, 방영 도중이었던 당해년도에 드래곤 퀘스트 V가 출시되었다.[6] 등장 기체를 기준으로 해도 공룡 모티브는 셋뿐이다(수호수 티라노사우르스, 수호수 트리케라톱스, 수기신 킹 브라키온).[7] 일례로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에 등장한 폭룡 디메노코돈의 모티브인 디메트로돈도 정확히는 공룡의 분류에 들어가지 않으며(더군다나 공룡과 달리 고생대 동물이며 파충류가 아닌 단궁류다.), 수전전대 쿄류저에서도 공룡과는 별개의 종인 어룡, 수장룡과 같은 해양 파충류를 모티브로 한 전사도 등장한다. 기사룡전대 류소우저에서는 아예 가공의 공룡이 등장한다.[8] 현 시점에서 쥬레인저는 공룡을 소재로 한 슈퍼전대 시리즈 중 유일하게 매머드형 메카가 나오는 작품이 되었다. 아바레인저와 쿄류저는 아예 포유류형 메카가 등장하지 않으며, 쥬레인저처럼 검치호형 메카가 나오는 류소우저조차 매머드형 메카는 안 나오기 때문이다.[9] 게다가 공룡들도 킹 브라키온의 모티브인 브라키오사우루스를 제외하면 죄다 백악기 공룡들이다. "쥬"라기 "레인저"를 줄여서 만든 제목임에 틀림없어 보이는데 말이다.[10] 초기 설정에선 레드 - 티라노사우루스, 그린 - 트리케라톱스, 블루 - 프테라노돈, 블랙 - 브라키오사우루스, 옐로 - 스테고사우루스로 구성했었다고 한다.[11] 재미있는 사실은, 이 작품보다 3년 전에 방영했던 마동왕 그랑조트(국내 방영명 슈퍼 그랑죠)에 등장한 사동신에 이 작품에 등장하는 5마리의 공룡&동물이 모두 등장한다.[12] 고대민족의 설정도 현실의 인류처럼 신생대때 영장류에서 진화된 포유류가 아닌 중생대때 공룡에서 인간의 형태로 진화된 존재라고 한다.[13] 이는 당시 트리케라레인저를 연기했던 후지와라 히데키가 연예계를 은퇴하고 일본의 국민 아이돌 그룹인 SMAP의 매니저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SMAP의 소속 사무소인 자니즈는 출연자는 물론 소속 직원까지도 초상권 및 신상이 유출되는 것을 민감하게 여기기 때문에, 음성은 녹음하였지만 크레딧에는 올릴 수 없었다.[14] 원작인 쥬레인저는 극장판이 나오지 않았다. 극장판 터보 더 무비는 터보의 프롤로그이자 지오레인저의 에필로그 스토리.[15] 북미판에서 1기의 마녀 리타(반도라)를 소가 마치코가 맡았는데 이것은 더빙에서도 달라지지 않아서 더빙에서도 리타의 목소리는 그녀가 맡았다. 더불어 당시 방영했던 성우진들이 호화 성우진이었는데 레드 역에 나카무라 다이키, 블루 역에 마도노 미츠아키, 그린 레인저 토미 역에 오치아이 코지였다.[16] 쥬레인저는 공룡에서 진화한 인류의 전사이기 때문에 수호수뿐 아니라 쥬레인저도 생물분류상 공룡으로 분류된다.[17] 캡틴포스, 다이노포스VS고버스터즈 한정.[18] 오자마녀 도레미의 도레미의 아빠 성우이다.[19] 현재는 '우몬 세이쥬'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해적전대 고카이저에서도 이 예명으로 출연했다.[20] 캡틴포스[21] 다이노포스VS고버스터즈[22] 이곳 공룡 컨셉인 여기서 의미하는 타이거는 흔히 떠올리는 현생의 줄무늬 호랑이가 아닌 검치호 즉 스밀로돈의 또 다른 명칭인 샤벨타이거의 줄인 말로 사용한 것이다.[23] 1915년 8월 26일 생으로, 토야마 현 출신이다. 1999년 12월 21일에 향년 84세로 작고했다.[24] 본편의 음악담당을 맡고있는 츠노 고우지이다. 가수활동시에 명의로 사용하는 예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