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4:41:19

아에단 막 가브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FF00 0%, #00FF00 30%, #00FF00 70%, #00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르크 막 에흐다흐 로안 막 에르크 페르구스 1세 도망가르트 1세 콤갈 막 도망가르트
가브란 막 도망가르트 코날 1세 아에단 막 가브란 에오차이드 1세 코나드 세르
돔날 1세 페르샤르 1세 던차드 1세 코날 2세 도망가르트 2세
말두인 막 코날 돔날 2세 페르샤르 2세 에오차이드 2세 아인브헬라흐 막 페르차이어
피아나메일 막 코네일 셀바흐 막 페르샤르 던차드 2세 둔갈 막 셀바이그 에오차이드 3세
무이레다흐 막 아인브켈라흐 에오간 막 무이레다흐 인드레흐타흐 막 피아나메일 아에드 막 에흐다흐 페르구스 2세
돈코르키 코날 막 테이그 코날 막 아에다인 에오차이드 4세 돔날 3세
카우산틴 막 페르구사 아에드 막 보안타 알핀 막 에오차이드 키나드 1세 }}}}}}}}}}}}}}}
<colcolor=#000000><colbgcolor=#00FF00> 달 리어타 제8대 군주
아에단 막 가브란
Áedán mac Gabráin
이름 아에단 막 가브란
(Áedán mac Gabráin)
출생 535년
사망 609년 4월 17일 (향년 74세)
재위 제8대 달 리어타 군주
574년 ~ 609년 (34년)
아버지 가브란 막 도망가르트
자녀 아서, 에오차이드 핀드, 도망가르트, 에오차이드 1세, 투아탈, 브란, 베센, 코닝, 가르트나이트, 마이트잼

1. 개요2. 행적

[clearfix]

1. 개요

달 리어타 제8대 국왕.

2. 행적

가브란 막 도망가르트의 아들이다. 538년 아버지가 사망한 뒤 사촌이자 가브란 막 도망가르트의 이전 국왕 콤갈 막 도망가르트의 아들인 코날 1세가 왕위에 올랐다. <캄브리아 연대기>에 따르면, 573년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1]의 국왕 리드더치 하엘(Rhydderch Hael)과 에브라우크 왕국[2]의 페레뒤르 압 엘리퍼(Peredur ab Eliffer)와 구르기 압 엘리퍼(Gwrgi ab Eliffer) 왕자가 이끄는 연합군이 아르프데리드(Arfderydd)[3]의 왕 그웬돌루 압 세이디오(Gwenddoleu ap Ceidio)를 상대로 아르데리드 전투를 치렀을 때, 아에단이 그웬돌루와 동맹을 맺고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를 면치 못했다고 한다.

574년, 코날 1세가 사망했다. 그 후 달 리어타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아이오나 수도원장 콜룸바의 추대로 달 리어타의 왕이 되었다. 575년, 아에단은 콜룸바와 함께 아일랜드의 드림케트루임 케트[4]에서 열린 의회에 참석해, 브리튼섬 내에 있는 달 리어타는 위닐 왕조의 군주 아에드 막 아인메레흐로부터 독립을 인정받는 대신, 아에드 막 아인메레흐가 아르드리가 되기 위해 전쟁을 벌일 때 항상 지원하기로 했다. 576년, 코날 1세의 아들 던차드 막 코네일이 아에단의 왕위 계승에 반발하여 킨타이어 반도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델로곤(Delogon) 전투에서 아에단에게 패사했다.

580년 픽트족의 왕 브리데이 1세가 원정을 통해 장악했던 오크니 제도를 습격해 공략했으며, 581년에 달 피아타흐[5]의 왕이자 울라의 아르드리인 바에탄 막 카이릴(Báetán mac Cairill)이 사망하면서 바에탄이 577년 공략했던 맨섬에 대한 달 피아타흐의 통제가 사라지자, 582년 군대를 파견해 맨섬을 점령했다. 이후 포스 강 상류 지역의 부족인 마이아테아에족(Maeatae)을 상대로 원정을 단행해 580년대 후반에 평정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아에단의 두 아들 아서와 에오차이드 핀드가 전사했다. <베르찬의 예언>(The Prophecy of Berchán)[6]에 따르면, 아에단은 픽트족과 13년 동안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다고 한다.

아이오나 수도원장 아돔나누스가 집필한 <성 콜룸바의 생애>에 따르면, 어느 날 아에단이 콜룸바에게 자신의 새 아들 아서, 에오차이드 핀드, 도망가르트 중 누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겠냐고 물었다. 그러자 콜룸바는 그들 모두 전투에서 죽을 것이기 때문에 누구도 통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 후 콜룸바는 왕에게 어린 아들들을 데려오라고 했고, 4번째 상속인 에오차이드 1세가 나타나자 그를 축복하고 그의 아버지를 향해 이렇게 선언했다고 한다.
"이 아이가 당신보다 오래 살 것입니다!"

저자는 이어서 아서와 에오차이드 핀드가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이아테아에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했고, 도망가르트는 섹소니아(Saxonia)에서 전사했다고 밝혔다. 색소니아는 색슨족이 사는 땅이란 뜻으로, 학자들은 로디언(Lothian) 지방이었을 거라고 추정한다. 이로 볼 때, 아에단은 안토니누스 방벽을 넘어서 로디언까지 세력 확장을 꾀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아들 아서가 마이아테아에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역사적 사건이 아서왕캄란 전투에서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사망하는 이야기의 원형이라고 주장한다.

그 후, 아에단은 레게드, 스트래스클라이드, 고도딘 등 하드리아누스 방벽과 안토니누스 방벽 사이의 브리튼인 국가들과 동맹을 맺고 앵글로색슨족 국가인 베르니시아를 상대로 맞서 싸웠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다가 그의 통치 말기에 이르러 달 리어타의 위세가 상당히 약해졌다. 얼스터 연대기에 따르면, 아에단은 600년 스트라스모어 전투에서 남부 픽트족에게 패배했다고 한다. 이후 베르니시아의 왕 에셀프리트가 스코틀랜드 남부에 대한 약탈 원정을 연이어 벌이자, 아에단은 603년 브리튼족과 아일랜드 군사 지도자 마엘 우마이 막 바에타인(Máel Umai mac Báetáin)과 연합해 베르니시아를 응징하기 위한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그러나 뒤이은 데그사스탄(Degsastan) 전투에서, 아에단은 전멸에 가까운 참패를 당하고 패주했다. 다만 애설프리트의 동생[7]이 이 전투에서 전사하는 등, 베르니시아의 손실도 만만치 않았다.

베다에 따르면, 데그사스탄 전투 이후 게일인들은 두 번 다시 베르니시아 및 노섬브리아에 대한 어떠한 침략을 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고 한다. 이리하여 달 리어타의 확장 정책이 좌절된 뒤, 아에단은 6년간 기록상에서 언급되지 않다가 8세기 또는 9세기에 중세 아일랜드 언어로 작성된 <탈라흐트의 순교록>에 609년 4월 17일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티게나흐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사망했을 당시에 74세였다고 한다. 이에 따른다면, 그는 535년생이었을 것이다. 12세기에 집필된 <성 라시리니의 생애>(Acta Sancti Lasriani)은 아에단이 왕위에서 추방되었다고 기록했지만 진위는 불분명하다. 14세기 스코틀랜드 연대기 작가 포던의 존(John of Fordun)은 아에단이 킨타이어 반도의 킬케란( Kilkerran, 현재 캠벨타운)에 안장되었다고 밝혔다.

<알바인의 역사>(Senchus fer n-Alban)에 따르면, 그의 아들은 에오차이드 핀드, 투아탈, 브란, 베센, 코닝, 가르트나이트였다고 한다. 여기에 아돔나누스는 <성 콜룸바의 생애>에서 아서와 에오차이드 핀드, 도망가르트, 에오차이드 1세를 언급했다. 이중에서 에오차이드 1세가 아에단의 뒤를 이어 달 리어타의 왕이 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가브란 씨족의 주요 계통이 되었지만, 코닝의 후손들도 별도의 세력을 갖추고 8세기까지 왕위를 놓고 경쟁했다. 한때 아에단 막 가브란의 아들 가르트나이트가 픽트족의 왕 가르트나이트 3세와 동일 인물이며, 아에단의 아내가 픽트족 출신이기에 브리데이 1세의 뒤를 이어 픽트족의 왕이 될 수 있었다는 주장이 정설로 취급되었지만, 최근 일부 학자들은 가르트나이트 막 아에단은 실존인물이 아니며, 8세기 초 아에단 막 가브란의 후손으로서 킨타이어(Kintyre) 반도를 지배했던 가넷 씨족이 픽트족에 대한 통치권을 주장하고자 조작한 이야기라고 추정한다.

아에단의 딸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다만 게마(Gemma)로도 기록된 마이트잼(Maithgemm)은 달 피아타흐의 카이렐(Cairell)이라는 왕자와 결혼했다는 이야기는 전해진다. 아에단의 아내들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지만, 한 명은 브리튼인이라고 하며, 다른 한명은 픽트족 여성이라고 한다.


[1] Kingdom of Strathclyde. 하드리아누스 방벽안토니누스 방벽 사이의 영역에 건국된 브리튼인의 국가.[2] 요크를 중심으로 건국된 브리튼인 국가[3] 현재 영국 컴브리아주 아서엣(Arthuret)[4] Druim Cett, 현재 북아일랜드 런던데리주[5] Dál Fiatach. 아일랜드 북동부에 자리잡은 울라 왕국 내 집단[6] 초기 중세 시대에 중세 아일랜드어로 집필된 역사시[7] 베다는 데오드발트가 전사했다고 밝혔고, 아일랜드 연대기는 엔프리드가 죽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