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6:30:01

안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안리(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리(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리(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안리(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리(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리(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안리
[ruby(杏里, ruby=あんり)] | ANRI
<nopad> 파일:anr1i.jpg
본명 川島 栄子 (카와시마 에이코)
출생 1961년 8월 31일 ([age(1961-08-31)]세)
가나가와현 야마토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lbgcolor=#6BA7C4> 신체 168cm
A형
장르 J-POP, 시티 팝
직업 가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작사가
데뷔 1978년 11월 オリビアを聴きながら(올리비아를 들으면서)
활동시기 1978년 ~
레이블 포 라이프 레코드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활동3. 앨범4. 여담

1. 개요

일본싱어송라이터. 1978년 데뷔 이래 현재까지도 활동하고 있는 가수이다.

'사랑스럽게 아메리칸'(82년), 'CAT'S EYE'(83년), '슬픔이 멈추지 않는다'(83년) 등 당시 낸 싱글들이 히트를 기록하며 80s 재패니즈 뉴뮤직을 견인했고, 2010년대 후반 레트로 열풍으로 일본식 시티팝(뉴뮤직)이 재조명되면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올라갔다.

2. 활동

가나가와현 야마토시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웠으며, 오빠 덕에 십대 시절 JPOP이나 팝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노래들을 들으며 자랐다. 가장 좋아하던 아티스트들은 브레드 앤 버터, 카구야히메, 요시다 타쿠로, 이노우에 요스이. 또한 그 시절에 오빠가 드라이브를 데려갔을 때 들었던 폴 모리아의 곡을 완주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1978년 여름 방학에 로스앤젤레스에서 녹음한 "올리비아를 들으면서"[1]로 데뷔하였다. 이때 17세 고등학교 2학년, 가나가와 현립 희망가오카 고등학교 재학 중이었다.

데뷔 후 수년 동안은 아주 메이저한 가수는 아니었으나, 1980년대 아이돌의 곡조에 전해진 「코튼 기분」, 유러피언 사운드에 전해진 「애처의 공작」 등 여러 음반을 만든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시기가 본인에게는 가장 힘들었던 시기였다고 한다. 바빴던 모양.

1983년 당시 아직 무명이었던 카도마츠 토시키에게 5번째 앨범 'Bi·Ki·Ni'의 A면 5곡 프로듀스를 맡겨 세련된 음악의 이미지, 가수 안리가 아닌 아티스트 안리가 탄생되었다. 6월 발표한 ' Bi·Ki·Ni '는 자기 최고의 오리콘 앨범 차트 27위를 기록했다. 8월에는 일본 TV로부터 의뢰받아 애니메이션 ' 캣츠♥아이 '의 주제가 ' CAT'S EYE '의 싱글을 발매했다. 애니메이션 노래라 본인도 처음에는 당황했지만, 악곡의 장점으로부터 자신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예감이 있었다고 하고, 결과적으로 크게 히트해, 자신 최초의 오리콘 1위에 빛나고, 안리의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다.

직후에 발매한 싱글 ' 슬픔이 멈추지 않는다 '(강진화 작사, 카도마츠 토시키에 의한 프로듀스)도 연속 히트해, 2곡 모여 베스트 10입(?)을 완수했다. 12월에는 이들 2대 히트 싱글을 수록한 앨범 「Timely!!」를 발표해 오리콘 1위를 했다. 연말에는 제34회 NHK 홍백가합전에 첫 출전하면서 일본의 인기 가수임을 인정받는다.

1987년 발매 앨범 「SUMMER FAREWELLS」 이후, 안리 본인에 의한 셀프 프로듀스가 시작되어, 계속 작사를 담당하는 요시모토 유미에 더해, 편곡에 오구라 야스 하루를 맞아 공동으로 악곡 제작하거나, 그 후 본격적으로 안리 자신이 전 악곡의 작곡에 걸려, 송 라이터로서 아이돌 등에 악곡을 제공하는 등, 아티스트로서 한층 더 그 이름을 올렸다. 여름에 잘 맞는 댄서블한 곡이나 발라드곡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1988년에는 앨범 ' BOOGIE WOOGIE MAINLAND ', 베스트 앨범 ' MY FAVORITE SONGS ', 싱글 ' SUMMER CANDLES ', ' 스노프레이크의 길거리 '가 연속 히트했다.

3. 앨범

발매일타이틀
1978년 11월 21일안리 -apricot jam- (杏里 -apricot jam-)
1979년 6월 21일Feelin'
1981년 9월 21일슬픔의 공작새 ( 哀しみの孔雀 )
1982년 11월 21일Heaven Beach
1983년 6월 5일Bi・Ki・Ni
1983년 12월 5일Timely!!
1984년 6월 21일COOOL)
1985년 6월 21일WAVE
1986년 6월 5일MYSTIQUE
1986년 11월 21일TROUBLE IN PARADISE
1987년 5월 2일SUMMER FAREWELLS
1988년 5월 21일BOOGIE WOOGIE MAINLAND
1989년 6월 21일CIRCUIT of RAINBOW
1990년 6월 23일MIND CRUISIN'
1991년 6월 1일NEUTRAL
1992년 6월 24일MOANA LANI
1993년 8월 25일1/2&1/2
1996년 7월 29일Angel Whisper
1997년 10월 8일TWIN SOUL
1998년 7월 15일MOONLIT SUMMER TALES
1999년 6월 23일EVER BLUE
2000년 7월 19일The Beach House
2001년 10월 24일My Music
2005년 11월 2일Sol
2015년 8월 19일Smooth & Groove
2016년 8월 3일Melodies Smooth&Groove
2017년 7월 12일FUNTIME
2018년 8월 1일ANRI
2019년 3월 6일Duke’s Anthem〜星空のどこかで〜
2019년 3월 6일忘れられない贈りもの
2019년 3월 6일Crescent Moon
2019년 7월 28일Duke's Anthem 〜星空のどこかで〜
2019년 7월 28일ANRI Deluxe Edition

4. 여담


파일:Timely!! cover.jpg
올리비아 뉴튼-존의 슬픈 소식을 듣고 나에게 소중한 보물, 빛이 사라졌다.
당신 덕분에 オリビアを聴きながら(올리비아를 들으면서)가 탄생했고 오늘 내가 여기 있을수 있습니다.
몇 년 전 당신을 직접 만나게 되었고 그때의 당신의 미소와 말들이 아직도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천국에서도 당신은 사랑스러운 미소와 멋진 목소리로 영원히 노래할 것입니다.
당신의 명복을 빕니다.
해당 게시물


[1] 좋아하는 올리비아 뉴튼 존 의 음악을 들으며 담담하게 하루를 이야기하는 듯한 내용에 더해 헤어진 사람에게 이야기를 하는 듯한 가사가 인상적이다. 올리비아 뉴튼 존은 암투병 2022년 8월 8일 사망하였다. 이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추모 글을 올렸다. 2024년 애니메이션인 스낵 바스에에서 성우 타카하시 리에가 이 곡을 커버했다.[2] 주요 음원 사이트 순위권에서 찾아보기도 힘든게 현실이다.[3] 정확하겐 당시 일본엔 시티팝이란 명칭이 유행한 적이 없고, 뉴뮤직이란 말이 더 유행했다.[4] 1995년 발매된 가수 김정민의 2집 7번트랙 "이젠 다시"가 안리의 6집앨범 Timely!!의 悲しみがとまらない I CAN’T STOP THE LONELINESS 와 유사한 점이 많아 표절 의혹이 있었다. 후렴부 같은 경우 거의 완전히 멜로디가 ‘일치’하는데다 원곡과 같은 타이밍(1분25초 부근)에 정확히 ‘I can’t stop’이라는 똑같은 가사까지 들어있다.[5] 여담으로 ‘悲しみがとまらない I CAN’T STOP THE LONELINESS’는 TJ노래방에 ‘6669’번으로 수록되어있다. 현재로서 태진 기기에 수록된 유이한 안리의 곡이다. 나머지 하나는 ‘6664’번에 수록된 데뷔곡 ‘オリビアを聴きながら’.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