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 야마구치현 제1구 山口県第1区 | }}} |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555,871명 (1993) | |||||
상위 도도부현 | 야마구치현 | |||||
하위 행정구역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정수 | 4 | |||||
마지막 선출 국회의원 | 아베 신조, 하야시 요시로, 가와무라 다케오, 고가 다카아키 |
1. 상세2. 역대 국회의원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2.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3.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4.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6.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7.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8.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9.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0.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1.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2.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3.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4.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5.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6.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7.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18.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clearfix]
1. 상세
야마구치현 서부 지방(구 나가토국과 거의 일치)을 관할하던 선거구였다. 오랜 기간에 걸쳐 아베 신타로 전 외무대신 및 그 후계자이자 차남인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 하야시 요시로 전 대장대신, 다나카 기이치의 장남이자 야마구치현지사를 역임했던 다나카 다쓰오 와 그의 후계자인 가와무라 다케오 전 내각관방장관 등 자민당 공천 중진 의원 3명이 4석 중 3석을 확보, 마지막 4번째 의석은 사회당과 민사당이 의석을 획득하는 자민당의 텃밭 선거구였다.소선거구제 병립 이후에는 하기시, 나가토시를 중심으로 하는 야마구치현 제3구와 시모노세키시를 중심으로 하는 야마구치현 제4구로 나눠졌다. 여기서 가와무라는 3구로, 시모노세키시를 기반으로 하고 있던 아베 신조는 4구로 하야시는 주고쿠 비례구로 전출되었다.
2019년 가와무라가 정계은퇴를 하자 참의원 의원이자 하야시 요시로의 장남인 하야시 요시마사가 3구에서 당선되었고, 2022년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암살로 인한 갑작스러운 사망과 4구의 인구감소에 따른 선거구 통폐합으로 아베 가문과 함께 시모노세키시를 기반으로 하던 하야시 가문이 지역기반을 다시 되찾게 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의원명 | 소속정당 |
23회(1947) | 이마즈미 이사무 | |
사카모토 미노루 | | |
스토 히데오 | | |
쇼 타다토 | | |
24회(1949) | 요시다케 에이치 | |
스토 히데오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사카모토 미노루 | | |
25회(1952) | 요시다케 에이치 | |
니시카와 사다이치 | | |
스토 히데오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 |
26회(1953) | 다나카 다쓰오[1]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호소사코 가네미츠 | ( ) | |
요시다케 에이치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 |
27회(1955) | 스토 히데오 | |
다나카 다쓰오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 |
호소사코 가네미츠 | ( ) | |
28회(1958) | 다나카 다쓰오 | |
아베 신타로[2] | | |
스토 히데오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29회(1960) | 호소사코 가네미츠 | |
다나카 다쓰오 | | |
스토 히데오 | | |
아베 신타로 | | |
30회(1963) | 호소사코 가네미츠 | |
다나카 다쓰오 | | |
스토 히데오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31회(1967) | 아베 신타로 | |
다나카 다쓰오 | | |
스토 히데오 | | |
에다무라 요사쿠 | | |
32회(1969) | 아베 신타로 | |
다나카 다쓰오 | | |
하야시 요시로[3] | | |
이마즈미 이사무 | | |
33회(1972)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에다무라 요사쿠 | | |
34회(1976)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에다무라 요사쿠 | | |
35회(1979)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에다무라 요사쿠 | | |
36회(1980)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에다무라 요사쿠 | | |
37회(1983)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하마니시 데쓰오 | | |
38회(1986) | 아베 신타로 | |
하야시 요시로 | | |
다나카 다쓰오 | | |
하마니시 데쓰오[4] | | |
39회(1990) | 아베 신타로[5] | |
오가와 마코토 | | |
하야시 요시로 | | |
가와무라 다케오 | | |
40회(1993) | 아베 신조 | |
하야시 요시로 | | |
가와무라 다케오 | | |
고가 다카아키 | |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이마즈미 이사무 | 50,207표 | 1위 |
| 20.5% | 당선 | |
| 사카모토 미노루 | 38,692표 | 2위 |
| 15.8% | 당선 | |
| 기무라 고헤이 | 30,328표 | 3위 |
| 12.4% | 당선 | |
民主 | 쇼 타다토 | 23,540표 | 4위 |
| 9.6% | 당선 | |
| 코토 츠네키치 | 21,425표 | 5위 |
| 8.7% | 낙선 | |
| 타무라 시다이치 | 20,587표 | 6위 |
| 8.4% | 낙선 | |
| 미호 카즈미 | 16,016표 | 7위 |
| 6.5% | 낙선 | |
協同 | 히키다 토시오 | 15,878표 | 8위 |
| 6.5% | 낙선 | |
| 야마모토 토시히라 | 8,370표 | 9위 |
3.4% | 낙선 | ||
無 | 코이케 고이치 | 8,327표 | 10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 | 낙선 | |
無 | 하나다 토라오 | 5,005표 | 1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 | 낙선 | |
民主 | 히라키 이치로 | 4,985표 | 12위 |
| 2.0% | 낙선 | |
繁栄郡 | 미츠다 츠구로 | 1,091표 | 13위 |
''' 상호번영부 ''' | 0.4% | 낙선 | |
無 | 시바타 이조오 | 867표 | 1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45,318표 | 투표율 66.8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71,577명 |
3.2.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民自 | 요시타케 에이치 | 56,918표 | 1위 |
| 18.7% | 당선 | |
民自 | 스토 히데오 | 53,973표 | 2위 |
| 17.7%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40,660표 | 3위 |
| 13.3% | 당선 | |
民自 | 사카모토 미노루 | 39,887표 | 4위 |
| 13.1% | 당선 | |
| 야마모토 토시히라 | 35,866표 | 5위 |
11.8% | 낙선 | ||
民自 | 쇼 타다토 | 32,860표 | 6위 |
| 10.8% | 낙선 | |
民自 | 미호 카즈미 | 32,032표 | 7위 |
| 10.5% | 낙선 | |
労働 | 카와무라 우메지 | 8,540표 | 8위 |
| 2.8% | 낙선 | |
無 | 사쿠라이 코도 | 4,117표 | 9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04,853표 | 투표율 80.83%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384,818명 |
3.3.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요시타케 에이치 | 60,847표 | 1위 |
| 17.6% | 당선 | |
| 니시카와 사다이치 | 58,250표 | 2위 |
| 16.8%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53,743표 | 3위 |
| 15.5%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49,502표 | 4위 |
| 14.3% | 당선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48,394표 | 5위 |
| 14.0% | 낙선 | |
| 사카모토 미노루 | 41,732표 | 6위 |
| 12.1% | 낙선 | |
改進 | 니시다 분지 | 19,867표 | 7위 |
| 5.7% | 낙선 | |
無 | 하나다 토라오 | 6,763표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 | 낙선 | |
協同 | 미야시타 타메토모 | 6,513표 | 9위 |
''' 협동당 ''' | 1.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45,611표 | 투표율 81.66%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27,325명 |
3.4.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無 | 다나카 다쓰오 | 90,830표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8% | 당선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74,604표 | 2위 |
| 22.0% | 당선 | |
| 요시타케 에이치 | 65,565표 | 3위 |
| 19.4%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57,402표 | 4위 |
| 17.0%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49,902표 | 5위 |
| 14.7%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38,303표 | 투표율 79.28%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29,832명 |
3.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스토 히데오 | 90,896표 | 1위 |
| 26.0%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81,711표 | 2위 |
| 23.4%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70,763표 | 3위 |
| 20.2% | 당선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58,985표 | 4위 |
| 16.9% | 당선 | |
| 요시타케 에이치 | 42,286표 | 5위 |
| 12.1% | 낙선 | |
無 | 니키 시즈 | 5,072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49,713표 | 투표율 79.8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41,653명 |
3.6.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다나카 다쓰오 | 102,882표 | 1위 |
| 27.1% | 당선 | |
| 아베 신타로 | 70,814표 | 2위 |
| 18.6%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70,239표 | 3위 |
| 18.5%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64,406표 | 4위 |
| 17.0% | 당선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63,817표 | 5위 |
| 16.8% | 낙선 | |
| 야마모토 토시히라 | 7,436표 | 7위 |
1.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79,594표 | 투표율 83.1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59,285명 |
3.7.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86,191표 | 1위 |
| 23.8%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8,179표 | 2위 |
| 21.6%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69,756표 | 3위 |
| 19.3% | 당선 | |
| 아베 신타로 | 68,218표 | 4위 |
| 18.8%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54,660표 | 5위 |
| 15.1% | 낙선 | |
| 하라다 쵸시 | 3,494표 | 6위 |
1.0% | 낙선 | ||
無 | 니키 시즈 | 1,466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61,964표 | 투표율 77.13%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72,040인 |
3.8.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호소사코 카네미츠 | 79,740표 | 1위 |
| 21.9%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9,294표 | 2위 |
| 21.8%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71,811표 | 3위 |
| 19.7%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65,420표 | 4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e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민주사회당)] | 18.0% | 당선 | |
| 아베 신타로 | 58,021표 | 5위 |
| 16.0% | 낙선 | |
| 무라카미 신 | 9,211표 | 6위 |
2.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63,497표 | 투표율 76.16%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80,395인 |
3.9.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98,771표 | 1위 |
| 26.3%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0,659표 | 2위 |
| 18.8% | 당선 | |
| 스토 히데오 | 65,864표 | 3위 |
| 17.5%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65,419표 | 4위 |
| 17.4%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64,234표 | 5위 |
| 17.1% | 낙선 | |
| 무라카미 신 | 10,470표 | 7위 |
2.8%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75,417표 | 투표율 78.4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483,733명 |
3.10.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87,671표 | 1위 |
| 24.1%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82,303표 | 2위 |
| 22.6%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71,447표 | 3위 |
| 19.6%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62,255표 | 4위 |
| 17.1%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48,082표 | 5위 |
| 13.2% | 낙선 | |
| 오호 아츠시 | 12,171표 | 6위 |
3.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63,929표 | 투표율 72.0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10,339인 |
3.11.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91,855표 | 1위 |
| 24.2%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75,004표 | 2위 |
| 19.7%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2,868표 | 3위 |
| 19.2%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61,225표 | 4위 |
| 16.1% | 당선 | |
| 이마즈미 이사무 | 55,836표 | 5위 |
| 14.7% | 낙선 | |
| 오호 아츠시 | 21,436표 | 6위 |
5.6% | 낙선 | ||
無 | 나가이 스미타카 | 1,544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4% | 낙선 | |
無 | 사다코 시즈 | 355표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0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80,123표 | 투표율 73.8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19,459인 |
3.12.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98,376표 | 1위 |
| 27.0%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76,806표 | 2위 |
| 21.1%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5,886표 | 3위 |
| 20.8%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72,233표 | 4위 |
| 19.8% | 당선 | |
| 이토 기요시 | 32,280표 | 5위 |
8.9% | 낙선 | ||
無 | 나카가와 마사미 | 8,463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64,044표 | 투표율 70.0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27,700인 |
3.13.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111,953표 | 1위 |
| 29.8%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87,578표 | 2위 |
| 23.3%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7,050표 | 3위 |
| 20.5%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63,406표 | 4위 |
| 16.9% | 당선 | |
| 이토 기요시 | 31,911표 | 5위 |
8.5% | 낙선 | ||
無 | 사다코 시즈 | 3,203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75,101표 | 투표율 70.97%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35,605인 |
3.14.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127,947표 | 1위 |
| 31.9%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86,948표 | 2위 |
| 21.7%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84,361표 | 3위 |
| 21.0% | 당선 | |
| 에다무라 요사쿠 | 71,408표 | 4위 |
| 17.8% | 당선 | |
| 아사노 켄지 | 30,512표 | 5위 |
7.6%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545,270표 | 투표율 77.08%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38,233인 |
3.15.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108,448표 | 1위 |
| 28.4%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71,472표 | 2위 |
| 18.7%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67,211표 | 3위 |
| 17.6% | 당선 | |
| 하마니시 데쓰오 | 62,269표 | 4위 |
| 16.3% | 당선 | |
| 야스히로 요시노리 | 37,376표 | 5위 |
| 9.5% | 낙선 | |
| 이토 유키 | 35,582표 | 6위 |
9.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545,270표 | 투표율 70.7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45,270인 |
3.16.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139,123표 | 1위 |
| 34.7%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81,312표 | 2위 |
| 20.3% | 당선 | |
| 다나카 다쓰오 | 70,093표 | 3위 |
| 17.5% | 당선 | |
| 하마니시 데쓰오 | 54,951표 | 4위 |
| 13.7% | 당선 | |
| 야스히로 요시노리 | 30,411표 | 5위 |
| 7.6% | 낙선 | |
| 야마모토 다케오 | 25,279표 | 6위 |
6.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01,169표 | 투표율 75.46%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45,700인 |
3.17.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타로 | 102,204표 | 1위 |
| 24.8% | 당선 | |
| 오가와 마코토 | 95,824표 | 2위 |
| 23.3%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87,473표 | 3위 |
| 21.2% | 당선 | |
| 가와무라 다케오 | 77,506표 | 4위 |
| 18.8% | 당선 | |
| 타가와 쇼지 | 35,895표 | 5위 |
8.7% | 낙선 | ||
無 | 모리타 시게코 | 12,876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11,778표 | 투표율 75.6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48,954인 |
3.18.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현 제1구 | |||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베 신조 | 97,647표 | 1위 |
| 24.2% | 당선 | |
| 하야시 요시로 | 65,709표 | 2위 |
| 16.3% | 당선 | |
| 가와무라 다케오 | 65,467표 | 3위 |
| 16.2% | 당선 | |
| 고가 다카아키 | 51,055표 | 4위 |
| 12.7% | 당선 | |
| 에지마 기요시[6] | 48,119표 | 5위 |
| 11.9% | 낙선 | |
| 오가와 마코토 | 43,076표 | 6위 |
| 10.7% | 낙선 | |
| 타가와 쇼지 | 28,508표 | 7위 |
7.1% | 낙선 | ||
連合 | 사사키 노부오 | 3,995표 | 8위 |
''' 진보자유연합 ''' | 1.0%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03,576표 | 투표율 73.4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55,871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