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모토 요시노부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4년 | → | 2025년 | → | 2026년 |
1. 개요2. 시즌 전
2.1. 시범 경기
3. 페넌트레이스3.1. 3~4월
4. 총평5. 포스트 시즌 (진출시)6. 시즌 후7. 관련 문서3.1.1. 3월 18일: CHC전 (도쿄 시리즈) [승리]3.1.2. 3월 28일: DET전 (홈) [ND]3.1.3. 4월 4일: PHI전 (원정) [패배]3.1.4. 4월 11일: CHC전 (홈) [승리]3.1.5. 4월 18일: TEX전 (원정) [승리]3.1.6. 4월 25일: PIT전 (홈) [패배]3.1.7. 3~4월 총평
3.2. 5월3.3. 6월3.4. 7월3.5. 8월3.6. 9월3.7. 정규 시즌 성적1. 개요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2025시즌을 정리한 문서. 날짜는 현지 시간(UTC-8) 기준.2. 시즌 전
2월 12일 LA 다저스 도쿄 시리즈 선발 로스터 발표 결과 3월 18일에 열리는 도쿄 시리즈 개막전에 선발 투수로 나서게 되었다.2.1. 시범 경기
2월 20일 시카고 컵스 상대로 등판해 1⅔이닝 3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2월 26일 밀워키 상대로 등판해 2⅓이닝 4피안타(2피홈런) 2볼넷 2K 3실점으로 부진하였다.
3월 4일 신시내티 상대로 등판해 4이닝 4피안타 3K 2실점을 기록하였다.
3월 10일 애리조나 상대로 등판해 5이닝 4피안타 1볼넷 7K 1실점을 기록하며 승리투가 되었다.
시범 경기 4경기에서 총 1승 13이닝 6실점 15피안타(2피홈런) 3볼넷 14K ERA 4.15 WHIP 1.38을 기록하였다.
3. 페넌트레이스
3.1. 3~4월
3.1.1. 3월 18일: CHC전 (도쿄 시리즈) [승리]
- 경기 전
- 경기 결과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5 | 4 | 3 | 0 | 1 | 1 | 1 | 72 |
3.1.2. 3월 28일: DET전 (홈)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5 | 10 | 5 | 2 | 2 | 2 | 2 | 91 |
3.1.3. 4월 4일: PHI전 (원정)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패 | 6 | 5 | 3 | 0 | 3 | 1 | 0 | 97 |
3.1.4. 4월 11일: CHC전 (홈)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 | 9 | 2 | 0 | 1 | 0 | 0 | 103 |
3.1.5. 4월 18일: TEX전 (원정) [승리]
- 경기 전
- 경기 결과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7 | 10 | 5 | 0 | 0 | 0 | 0 | 102 |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많은 시간이 흐르고 남았지만, 지금 당장 NL 최고의 투수는 야마모토다. 폴 스킨스도 꽤 좋으니까 무시할 수는 없지만"이라고 평가했다. MLB.com은 '로버츠 감독은 야마모토가 NL 사이 영 상 경쟁에 강력한 후보가 될 수 있다고 믿는데, 이 상에 대해 몇 가지를 아는 사람을 상대하면서 분명히 그에 걸맞는 역할을 해냈다'고 논평했다. #
3.1.6. 4월 25일: PIT전 (홈) [패배]
- 경기 전
- 경기 결과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패 | 5 | 5 | 4 | 0 | 4 | 3 | 1 | 94 |
3.1.7. 3~4월 총평
4월이 끝나가는 현재 선발 투수 중 메이저리그 전체 평균자책점(ERA) 선두를 달리면서 작년에 비해 일취월장한 기량을 선보이며 본인의 평가를 반등시키는 데 성공했다.가장 고무적인 점은 역시 메이저리그 공인구에 대한 적응으로, 작년에 공인구 적응 실패로 인해 주무기인 스플리터가 안먹힌 때가 있어 가끔씩 말아먹는 경기가 나왔던 것과 달리 이번 시즌은 아직 초반이지만 스플리터가 통하면서 매 경기마다 기복 없이 우수한 피칭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마치 NPB 시절로 돌아온 듯한 폼을 보이며, 사이 영 상 레이스에 본격적으로 발을 얹는 데 성공했다.
다만 상대하는 선발 투수가 거의 다 메이저리그에서 이름높은 선수들이라 그런지 영 따르지 않는 승운은 흠. 예를 들면 제이콥 디그롬, 폴 스킨스 등을 상대했다.
3~4월 NL 이달의 투수상을 수상하였다.[2] #
3.2. 5월
3.2.1. 5월 2일: ATL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 | 6 | 1 | 0 | 2 | 0 | 0 | 91 |
3.2.2. 5월 8일: AZ전 (원정)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패 | 5 | 4 | 6 | 2 | 1 | 5 | 5 | 88 |
3.2.3. 5월 14일: A's전 (홈) []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3.3. 6월
3.4. 7월
3.5. 8월
3.6. 9월
3.7. 정규 시즌 성적
<rowcolor=#FFFFFF> 일자 | 상대 |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3/18 | 시카고 컵스 | 승 | 5 | 4 | 3 | 0 | 1 | 1 | 1 |
3/28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ND | 5 | 10 | 5 | 2 | 2 | 2 | 2 |
4/4 | 필라델피아 필리스 | 패 | 6 | 5 | 3 | 0 | 3 | 1 | 0 |
4/11 | 시카고 컵스 | 승 | 6 | 9 | 2 | 0 | 1 | 0 | 0 |
4/18 | 텍사스 레인저스 | 승 | 7 | 10 | 5 | 0 | 0 | 0 | 0 |
4/25 | 피츠버그 파이리츠 | 패 | 5 | 5 | 4 | 0 | 4 | 3 | 1 |
3~4월 전체 - 6G 34이닝 3승 2패 ERA 1.06 43K WHIP 1.00 | |||||||||
5/2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승 | 6 | 6 | 1 | 0 | 2 | 0 | 0 |
5/8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패 | 5 | 4 | 6 | 2 | 1 | 5 | 5 |
5/14 | 애슬레틱스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
5월 전체 - 2G 11이닝 1승 1패 ERA 4.09 10K WHIP 0.91 | |||||||||
6/? | - | - | - | - | - | - | - | - | - |
6월 전체 - 0G 0이닝 0승 0패 ERA 0.00 0K WHIP 0.00 | |||||||||
7/? | - | - | - | - | - | - | - | - | - |
7월 전체 - 0G 0이닝 0승 0패 ERA 0.00 0K WHIP 0.00 | |||||||||
8/? | - | - | - | - | - | - | - | - | - |
8월 전체 - 0G 0이닝 0승 0패 ERA 0.00 0K WHIP 0.00 | |||||||||
9/? | - | - | - | - | - | - | - | - | - |
9~10월 전체 - 0G 0이닝 0승 0패 ERA 0.00 0K WHIP 0.00 | |||||||||
시즌 전체 - 8G 45이닝 4승 3패 ERA 1.80 53K WHIP 0.98 |
4. 총평
5. 포스트 시즌 (진출시)
6. 시즌 후
7. 관련 문서
[1] 다저스 투수의 6이닝 3피안타 이하 비자책 경기는 작년 8월 19일 개빈 스톤 이후 처음이다.[2] 노모 히데오, 이라부 히데키, 다나카 마사히로, 다르빗슈 유에 이어 역대 5번째 일본인 수상자가 되었다.[3] 이 경기 종료 기준, MLB 전체 1위, MLB 유일 0점대 ERA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