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케네 군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페르세우스 왕조 | |||
<rowcolor=#b59162>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페르세우스 | 알카이오스 | 엘렉트리온 | 스테넬로스 | |
페르세우스 왕조 | 아트레우스 왕조 | |||
<rowcolor=#b59162> 5대 | 제6대 • 8대 | 제7대 | 제9대 | |
에우리스테우스 | 튀에스테스 | 아트레우스 | 아가멤논 | |
아트레우스 왕조 | ||||
<rowcolor=#b59162>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아이기스토스 | 알레테스 | 오레스테스 | 티사메노스 | |
미케네 왕비 | }}}}}}}}} |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미케네 페르세우스 왕조 제 3대 국왕 엘렉트리온 Ἠλεκτρύων| Electryon | |
출신 | 미케네 |
부모 | 페르세우스 (아버지) 안드로메다 (어머니) |
형제 | 페르세스 알카이오스 스테넬로스 헬레이오스 메스토르 키누루스 고르고포네 아우토크테 |
배우자 | (1) 아낙소[1] 혹은 에우리디케[2] (정비) (2) 미데이아[3] (첩) |
자녀 | (1) 슬하 9남 1녀 스트라토바테스 고르고포누스 필로노무스 켈레네우스 암피마쿠스 리시노무스 키리마쿠스 아낙토르 아르켈라우스 알크메네 (딸) (2) 슬하 1남 리킴니오스 |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아들로, 형 알카이오스가 죽은 후 미케네의 왕이 되었다.[4]
2. 행적
2.1. 프테렐라오스의 야욕
엘렉트리온의 형제 메스토르는 형들이 왕이 된 이후, 타포스 섬으로 가 일가를 꾸린다. 메스토르의 딸 히포토에는 포세이돈의 사랑을 받았고, 메스토르의 증손자이자 포세이돈의 손자인 프테렐라오스[5]는 타포스 섬의 왕이 된다. 그러나 프테렐라오스는 자신의 나라에 만족하지 못하고, 엘렉트리온이 다스리던 미케네까지 넘보게 된다.2.2. 아들들의 비극
프테렐라오스는 여섯 아들들을 엘렉트리온에게 보내 미케네의 일부를 요구했으나, 엘렉트리온은 이를 묵살한다. 이에 분노한 프테렐라오스의 아들을은 엘렉트리온의 소 떼를 훔쳐 달아났고, 엘렉트리온 역시 아들들을 보내 소 떼를 되찾아오게 한다.엘렉트리온의 아들들과 프테렐라오스의 아들들끼리 칼부림이 일어났고, 양쪽 모두 한 명씩만 살아남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다.[6] 심지어 소 떼마저 살아남은 프테렐라오스의 아들인 에베레스(Everes)[7]가 엘리스의 폴릭세노스에게 팔아 넘겨버렸기에, 엘렉트리온은 갑작스럽게 적자 아홉 모두와 소 떼들을 잃는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2.3. 허무한 죽음
비극을 겪은 엘렉트리온 앞에 나선 인물은 조카이자 사위인 암피트리온이었다.암피트리온은 엘리스로 향해 폴릭세노스에게 소값을 지불하고 다시 소 떼를 되찾아온다. 그러나 소 떼를 몰고 가던 도중, 소들 중 한 마리가 갑자기 날뛰자 암피트리온이 그 소에게 던진 몽둥이가 실수로 엘렉트리온을 맞혀버렸고, 결국 엘렉트리온은 그 자리에서 즉사한다.
2.4. 사후
엘렉트리온의 뒤를 이은 이는 그의 형제이자 티린스의 왕인 스테넬로스였다.[8] 스테넬로스는 암피트리온을 살인 혐의로 추방시켰고, 암피트리온은 아내 알크메네와 테베로 향한다.암피트리온은 프테렐라오스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켰고, 승리하여 엘렉트리온의 원수를 갚는다.[9]
딸 알크메네가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영웅 헤라클레스를 출산함으로써, 헤라클레스의 외할아버지가 된다.
3. 대중매체에서
형제들과 함께 |
-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7권에서 다른 형제들과 함께 등장했다. 원전대로 프테렐라오스의 아들들이 왕을 되찾으러 왔다고 하자 여긴 내 나라니까 당장 돌아가라고 분노한다. 프테렐라오스의 아들에게 소 떼를 도둑맞은 것도 모자라 막내 리킴니오스를 제외한 모든 아들들을 잃는다. 그나마 소 떼는 암피트리온이 찾아왔지만, 암피트리온이 날뛰는 소에게 던진 막대기를 맞고 죽는다.
[1] 형 알카이오스의 딸.[2] 펠롭스의 딸.[3] 프리기아 출신의 노예다.[4] 알카이오스에게 암피트리온이라는 아들이 있었음에도 동생인 자신이 왕이 된 것을 보아, 왕위를 계승받기에는 암피트리온이 비교적 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5] 할아버지 포세이돈에게 자신과 왕국을 불멸의 존재로 만드는 황금 머리카락 한 올을 선물로 받았다.[6] 이때 살아남은 엘렉트리온의 아들은 사생아인 리킴니오스였다.[7] 여섯 명 중 가장 어린 아들이었다.[8] 티린스는 본래부터 페르세우스의 영토였다. 스테넬로스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 티린스와 미케네가 다시금 합병된다.[9] 자세한 내용은 암피트리온 문서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