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G2001 |
대체운송 | 대체운송 직행/완행 | |
일반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기점 | [출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신탄리역) [도착]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 ||
종점행 | 첫차 | 22:00 | 기점행 | 첫차 | 22:55 |
막차 | 22:00 | 막차 | 22:55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인가대수 | 통합 1대 | ||
노선 | 신탄리역 → 대광리역 → 신망리역 → 연천역 - 연천군청 - 연천읍슈퍼 - 통재입구 - 고포리입구 - 은대리 - 전곡읍사무소앞 - 전곡 구터미널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선사박물관앞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학담입구 - 초성리역 - 마니커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동양대학교 - 동두천역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 종점 |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 ||
종점행 | 첫차 | 00:35 | 기점행 | 첫차 | 01:10 |
막차 | 03:30 | 막차 | 04:00 | ||
배차간격 | 1일 3회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인가대수 | 통합 1대 | ||
노선 | 연천역 - 연천군청 - 연천읍슈퍼 - 통재입구 - 고포리입구 - 은대리 - 전곡읍사무소앞 - 전곡 구터미널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선사박물관앞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학담입구 - 초성리역 - 마니커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동양대학교 - 동두천역 |
2. 개요
연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5km(33번), 36.6km(33-1번)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33번, 33-1번)3. 역사
- 2019년 7월 26일에 기존 39-2번 심야 노선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4. 특징
- 공용차량인 현대 그린시티 1대로 운행된다. 낮에는 39-2번에서 운행하고 심야시간대 33번과 33-1번에 고정투입 되는 것.
- 신설 목적이 36번 심야 노선의 연천구간 대체인 만큼 시간표가 36번 심야 운행 버스와 연계되게 짜여져 있다. 33번과 33-1번 첫차는 1호선 막차, 33-1번 막차는 36번 두 번째 차와도 연계되지만 환승 대기 시간이 상당히 길다.
- 33-1번의 경우 전산상 초성리역을 경유하지 않고 평화로로 직통하도록 되어 있지만 8월 23일 기준으로 초성리역 앞을 경유한다. 향후 변동이 있을 수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초성리역이 목적지인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 전곡터미널 출발 후, 대양운수 노선이 정차하는 전곡재래시장 앞(일명 전곡구터미널) 앞에도 정차한다.
- 이 노선의 신설로 시내버스 여행의 신탄리역 출발이 가능해졌고, 모 트위터 유저가 2019년 10월 말에 신탄리역 출발로 다대포로 가는데 성공했다고 전해진다. 이로써 서울과 부산을 잇는 여행 축의 가장 최장거리로 만드는 데 일조한 노선이 된 셈이다.
4.1. 시간표
연천 버스 33(-1)번 운행시간표 2021년 1월 22일 기준 / 출처 | |||||||||
횟수 | 번호 | 신탄리역 | 연천역 | 동두천역 | 연천역 | ||||
1 | 33 | 22:00 | 22:20 | 23:00 | 23:30 | ||||
2 | 33-1 | 연천 출발 | 23:40 | 00:25 | 01:10 | ||||
3 | 02:10 | 02:50 | 03:20 | ||||||
4 | 03:30 | 04:00 | 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