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1~2025 | |||
[[MBC 단막극| 단 ]](2021) | (2021, UHD) | [[MBC 단막극| 단 ]](2021, UHD) | (2021~2022) | |
(2022, UHD) | (2022, UHD) | (2022, UHD) | (2022, UHD) | |
(2022, UHD) | [[MBC 단막극| 단 ]](2022, UHD) | (2022~2023, UHD) | (2023) | |
(2023, UHD) | (2023, UHD) | (2023, UHD) | (2023~2024, UHD) | |
(2024, UHD) | (2024, UHD) | (2024, UHD) | (2024, UHD) | |
[[MBC 단막극| 단 ]](2024, UHD) | (2024, UHD) | (2024, UHD) | (2024~2025, UHD) | |
(2025, UHD) | (2025) | (2025) | 노무사 노무진 (2025) | |
달까지 가자 (2025) | 메리 킬즈 피플 (2025) | 이강에는 달이 흐른다 (2025)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
- [ 등장인물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e1b1bc><bgcolor=#c97e91><color=#ffffff><-4>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방영 목록 ]
- ||<tablewidth=100%><tablebgcolor=#e1b1bc><width=1000> ||
방영 목록 전체 보기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e1b1bc><tablecolor=#fff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1| Part 1
이 생이 우릴 갈라놔도]]
sEODo
2023. 11. 25.[[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2| Part 2
이유]]
임한별
2023. 12. 02.[[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3| Part 3
온 세상이 나에게]]
유주
2023. 12. 09.[[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4| Part 4
꿈처럼]]
송하예
2023. 12. 16.[[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5| Part 5
닿을 듯 닿을 수 없구나]]
신예영
2023. 12. 22.[[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s-2.6| Part 6
잠시 꿈을 꾼다 생각할게요]]
임상현
2024. 01. 06.[[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합본| Full Track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OST]]
Various Artists
2024. 01. 19.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colbgcolor=#bc647d><colcolor=#ffffff> MBC 금토 드라마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2023~2024) The Story of Park's Marriage Contract | |||
언어별 제목 |
| ||
장르 | 로맨틱 코미디, 어반 판타지, 타임슬립, 가족, 오피스, 가상역사극 | ||
방송 시간 | 금 · 토 / 오후 09:50 ~ | ||
방송 기간 | 2023년 11월 24일 ~ 2024년 1월 6일 | ||
방송 횟수 | 12부작 | ||
기획 | MBC | ||
제작사 | 초록뱀미디어 | ||
채널 | MBC TV | ||
추가 채널 | MBC 드라마넷, MBC every1 | ||
제작진 | <colbgcolor=#bc647d><colcolor=#ffffff> 연출 | 박상훈[1], 강채원 | |
극본 | 고남정[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c647d><colcolor=#ffffff> 기획 | 김성욱 | |
제작 | 서장원, 최희석 | ||
촬영 | 최정순, 이성민 | ||
미술 | 한지선 | ||
음악 | 노형우 | }}} }}} }}} | |
원작 | 김너울의 네이버 시리즈 웹소설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 ||
출연 | 이세영, 배인혁, 주현영, 유선호 外 | ||
촬영 기간 | 2023년 4월 23일 ~ 2023년 11월 23일 | ||
스트리밍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friDay Video ▶ | |||
: [[라쿠텐 비키| Rakuten Viki ]] ▶ |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 ||
차량 협찬 | 기아 | ||
링크 | | | | | | MBCdrama | 엠뚜루마뚜루 | ||
지원 포맷 | UHD |
[clearfix]
1. 개요
죽음을 뛰어넘어 2023년 대한민국에 당도한 19세기 욕망 유교걸 박연우와 21세기 무감정 끝판왕 강태하의 금쪽같은 계약 결혼 스토리를 담은 드라마 |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1차 티저 | ▲ 2차 티저 |
▲ 3차 티저 | ▲ 4차 티저 |
▲ 타이틀 티저 | ▲ 하이라이트 |
2.2. 포스터
▲ 티저 포스터 | ▲ 메인 포스터 | ▲ 스페셜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캐릭터 포스터 | }}} |
2.3. 메이킹
3. 기획의도
2023년 나노 시대, 대한민국에 뚝 떨어진 유교걸! 단체와 소속보단 개인의 삶이 더 중요한, 아주 작고 작은 개개인을 위한 시대. 사람들은 말한다. '나'만 잘 살면, '나 혼자'만 괜찮으면 된다고.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취향이 맞는 사람들끼리의 커뮤니티는 예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왜 그럴까? 아주 단순한 답이겠지만, 인간은 혼자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는 모두 보이지 않는 선들로 이어져 있다. 착각에 빠져 가족이든 친구든 그 선을 언제든 끊어버릴 수 있다고 여기고, 어리석게도 그 일을 진짜 행하는 경우가 날로 늘어나고 있지만 말이다. 그런데 만약, 지금의 나노 시대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19세기, 함께 살아가는 게 덕목이라 여긴 조선의 유교걸이 나타난다면?! 유교걸의 눈에 비친 나노 시대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휘황찬란 신문물 속에 살아가는 나와 당신, 그리고 우리가 마냥 행복해 보일까?? 우리는 많은 걸 이뤄오면서 어쩌면 그만큼 많을 걸 잃었을지도 모른다. 사람을 사랑하고, 주변을 돌아보며 함께하는 소중한 순간들, 그리고 그 안에서 진심으로 행복해하는 '나 자신'을. 그래서.. 결국, 사람이고 사랑이다. 티베트 한 작은 마을의 사람들은 '영혼의 순례길'을 떠난다고 한다. 칠순 노인에서 어린아이까지 이마와 양손, 양 무릎을 낮춰 절을 하며 무려 2500km의 길을 가는데, 자신의 죄를 고백하며 모든 죽어간 이들의 안녕과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경건히 기도 한다. 오롯이 타인을 위한 자비의 기도인 것이다. 그들의 선한 의지가 지금의 나와, 우리를 살리고 있는 건 아닐까? 마치 나비효과처럼,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연우의 삶이 그렇다. 연우에겐 그녀의 안녕과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기도해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래서 연우는 '죽음'과 '시공간'을 뛰어넘어 지금의 대한민국에 올 수 있었다. 그 힘에 의해 태하라는 남자를 만나 운명을 뛰어넘는 사랑을 했다, 부럽게도. 그러니 판타지지만 현실이다. 연우가 시공간을 넘어 이 세상에 온 것은 판타지지만, 연우를 위해 기도하고 연우가 꿈꾸는 가치를 존중한 태하의 사랑은 현실이다. 마치 티베트의 어느 작은 마을 사람들의 기도처럼. 이 드라마는 코믹하고, 달달하고 간지럽겠지만, 전하는 진심은 따뜻하길 원한다. 그래서 나노 시대엔 살짝 촌스러워 보일 수 있는, 그러나 절대 잊혀선 안 되는 사랑의 가치, 그리고 그걸 만들어 내는 사람의 이야기를 그려보았다. 코믹 판타지 로맨스란 아주 예쁜 옷을 입혀서 말이다. |
공식 홈페이지 |
4. 등장인물
인물관계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세한 내용은 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5. 음악
자세한 내용은 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음악 문서 참고하십시오.OST | |||||
<rowcolor=#ffffff> 파트 | 표지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Part 1 | 2023. 11. 25. | <colbgcolor=#f5f5f5,#2d2f34> 이 생이 우릴 갈라놔도 | sEODo | ||
Part 2 | 2023. 12. 02. | 이유 | 임한별 | ||
Part 3 | 2023. 12. 09. | 온 세상이 나에게 | 유주 | ||
Part 4 | 2023. 12. 16. | 꿈처럼 | 송하예 | ||
Part 5 | 2023. 12. 22. | 닿을 듯 닿을 수 없구나 | 신예영 | ||
Part 6 | 2024. 01. 06. | 잠시 꿈을 꾼다 생각할게요 | 임상현 | ||
합본 | 2024. 01. 19. |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OST | Various Artists |
6. 명대사
자세한 내용은 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명대사 문서 참고하십시오.7. 방영 목록 및 시청률
자세한 내용은 열녀박씨 계약결혼뎐(드라마)/방영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rowcolor=#ffffff> 회차 | 방영일 | 시청률(%) | 비고 | |
<rowcolor=#ffffff> 전국 | 수도권 | |||
<colbgcolor=#f5f5f5,#2d2f34> 1회 | 2023.11.24. | 5.6 | 5.3 | |
2회 | 2023.11.25. | 5.9 | 5.8 | |
3회 | 2023.12.01. | 6.7 | 6.7 | |
4회 | 2023.12.02. | 6.4 | 6.2 | |
5회 | 2023.12.08. | 7.4 | 7.2 | |
6회 | 2023.12.09. | 9.6 | 9.8 | |
7회 | 2023.12.15. | 8.7 | 8.9 | |
8회 | 2023.12.16. | 8.0 | 7.6 | |
9회 | 2023.12.22. | 7.4 | 7.4 | |
10회 | 2023.12.23. | 7.6 | 7.1 | |
11회 | 2024.01.05. | 8.0 | 7.8 | [결방] |
12회 | 2024.01.06. | 9.3 | 9.4 | |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단위 %. ※ [범례] 최저 시청률 ・ 최고 시청률 |
첫 회 시청률은 5.6%인데, 2023년 방영된 MBC 금토 드라마 중 가장 높은 첫 회 시청률이며[4] 이세영의 전작 〈옷소매 붉은 끝동〉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4화가 방영된 토요일에는 전주보다 0.5% 정도 상승하였는데 〈무인도의 디바〉, 〈힘쎈여자 강남순〉, 〈고려 거란 전쟁〉 등 이미 뿌리를 잡은 드라마들과 경쟁한 것치곤 선전했다.
그리고 방영 3주차인 5~6회에서 시청률이 급등해 10%대를 목전에 두었으나[5] 7회 이후 시청률 상승세가 주춤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6] 결국 마지막회에서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지는 못했으나 9%대를 기록해 유종의 미를 거두며 마무리하였다.
7.1. 결방 및 편성 변경
<rowcolor=#ffffff> 날짜 | 사유 |
2023년 12월 29일 | 2023 MBC 방송연예대상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023년 12월 30일 | 2023 MBC 연기대상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IMDb=tt26679485, IMDb_user=7.8, IMDb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5271175, 키노포이스크_user=7.8 ,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14481/19740,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195562, 도우반_user=6.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EKzDQy, 왓챠_user=3.0,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24189, 키노라이츠_light=82.26, 키노라이츠_star=3.0,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220076-lovers, TMDB_user=75, ## TMDB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47725-park-s-contract-marriage-story, MyDramaList_user=8.4,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네이버시리즈온=600750, 네이버시리즈온_heart=33,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RakutenViki=40236c-the-story-of-parks-marriage-contract, RakutenViki_user=9.5, ## RakutenViki_highlight=display,
)]
9. 논란 및 사건 사고
12월 12일, 한 생활한복 업체 측이 SNS에 자신의 업체 한복 디자인을 허락 없이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한복 디자인 도용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드라마 측은 "한복 디자인에 대해 글을 올렸던 디자이너에게 즉각 사과했다. 문제는 원만히 잘 해결했다." 라고 빠르게 입장을 밝히고 논란이 일단락되었다. 기사이후 생활한복 업체 측도 SNS을 통해 "오전 중 전화를 받았고 사과와 함께 한복 스케치 협조 크레딧을 올려주는 것으로 마무리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소품으로 활용된 스케치는 그림 작가님께 의뢰해 제작되는데 전달된 레퍼런스가 리슬의 디자인이었다고 한다. 제공 받은 이미지를 토대로 그림이 나왔고, 제작사에서는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그대로 전파를 타게 됐다고 한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해당 업체는 "실수에 대해 인정하고 세심히 챙기지 못한 것에 대해 거듭 죄송하다고 사과했다"라며 "비록 조금의 문제가 있었지만 정중하고 빠르게 해결해주시려는 모습에 더 문제 삼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10. 수상
<rowcolor=#fff>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2023년 | MBC 연기대상 |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이세영 |
미니시리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 배인혁 | ||
여자 신인상 | 주현영 |
11. 미디어 믹스
11.1. 디스크 및 도서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bc647d><rowbgcolor=#bc647d><rowcolor=#ffffff> 분류 ||<width=25%> 표지 ||<width=25%> 제목 || 발매일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대본집 |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대본집 세트 저자: 고남정 출판사: 다산북스 | 2024년 3월 28일 | ||
블루레이 |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프리미엄판 블루레이 유통사: 이엔이 미디어 | 2024년 9월 6일 |
12. 원작과의 차이점
- 웹툰에서는 강태하의 이복 여동생이 등장했는데 드라마에선 원작 웹소설에 등장했던 이복 남동생인 '강태민'이 차용되었다. [7] 원작 웹소설에서 태하의 이복동생은 이란성 쌍둥이 남매 강태민과 제시카이다. 강태민이 태하와 대립하는 대신 제시카는 태하에게 호의적인 편이며, 연우와 같은 회사에서 근무하게 된다. 드라마판에서 제시카는 등장하지 않고, 제시카의 조력자적인 면모는 홍비서의 여동생인 홍나래가 가져갔다.
- 원작에서는 없던 시간 관리자 '천명'이 드라마에서는 등장한다. 연우에게 여러가지 도움을 준다. 원작에는 '천명'의 모티브가 되는 점쟁이 노파가 등장하여 연우의 미래를 예언한다.
- 원작에서 홍비서의 여동생은 이름도 없이 설정상으로만 존재하는 캐릭터였고, 병약하다는 설정이다. 드라마판에서 홍비서의 여동생에게는 나래라는 이름이 붙었고, 건강하고 쾌활하여 다양한 알바를 섭렵한다. 태하와 홍비서의 부탁으로 연우의 한국 적응을 도와주기도 하며, 한편 홍비서와 러브라인을 형성할 사월이와는 시누이의 심경으로 티격태격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캐릭터가 되었다.
- 원작에서는 단 1줄로만 등장했던 태하의 고모에게 해령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아들이 있다는 설정이 붙었다. 원작에서는 무난한 상식인으로 묘사되나, 드라마판의 해령은 트러블메이커이다.
13. 기타
- 제목에 들어간 '뎐'은 [뎐]으로 읽지 않고 [전]으로 읽는다. 현대 한국어 용법에서 형식 형태소가 결합한 경우 외의 구개음화 용법은 고유명사에서 종종 발견되는데, 구미호: 여우누이뎐이나 신기생뎐 등과 같은 작품 제목이 그것이다. 傳의 본래 한국 한자음은 '뎐'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며 그 발음이 [뎐]에서 구개음화한 [전]으로 바뀌었다. 그러던 것을 1930년대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면서 표기를 현실 발음 [전]에 따라 '전'으로 바꾼 것이다.
13.1. 인물 관련
- 배인혁과 신수현은 〈멀리서 보면 푸른 봄〉 이후 2년 만에 재회한다.
- 유선호는 미니시리즈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
- 주현영과 진경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이후 약 1년 만에 재회한다. 단 그 작품에서 둘이 대면하는 장면은 없다.[9]
- 진경은 〈캐리어를 끄는 여자〉 이후 7년 만에 MBC 드라마에 출연한다.
13.2. 드라마 관련
- 동시간대 경쟁작 〈마이 데몬〉과 함께 방영을 시작했는데 모두 ‘계약결혼’이라는 공통된 요소를 갖고 있다. 또한 티저 영상에서 결혼식을 보여줬다는 점도 같다.
- 전개가 상당히 빠르다. 1화에서 강태하와의 첫 만남, 혼인, 죽음, 2023년 타임워프까지 휘몰아쳤는데, 12부작이라는 짧은 회차 때문으로 보인다.
- 서브 캐릭터가 사각관계를 이루는 여타 드라마와 다르게 주연진 중에 박연우와 경쟁이 될만한 인물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유하나가 강태하를 짝사랑하는 캐릭터였으나, 드라마 중반부에는 박연우의 능력을 인정하며 자신에게 태하의 할아버지인 강회장이 연우를 방해할 것을 지시했음을 실토하여 용서를 구하는 것으로 풀어냈다.
- 유선호가 주연으로 명시되어있으나, 내용상으로 보나 러브라인으로 보나 조연인 조복래가 분량이 더 많고 내용상 차지하는 비중도 많다. 그에 반해 주연인 유선호는 비중도 적고 분량도 매우 적은 편이다.
[1] 〈생동성 연애〉, 〈내 뒤에 테리우스〉 연출[2] 〈아내스캔들-바람이 분다〉 집필[결방] 12월 29일은 2023 MBC 방송연예대상, 12월 30일은 2023 MBC 연기대상 편성으로 인해 결방.[4] 〈연인〉 파트 2 11회와는 비교하지 않고, 1회와 비교한다.[5] 시청률 10%에 도달하면 MBC가 같은 해 2편 이상의 작품이 시청률 1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19년 이후 처음이다. MBC 일일드라마를 포함하면 2022년 8월 이후 처음이다.[6] 공교롭게도 동시간대 경쟁작인 마이 데몬 역시 4%대에서 정체 중이며, 12월 23일에는 2주만에 3%대로 떨어졌다.[7] 이에 따라 질투의 대상이 둘로 늘어났다. 강태민과 도윤재[8] 여담으로 〈옷소매 붉은 끝동〉은 남궁민 주연의 〈검은태양〉 후속작이였는데, 이번에도 남궁민 주연의 〈연인〉으로 바통을 이어받게 되었다. 방영시기도 11월로 비슷하다.[9] 태수미가 우영우의 엄마라는 걸 아는 사람이 정말 소수이기에 동그라미도 모를 가능성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