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21:37:30

오펜하이머(영화)/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펜하이머(영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평점
2.1. 평론가 평가
3. 평가
3.1. 긍정적인 평3.2. 부정적인 평3.3. 호불호3.4. 총평
4. 기타

1. 개요

영화 오펜하이머의 평가와 반응을 다룬 문서.

2. 평점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oppenheimer, 메타크리틱_critic=90, 메타크리틱_user=8.5,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oppenheimer_2023, 로튼토마토_tomato=93, 로튼토마토_popcorn=91,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5398776, IMDb_user=8.3, IMDb_highlight=display,
IMDb_list=IMDb Top 250, IMDb_rank=101, ## IMDb_date=,
레터박스=oppenheimer-2023, 레터박스_user=4.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228, ## 레터박스_date=,
알로시네=296168, 알로시네_presse=3.8, 알로시네_spectateurs=4.4,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2023/oppenheimer, MYmoviesit_MYMOVIES=4.50, MYmoviesit_CRITICA=4.05, MYmoviesit_PUBBLICO=4.00,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4664634, 키노포이스크_user=8.3,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야후재팬=392691, 야후재팬_user=3.3,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Filmarks=99563,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593344, 도우반_user=8.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야후키모=14562, 야후키모_user=4.2,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왓챠=m5ekxvL, 왓챠_user=4.0,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10524, 키노라이츠_light=95.18, 키노라이츠_star=4.2,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오펜하이머, 네이버영화_audience=8.52,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다음영화=158260, 다음영화_user=7.2,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CGV=87175, CGV_egg=93, ##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0031, 롯데시네마_user=9.1,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3049000, 메가박스_user=9,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MRQE=oppenheimer-m100144893, MRQE_user=82, ## MRQE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A,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872585-oppenheimer, TMDB_user=81,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oppenheimer, 무비파일럿_user=7.7,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oppenheimer-film-review-2023, RogerEbertcom_user=4,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JustWatch=openhaimeo, JustWatch_user=95, ## JustWatch_highlight=display,
씨네21=59412, 씨네21_expert=8.40, 씨네21_user=8.44,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oppenheimer, 엠파이어_user=5,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oppenheimer-review-christopher-nolan-1234885847,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2.1. 평론가 평가

Oppenheimer marks another engrossing achievement from Christopher Nolan that benefits from Murphy's tour-de-force performance and stunning visuals.
'오펜하이머'는 킬리언 머피의 역작과도 같은 연기와 탁월한 시각효과들을 통해 크리스토퍼 놀란이 또 한번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성취를 이뤄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구조와 플롯 자체가 강력한 핵폭탄이다.(★★★★☆)
이동진
지성, 야심, 윤리의 빅뱅 그리고 잔해(★★★★)
박평식
보자마자 20자평 쓰는 게 너무 힘든 경우 (★★★★☆)
이용철
스펙터클 제로로 써내린 프로메테우스 탄원서(★★★☆)
김철홍
강렬한 빛과 후폭풍 같은 그림자로 구성된 오펜하이머의 시간(★★★★☆)
오진우
작정하고 벼른 영화 작가의 펜촉, 비범한 잉크, 휘황한 필치(★★★★☆)
이우빈

7월 20일 엠바고가 해제되며 평론가 점수가 공개된 첫날, 로튼 토마토는 93%, 메타크리틱은 90점으로 양측 모두 90점대의 높은 점수로 시작했으며 로저 이버트에서는 4점 만점을 주었다. 관객 평점의 경우, 레터박스에서 4.1점, 로튼 토마토 관객 점수는 94%, 메타크리틱 유저 점수는 8.9점으로 역시나 높았다. IMDB 평점은 첫날 9.0점을 기록하며 top 250에 진입했다. 놀란 감독으로선 이 순위권 안에 8번째로 진입한 영화가 되었으며, 스탠리 큐브릭 등을 제치고 역대 가장 많은 작품을 올린 감독이 되었다.

2024년 1월 현재는 로튼 토마토 신선도 93%, 관객 점수 91%,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90점, 유저 점수 8.5점, 레터박스 4.2점으로 수치가 안정화되었다.

대한민국의 영화평론가들은 이동진이 GV에서 '놀란 감독이 또 다른 정점에 올랐다'는 표현을 했고, 박평식은 별 넷[1]을 부여했다.

3. 평가

3.1. 긍정적인 평

놀란 감독과 호이트 반 호이테마 촬영감독이 연출한 영상미에 관해서 호평이 자자하다. 그동안 놀란 영화들은 아이맥스 카메라를 앞세운 촬영이 호평을 받으면서도 특유의 딱딱하고 고지식한 연출 방식과 억제된 색감 때문에 밋밋하고 칙칙한다는 평도 적지는 않았는데, 이 작품에서는 작가주의가 전작들보다 더 진해지고 수위도 늘린 만큼 기교적이고 시각적으로도 달라진 연출력을 선보였다. 또한 색감에 관해서도 극찬을 받았는데, 컬러 장면에서 푸른 색, 붉은 색 등의 진하고 강렬한 색감을 주어 흑백 장면과의 대비를 이루면서 상당히 아름답게 담아내 놀란의 전작들에서 비해서 더 진일보했다. 이러한 영상 연출을 바탕으로 폭발 장면과 원자 영역 설명 장면이 명장면으로 탄생하기도 했다. 오프닝에서 아날로그 시각효과로 구현한 별의 이동과 죽음 장면도 시각적 아름다움이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니퍼 레임의 편집에서도 놀란의 초기작들은 현란하고 세련된 반면 이후의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느릿하고 기교가 부족해 두각을 못 드러냈었는데, 이 작품에서는 전작들과 다르게 데이비드 핀처가 연출한 영화가 생각날만큼 빠른 템포를 가져가며, 컬러와 흑백을 넘나들며 플롯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면서 시공간을 뒤흔드는 연출에서는 메멘토 같은 감독의 초기작들이 연상된다는 평도 있다. 여기에 루드비히 고란손의 음악까지 시청각적으로 거의 완벽에 가까운 작품이란 평과 동시에 놀란 감독이 기존과 다른 색다른 시도를 함에도 기교 넘치고 출중한 작품이 되었다는 평은 이견이 없다.

무엇보다 여러 배우들의 멋진 연기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작품의 가장 큰 강점이다. 수많은 명배우들이 출연하는데 누구 하나도 튀지 않으면서 극을 이끌어가며 한 명이 폭발한다면 다른 몇 명은 절제된 연기로 극의 조화를 잘 맞춘다. 주인공 오펜하이머 역을 맡은 킬리언 머피는 과하지 않게 절제된 연기로 극의 중심을 잡고 이끌면서도 상황에 따른 오펜하이머의 고뇌와 복잡하고 불안한 감정선을 눈빛만으로 섬세하게 보여주며 오펜하이머란 인물을 완벽하게 표현해 냈다. 그와 대척점에 선 또 다른 메인 인물인 스트로스 역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연기도 역시 몰입도 높은 최고의 연기력을 선보이며 호평을 받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게리 올드만[2], 라미 말렉, 케이시 애플렉[3], 제이슨 클라크 등 연기력이 검증된 배우들이 등장 시간은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오펜하이머의 주위에서 그에게 영향을 끼치는 플로렌스 퓨에밀리 블런트의 연기도 오래 기억에 남을 정도로 인상적이었다는 호평이 나왔다.[4] 이처럼 수많은 유명 배우가 등장함에도 앙상블을 잘 이뤄낸 감독의 역할도 당연히 호평 받는다.

3.2. 부정적인 평

부정적인 의견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부분이 기대보다 지루했다는 점이다. 우선 가장 많이 홍보되었고 모두들 기대했을 트리니티 실험이 영화 러닝타임의 약 3분의 2 지점에서 다소 일찍 나오고 남은 1시간 가량은 오펜하이머의 대량 살상 무기 개발에 대한 양심의 가책, 매카시즘과 스트로스에게 시달리는 후일담 표현에 할애했는데, 2시간 동안 쌓아온 모든 웅장함과 감정적 빌드업[5]이 푹 꺼져 버린 상태에서 진행이 되다 보니 지루했다는 감상이 많다. 또한 맨해튼 계획 이전의 앞 부분도 오펜하이머의 개인사나 초기 생애에 관련한 내용이 길게 이어지기 때문에 해당 분야와 인물에 관심이 없다면 집중이 쉽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피로감과 연출의 늘어짐을 지적하는 관객이나 평론가들이 적지 않다.

맨해튼 계획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오펜하이머와 직접 대립했던 인물인 폰 노이만이 한 장면도 등장하지 않아 아쉬워하는 이들도 있다.

3.3. 호불호

이 작품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장면들이 차례대로 나오지 않고 3가지 시간대가 이리저리 뒤섞여 나오는 변형의 플롯을 차용하고 있다. 이러한 극짜임을 쓰는 이유는 관객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의문점을 자아내게 하고 등장인물에 몰입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해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스트로스 제독이라는 인물을 통해 관객들에게 끊임없이 ‘오펜하이머가 첩자인가?’ 하는 의문을 계속해서 던진다는 면에서는 효과적인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이라면 내용을 단번에 이해하기가 어렵고 쉽게 피로해질 수 있기 때문에 대중영화로써 큰 단점을 내포했다 할 수 있다.[6]

영화의 하이라이트인 중반부의 트리니티 실험 장면에 대해서도 호불호가 나뉜다. 긍정적인 측에서는 당시 약 2년 11개월의 시간, 20억달러[7]의 자금, 몇 년에 걸쳐 모은 매우 소중한 정제 우라늄과 플루토늄, 세계 최고의 물리학 천재들을 포함한 약 13만명을 갈아넣어 실시한 프로젝트의 성패가 한 순간에 달렸다는 과학자들의 긴장감과 부담감을 매우 몰입감 있게 잘 표현했으며, 가젯이 기폭되는 폭발 이후의 정적에서 순수한 하얀 색의 화구, 그리고 뒤이어 발생하는 버섯구름과 함께 몰려오는 굉음과 충격파까지 잘 묘사했다고 호평한다.

반면 부정적인 측에서는 시각적인 면에 있어 기대한 것보다 스케일이 빈약했다고 지적한다. 실사 촬영을 고집하는 놀란 감독의 성향 때문에 CG가 사용되지 않고 대체 폭발물을 이용해서 촬영하였는데, 재래식 폭발물을 웬만큼 모아도 핵무기급의 폭발력을 재현하기는 쉽지 않기에[8] 실제 핵폭발과 디테일도 차이가 나고 규모 역시도 상당히 빈약해보이는 부작용을 낳게 되었다. 이럴거면 고집은 잠시 접어두고 CG를 사용하거나 혹은 실제로 촬영되었던 폭발 영상을 보정해서 사용하는 게 낫지 않았을까 하는 평이다.[9] 특히 이 핵폭발 장면은 3막의 핵심 요소인 상호확증파괴에 대한 오펜하이머의 두려움, 반핵 행보와 직결되는 장면이기에 차라리 실제보다 과장되었어도 무방한 부분이었지만, 오히려 축소되어 그려지면서 해당 파트의 설득력을 낮추는 부작용이 생긴 셈. Manhattan Project Trinity Test 실제 영상

음악과 음향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린다. 귀가 찢어질 듯한 음량으로 압도하는 오케스트라가 쌓아올리는 긴장감과 몰입감이 훌륭하다는 호평이 있는 반면, 귀가 아플 수준이라서 청각이 예민하거나 고막이 약한 사람이라면 조심해야 할 정도라며 다소 심각하게 불만을 내비치는 감상평도 꽤 보인다. 또 다크 나이트 라이즈 때부터 이어진 대사와 배경음의 조화가 제대로 되지 못한 음향 문제가 이번에도 비판을 받고 있다.

3.4. 총평

영화 제목이 '트리니티'나 '맨해튼'이 아닌 '오펜하이머'인 것을 감안하고 "놀란 감독의 CG 없는 핵폭발 연출이 가미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영화"로서, 즉 원작이 된 책을 충실히 극화한 하나의 평전처럼 감상한다면 불안했던 초년의 정신세계와 사생활, 핵폭탄 개발의 영광, 대량살상무기의 아버지로서의 죄책감, 매카시즘의 피해를 차례로 경험하며 초년과 말년이 불행하고 중년이 엄청난 영광이었던 그의 삶을 3시간 동안 몰입감 있게 간접체험할 수 있다.

다만 원작인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전부 충실히 옮겨온 영화라기보다는, 유년시절과 말년시절을 삭제하고 대학시절부터 트리니티 실험과 청문회가 열린 뒤 페르미상을 수여받는 1964년에 이르기까지를 집중적으로 그리면서, 그가 만나는 이들과 연쇄적인 분열을 겪는 과정들을 놀란 감독 특유의 다층적 구조화를 통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1947년 스트로스가 지켜보는 상황에서 오펜하이머가 아인슈타인을 만나 대화하는 영화의 엔딩 장면은,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전기에는 없는 놀란 감독의 창작으로, 관객에게 심층적이고도 여러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중요한 포인트이기도 하다.

4. 기타

한편 《더 뉴요커》지의 리처드 브로디(Richard Brody)는 이 영화와 영어 위키백과J. Robert Oppenheimer 문서를 비교하면서 위키백과 쪽을 좀 더 후하게 쳐주었다. (영어, 가입 필요)

서균렬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도 영화를 리뷰했다. 이쪽 전공의 전문가 리뷰는 국내에서 유일하다.#


[1] 박평식 기준으로는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이다. 놀란 영화 중에서는 인셉션과 함께 최고의 영화 공동 1위이다.[2]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역을 연기했다. 게리 올드만인지 못알아봤다는 관객도 제법 있는 편이다.[3] 이 3명은 모두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4] 이동진 평론가는 김상욱 물리학자와의 대담 영상에서 에밀리 블런트의 연기가 제일 인상적이었다고 호평했다.#[5] 이 장면을 기점으로 영화의 흐름이 오펜하이머 외부의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오펜하이머 내면의 성찰로 바뀌기 시작한다. 오펜하이머 개인의 내면을 중심으로 보면 감정선 자체는 연결성 있게 흐르며 영화의 마지막 즈음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관객도 많을 것이다. 즉 이 트리니티 핵실험 장면은 영화의 클라이맥스인 동시에 주인공의 상승과 하락의 분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승전결 구성에 익숙한 많은 관객들이 낯섦을 느끼게 된 것.[6] 다만 놀란은 이미 전작들(메멘토, 프레스티지, 덩케르크, 테넷)에서 시간 순서를 섞는 영화들을 여럿 선보인 바 있다. 아니 오히려 놀란 특유의 스타일이라고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기에 이 점이 관람에 방해를 줬다면 유감일 수밖에 없다. 또한 대중영화로써 큰 단점이라고 하기엔 전세계적으로 9억 달러 이상의 대흥행을 이끌어내었고 오히려 놀란 감독 특유의 흥행 공식으로 볼 여지도 있다.[7] 23년 현재 기준 약 330억달러다.[8] 실제 트리니티 핵실험 당시 가젯의 폭발력은 TNT량으로 환산 시 약 18~20 킬로톤(18000~20000톤)이었다. 인류가 만든 재래식 항공폭탄 중 최대 파괴력을 자랑하는 러시아제 ATBIP이 TNT 44톤급이니, ATBIP 410~455개는 있어야 핵무기 하나의 폭발력을 재현할 수 있다는 말. 이는 실전배치된 ATBIP의 총량보다도 4배 더 많다.[9] 물론 그렇게 했다면 실감도가 떨어져 장면의 임팩트가 축소됐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놀란이 옳은 선택을 한 것이라는 반론도 많다. 애초에 놀란이 CG를 경계하며 아날로그 연출을 고집하는 이유 자체가 이런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5
, 10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