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00:14:08

왼편 마지막 집

The Last House On The Left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기타5. 리메이크

1. 개요



웨스 크레이븐의 연출 데뷔작으로, 1972년에 나온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회자 및 감상이 이루어지는 전설적인 영화이다.

크레이븐이 각본과 연출을 담당했으며, 후에 《13일의 금요일》을 연출하는 숀 S. 커닝햄이 제작을 맡았다. 가난한 크레이븐이 커닝햄의 영화 'Together' 재편집에서 아르바이트를 뛰면서 친해졌다고. Together가 그런대로 괜찮은 반응을 얻자 배급사가 두사람에게 9만 달러를 주면서 한편 더 찍어보라고 해서 나온 작품이 왼편의 마지막 집이다. 결과적으로 이 영화는 87,000달러의 예산을 투입해 31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1] 크레이븐의 향후 작품 활동의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2. 줄거리

평범한 가정의 소녀 마리는 17세 생일을 맞이하여 친구 필리스와 록밴드 공연을 보러 갔다 탈주한 살인범 4인조에게 붙잡힌다. 두 사람은 강간당한 뒤 감금되는데, 기회를 엿봐 탈출을 시도해보지만 붙들려 필리스는 칼에 난자당해 죽고, 마리는 가슴에 칼로 글자가 새겨지는 등 폭행과 강간을 당하다 총살당한다. 4인조는 세일즈맨으로 위장하여 민가에 숨는데 공교롭게도 그 집은 마리의 집. 마리의 부모는 일당의 아들의 목에 걸린 마리의 목걸이를 보고 짐을 몰래 뒤져 피묻은 옷가지를 발견한 후, 숲을 수색해 마리의 시체를 찾아낸다. 그리고 딸을 잃은 부모들의 복수가 시작되는데...

3. 특징

스웨덴의 거장 잉마르 베리만의 1960년작 《처녀의 샘》이 모티브인데, 이 영화는 양치기들한테 겁탈당하고 죽은 딸의 복수를 하는 부모의 이야기로, 줄거리가 거의 똑같다. 하지만 1980년대에 KBS3(EBS)에서 더빙으로 무삭제 방영했을 정도로 잔인함은 없다.

감독의 훗날 작품들과는 달리 유머도 거의 없으며[2] 강간과 폭력 묘사가 무슨 다큐멘터리 찍듯 엄청나게 건조한 게 특징이다. 폴 버호벤이 주장하듯 영화 속 폭력 묘사라는 게 지나치게 과장되면[3] "아, 이게 현실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러한 비현실성이 (어떤 사람에게는) 오히려 코믹함을 주기도 하는 법인데, 이 영화의 폭력은 정말 있었던 일을 찍은 것 같이 리얼하고 불쾌하다.[4] 비슷한 예로 존 맥노턴의 '헨리 - 연쇄살인범의 초상' 같은 작품을 들 수 있다.[5]

사실적인 폭력 묘사가 작품의 핵심이다 보니 고전이라고 불리는 영화치고는 평이 꽤 극단적으로 엇갈리며 쓰레기라고 단언하는 평론가들조차 있다. 사실 고어씬은 임팩트가 강해서 그렇지 별로 많이 나오지도 않는다. 이 영화의 모방작으로는 1978년에 나온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를 들 수 있으며, 이쪽은 아예 대놓고 강간씬 반 살해씬 반이라 불쾌감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어쨌든 당시 획기적인 뭔가를 보여준 작품인 것은 분명하다. 지금 봐도 뭔가 거시기함을 느낄 수 있다.

4. 기타

제목은 영화 내용과 사실 별 상관이 없다. 원래 제목은 '복수의 밤(The Night of Vengeance)'이었으나, 개봉 전에 이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은 제작진들이 친구들을 불러놓고 시사를 한 뒤 아이디어를 구했다. 이때 나온 후보가 '세기의 섹스 범죄(Sex Crime of The Century)', '크룩과 일당들(KRUG & Co.)'이었고 마지막으로 홍보 담당자가 '왼편 마지막 집'을 제안했는데 처음에는 다들 웬 봉창 뜯는 제목이냐는 반응이었다고. 결국 시험삼아 세 군데의 지역에서 상영을 했는데, 섹스.../크룩...으로 개봉한 지역은 파리만 날렸고 왼편... 쪽은 "계속 보세요. 영화입니다!"라는 카피를 걸고 상영하자 이튿날부터 관객이 두 배로 늘어 매진되었다고 한다.

당시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에서 폭행, 기물 파손, 고소 협박, 기절 등의 사건이 발생했으며 관객의 반이 중간에 나가버린다거나 심지어 관객들이 상영실에 난입하려고 해 영사 기사가 입구에 바리케이드를 쌓고 대치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기절 빼고는 그냥 영화가 혼란스러운 걸 틈타 계획한 거 아니냐

필리스의 살해씬이 특히 충격을 주었는데, 당시까지의 영화는 '살인자 등장 → 희생자에게 치명타 → 신음 몇번 하다 죽음'의 패턴이었으나, 이 영화의 살인자들은 필리스를 고문하듯이 서서히 괴롭히면서 점점 광기에 빠져 즐거워한다. 폭력이 점점 가속되면서 필리스의 내장이 빠져나온 것을 보고 잡아당겨 꺼내기까지 하다, 순간 제정신이 들어 공포를 느끼고 필리스의 숨을 끊는다. 이 장면에서 기절한 사람이 특히 많았다고.

초짜 감독이던 웨스 크레이븐은 스토리보드가 뭔지도 몰랐고 감독이 "액션!", "컷!" 외치는 것 말고는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몰랐다고 한다. 그래서 스토리보드 대신 각본에 밑줄 긋고 지시사항을 일일이 쓸 수 밖에 없었다.

크레이븐과 커닝햄은 친구로, 배우들도 모두 친구들로 때워 영화 내용과는 달리 촬영장은 매우 화목한 분위기였고 트러블도 거의 없어 촬영에는 겨우 3주 밖에 안걸렸다고 한다. 촬영은 커닝햄 집의 뒷마당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크레이븐은 이 영화에서 마음에 안드는 점으로 무능한 보안관과 그의 조수라는 진부한 클리셰를 꼽는다. 또 크룩 일당이 낡은 캐딜락을 타고 대화하는 아주 마음에 드는 씬이 있었는데 대화를 마이크로 잡는 법도 몰랐고 후시 녹음할 줄도 몰라서 못찍었다고.

2002년에 제작 30주년을 기념하여 DVD-SE 버전으로 미공개 장면을 복원하려 했는데 피해 여성들을 연기한 두 여배우가 결사반대하여 당시 미공개된 장면들은 영원히 공개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 장면은 그녀들을 죽이기 전에 알몸으로 서로 레즈씬을 억지로 연출하게 하며 그걸 보고 히죽거리는 장면으로 몇몇 스틸로만 공개되었을 뿐이다.

한국에는 1988년에 분노의 13일이란 제목으로 VHS 비디오로 나온 게 전부이다. 하지만 번역이 엉망이고 상영 시간도 76분 수준(표지에는 78분으로 기재)으로 삭제가 심하다. 그래도 한국은 양반인게 독일은 무려 64분으로 잘려나간 채로 공개했지만 쫄딱 망했다. 참고로 미국 개봉판은 91분으로 극장에 따라 삭제된 편집판은 84분이다.

이 영화에서 감독의 아들 조나단 크레이븐이 잠깐 나온다. 당시 나이는 7살.
1980년대 국내에서도 방영한 미국 드라마 슈퍼인간 제시의 주인공 마틴 코브[6]가 엑스트라급 조연으로 출연한 20대 시절을 잠깐 볼 수 있다.
덤으로 13일의 금요일 파트 2, 3편의 감독이자 호러물 전문 감독 스티브 마이너[7]도 잠깐 엑스트라급으로 나온다. 참고로 당시 나이는 21살.

악역 중 마지막까지 버티다 아버지에게 전기톱으로 맞아 죽는 크루그로 나온 데이빗 헤스(1936~2011)는 이후 호러물 단골 악역으로 나왔다. 카니발 홀로코스트의 감독 루게로 데오다토가 연출한 아류작 포카 살인(The House on the Edge of the Park/1980, D&S 비디오 출시 제목)에도 악역으로 나왔다. 더불어 가수로도 활동했는데 일라이 로스가 연출한 캐빈 피버 같은 호러물에 데이빗 헤스가 부른 노래들이 삽입곡으로 나온다. 영화 감독도 했는데 한국에선 미개봉하고 1988년 금성비디오에서 '심야의 미스테리'란 제목으로 출시한 슬래셔인 To All a Goodnight(1980)이 데이빗 헤스의 연출 데뷔작으로 흥행이나 평은 그다지 좋지 않아 단편 하나 이후 연출은 하지 않았다.

5. 리메이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_Last_House_On_The_Left_Promotional_Poster.jpg



2009년에 데니스 일리아디스가 같은 제목으로 리메이크했는데, 원작의 불쾌함을 많이 순화시켜 수위를 일반적인 스릴러 영화 수준으로 낮췄다.[스포일러] 1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미국에서 3200만 달러, 세계적으로 4500만 달러의 수익을 벌어들여 동년 R등급 영화 중에서는 27위에 해당하는 수익을 거두었다.

타잔 그레이스톡의 목소리를 맡은 배우 토니 골드윈이 주연을 맡았으며 상당히 일반적인 호러가 되었는데, 스토리 상으로는 원작에 충실하게 따라가며 당시 유행하던 쏘우 시리즈호스텔 시리즈식 호러[9]와는 다르게 만들기 위해 노력한 점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싫어하는 쪽은 원작의 힘이 느껴지지 않고 속이 들여다보인다는 평.

다만 원작과는 다르게 마리는 페이지(원작의 필리스)가 일하는 가게에서 수다를 떨다 우연히 크루그의 아들 저스틴을 만나게 된다. 저스틴이 담배를 원하자 페이지는 신분증을 요구하지만 저스틴은 내지 않고 대신 자신의 모텔에 좋은 대마초[10]가 있으니 물물교환을 하자고 한다. 마리는 못마땅해 했지만 페이지는 요구에 응해 마리의 차로 저스틴의 모텔로 향한다. 즐겁게 수다를 떨며 놀던 중 크루그 일당이 들이닥치자 저스틴은 주눅이 든 채로 아무 말도 못한 채 마리와 페이지가 끌려가게 냅둔다. 둘은 숲속으로 끌려와 페이지는 도망치다 잡혀 죽고 남은 마리는 강간당하나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타 호수로 도망친다.

제작을 웨스 크레이븐과 숀 커닝햄이 했으니 본인들이 본인 영화를 리메이크한 셈이지만, 크레이븐은 당시 '마이 소울 투 테이크'를 만들기도 해서 감독에게 별로 간섭하지 않았다고.

공교롭게도 이 작품의 대표적인 모방작 네 무덤에 침을 뱉어라도 이듬해인 2010년에 리메이크되었다.


[1] 제작비 대비 무려 30배가 넘는 초대박으로, 오늘날의 화폐 가치로는 1600만 달러 정도에 해당한다.[2] 다만 조연인 보안관과 조수가 지나가던 흑인 여성 차량을 빌려타다 멍청하게 넘어진다든지 음악과 연기를 보면 작은 유머는 있다.[3] 지나치게 사실적인 묘사가 아니라 '지나치게 요란하고 과장된' 묘사라는 게 포인트다. 일례로 폴 버호벤이 남긴 불후의 명작 로보캅에서도 처음에 ED-209가 실험 중 에러를 일으켜 임원이 희생당하는 장면이 있는데, 이 장면이 딱 그 스스로가 말한 '과장된 폭력 묘사'의 예시격인 장면이다.[4] 이 때문에 "포르노 호러"라고 불린 적도 있다.[5] 이쪽은 아예 다큐멘터리 호러를 표방한다.[6] 영화 베스트 키드(1984)에서 상대편 코치로 나오고 람보 2에서 람보에게 마지막에 얻어맞는 요원 역의 배우. 베스트 키드 30년 뒤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코브라 카이에서 비중이 커진 조연 존 크리스로 나왔다.[7] 워락, 플래시드, 할로윈 H20 등을 연출했으며 2000년대 이후로는 주로 TV 연출에 전념했다.[스포일러] 가장 큰 차이는 결말. 우선 마리가 부모에게 제때 치료받아 생존하고, 크루그의 아들 저스틴이 주인공 일행을 도와 원작의 허무함 대신 다소 희망이 있는 결말로 진행된다.[9] 고문 포르노라는 멸칭이 따라붙는 작품들.[10] 그때 마리와 페이지가 하는 이야기가 대마초에 관한 이야기였다. 마리는 끊었다고 말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