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 |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
고개 | 너릿재 · 잣고개 | |
하천 |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 |
호수 | ||
기타 | 광주분지 · 나주평야 | |
※ | }}}}}}}}} |
용봉천 龍鳳川 | |
<colbgcolor=#1d3a5a> 발원지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삼각산 일곡제골 |
합류부 |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 서방천 |
유로연장 | 8.61㎞[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복개연도 | 1994~1997 |
1. 개요
용봉천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삼각산 일곡제골에서 발원하여 신안동에서 서방천과 합류하는 복개천이다.복개 암거 경로는 일곡교차로-우치로-삼각초 앞 도로[2]-설죽로이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일곡지구 택지-북부경찰서(1.2㎞) 구간이 복개되었고,[준공표지석1] 북부경찰서-신안교(1.9㎞) 구간은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복개공사가 진행되었다.[준공표지석2] 국제고 정류장에서 용봉 휴먼시아 앞 삼거리까지, 도로 중앙에 정사각형 배수구가 2개씩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간은 하천 유로를 바꾸지 않고 암거를 묻었기 때문에 도로가 꽤 구불구불하다.
도시철도 2호선 매곡역-삼각역 구간이 용봉천 복개 박스 아래로 건설될 예정이다.
2. 시설물
1970년대 용봉천 유로 |
상류에서 하류 순서. 지류에 있는 경우 들여쓰기했다. 사라진 시설물은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서방천에 합류 |
3. 지류
3.1. 월산천
삼각산에서 발원해 월산마을을 지나 용봉천에 합류하는 지천이다. 일곡지구 조성 시 우치로 동쪽은 포함되지 않았기에 복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경로는 상단 지도 참조.월산교: 우치로422번길이 우치로와 만나는 북쪽 지점에 있었다.
3.2. 오치천
삼각산 자연과학고 뒤쪽에서 발원하여 고운로와 설죽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용봉천에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오치동 개발 당시 복개되었다. 경로는 상단 지도 참조.오치천과 서방천의 분수계는 삼각산-문정여고-문화근린공원-전대 북문-전대 사회과학대이다.
오치방죽: 1985년 매립되었으며, 그 자리에는 한국전력 광주전남본부 건물이 지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