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5:26:54

용봉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고개 너릿재 · 잣고개
하천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용산천 · 소태천 · 증심사천(동산천) · 동계천 · 서방천(두암천 · 용봉천(월산천 · 오치천) · 경양지천) · 운암천 · 극락천(광복천)) · 마륵천 · 서창천(세하천) · 황룡강(평림천 · 선암천 · 운수천 · 소촌천) · 대촌천(송암천 · 수춘천)
호수 경양방죽 · 광주호 · 노대저수지 · 쌍암저수지 · 양산제 · 용지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진월저수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기타 광주분지 · 나주평야
취소선은 사라진 곳 또는 대부분 복개된 하천, 기울임체는 상당 부분 복개된 하천을 의미한다. }}}}}}}}}

용봉천
龍鳳川
<colbgcolor=#1d3a5a> 발원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삼각산 일곡제골
합류부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 서방천
유로연장 8.61㎞[디지털광주문화대전]
복개연도 1994~1997
1. 개요2. 시설물3. 지류
3.1. 월산천3.2. 오치천

1. 개요

용봉천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삼각산 일곡제골에서 발원하여 신안동에서 서방천과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복개 암거 경로는 일곡교차로-우치로-삼각초 앞 도로[2]-설죽로이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일곡지구 택지-북부경찰서(1.2㎞) 구간이 복개되었고,[준공표지석1] 북부경찰서-신안교(1.9㎞) 구간은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복개공사가 진행되었다.[준공표지석2] 국제고 정류장에서 용봉 휴먼시아 앞 삼거리까지, 도로 중앙에 정사각형 배수구가 2개씩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간은 하천 유로를 바꾸지 않고 암거를 묻었기 때문에 도로가 꽤 구불구불하다.

도시철도 2호선 매곡역-삼각역 구간이 용봉천 복개 박스 아래로 건설될 예정이다.

2. 시설물

파일:용봉천_1970+.png
1970년대 용봉천 유로

상류에서 하류 순서. 지류에 있는 경우 들여쓰기했다. 사라진 시설물은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일곡저수지: 발원지에 있었던 저수지. '일곡제골'이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현재는 매립되어 예비군 훈련장의 주차장이 되어 있다.* 월산천 합류 지점.* 외출교: 송해로와 양일로가 교차하는 지점 북동쪽에 있었다. 일곡지구 개발 전 일곡마을[5]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했다.* 춘태교: 1984년 준공. 이름은 춘태학원에서 따왔다. 물길의 흔적이 농지로 남아있다(삼각동 732-37전).* 충장호수: 31사단에 있는 저수지.* 어매교: 현 고려중· 정문 앞 위치. 이름은 매곡동 어매마을에서 따왔다.* 하백교: 설죽로와 설죽로315번길이 만나는 교차로 위치. 이름은 매곡동 하백마을에서 따왔다.* 신용교: 호남고속도로 교량. 바로 서쪽에는 신용육교가 있는데, 밑에는 아무것도 없다. 변경된 도시계획의 흔적일 수도 있다.* 오치천 합류 지점.* 용봉저수지: 중외공원의 일부이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비엔날레 전시장이 옆에 있다.* 새마을교(제2신교): 용봉휴먼시아-고운하이플러스를 잇는 횡단보도 위치.
서방천에 합류

3. 지류

3.1. 월산천

삼각산에서 발원해 월산마을을 지나 용봉천에 합류하는 지천이다. 일곡지구 조성 시 우치로 동쪽은 포함되지 않았기에 복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경로는 상단 지도 참조.

3.2. 오치천

삼각산 자연과학고 뒤쪽에서 발원하여 고운로와 설죽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용봉천에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오치동 개발 당시 복개되었다. 경로는 상단 지도 참조.

오치천과 서방천의 분수계는 삼각산-문정여고-문화근린공원-전대 북문-전대 사회과학대이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용봉천[2] 이 도로는 우치로와 설죽로를 비스듬하게 잇는데, 1990년대 후반 일곡지구가 조성되기 전부터 있던 송전선을 따라 건설되었기 때문이다.[준공표지석1] 준공표지석(설죽로와 설죽로315번길이 만나는 교차로 횡단보도 앞)[준공표지석2] 설죽로, 북부경찰서 서쪽 상가 앞. 용봉천은 설죽로와 용봉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지만, '용봉천복개공사'의 일환으로 서방천 일부 구간도 함께 복개되었다.[5] 일곡지구 서쪽 단독주택단지가 있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