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32:32

우치하 마다라/사용 술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우치하 마다라|우치하 마다라]]

파일:ddfgryp.png
우치하 마다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행적 <colbgcolor=#fff,#1f2023>작중 행적(반전) · 평가
주요 관계 인간관계
능력 전투력 · 사용 술법
게임판 나루티밋 스톰 · 시노비 스트라이커
기타 말이 필요 없는 약속 }}}}}}}}}


1. 개요

보유 차크라 성질
음양둔
陰陽遁
음둔
陽遁
양둔
陽遁
화둔
火遁
수둔
水遁
뇌둔
雷遁
풍둔
風遁
토둔
土遁
목둔
木遁
람둔
嵐遁

우치하 마다라의 사용 술법.

마다라는 주로 스사노오, 화둔의 술을 구사해 싸웠으며, 생전에는 자신의 전용 보구인 '군바이'를 주무장으로서 사용했다. 예토전생 후에도 이러한 양상은 변하지 않았지만 생전에 쓰지 않았던 윤회안의 동력, 그리고 새롭게 얻은 하시라마의 힘을 구사해 오카게와 연합을 압도했다. 다만 무슨 연유에서인지 만화경 사륜안의 동력은 그 어떠한 싸움에서도 꺼내지 않았다는 점이 타 만화경 술자들과 차별화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차크라 성질은 생전과 예토전생 후로 차이가 있으며, 극중 묘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생전의 속성은 화둔과 음둔이 있고, 나머지는 대부분 하시라마 세포 이식과 윤회안의 개안, 육도선술의 개화를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목록

※ 기술의 출처에 따라 이름 옆에 아이콘으로 분류.
범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1]
게임 오리지널[2]
소설 오리지널

2.1. 인술(忍術)

2.1.1. 성질변화(性質變化)

2.1.1.1. 화둔(火遁)
2.1.1.2. 풍둔(風遁)
2.1.1.3. 목둔(木遁)

2.1.2. 시공간인술(時空間忍術)

2.1.2.1. 소환술(口寄せの術)
파일:Kuchiyose_no_Jutsu_(Edo_Madara).webp
소환술
口寄せの術
생물과 피로 계약을 맺어 필요할 때 인술로 불러내는 시공간인술의 일종. 만일 소환수와 계약을 맺지 않고 사용할 경우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4]

마다라는 생전 특정 소환수와 계약을 맺지 않았지만 센쥬 하시라마와의 싸움을 대비해 미수인 쿠라마를 찾아내어 사륜안으로 속박한 뒤 강제로 계약하였다.[5] 이 계약은 마다라 사후에도 끊어지지 않아, 예토전생 된 마다라가 다시금 쿠라마를 소환하려 했지만, 이 당시에는 나루토 안에 봉인된 상태였기 때문에 불발되었다.[6]

2.2. 체술(体術)

2.3. 봉인술(封印術)

2.3.1. 주인술(呪印の術)

2.4. 선술(仙術)

2.4.1. 육도 선술(六道仙術)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adara_Jinchuriki_anime.png
파일:마다라 육도선술.png
육도 선술
六道 仙術
십미의 인주력이 되어 개화한 육도의 선술. 윤회안과 육도 선술을 습득한 마다라는 육도선인과 동격의 존재가 되었다. 이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마다라는 5대 차크라의 성질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음양둔이 기초가 되는 구도옥을 생성할 수 있게 됐으며, 비행 능력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 같은 육도의 선술을 사용하는 나루토와 달리 모습이 변모하지는 않는다.[8] 다만 등에는 나루토와 공통으로 육도 선술을 개화한 증거라고도 할 수 있는 인종의 문장과 9개의 곡옥 패턴이 새겨져있다.
2.4.1.1. 음양둔(陰陽遁)

2.5. 동술(瞳術)

2.5.1. 사륜안(写輪眼)

파일:Sharingan_de_Madara_29.webp
사륜안
写輪眼
우치하 일족 고유의 혈계한계로, 3대 동술 중 하나. 개안 및 발동시 홍채가 붉어지고, 동공 주변에 곡옥과 같은 형태를 가진 반점이 생긴다. 눈동자의 반점은 술자의 숙련도가 오르면 오를수록 성장하여 최대 3개까지 생기게 된다. 마다라는 전쟁에서 맺어진 친구인 하시라마와 적대해야만 하는 슬픔을 느꼈을 때, 이 눈을 개안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2.5.1.1. 만화경 사륜안(万華鏡写輪眼)
파일:Mangekyo_Sharingan_29.webp
만화경 사륜안
万華鏡写輪眼
사륜안을 개안한 자가 소중한 이의 죽음과 같은 커다란 슬픔에 직면했을 때 개안하는 특수한 동술. 우치하 일족에 역사에서 개안자는 극소수일 정도로 적다. 마다라는 전쟁 중 소중한 사람을 잃어 이 눈을 개안했다.[11]

통상의 사륜안보다도 강한 동력을 지니고 있으며, 그 형태도 개안자마다 차이가 있다. 특히 개안자 별로 각기 다른 고유 동술을 오른쪽과 왼쪽, 각 눈에 하나씩 갖게 되며, 양눈에 만화경 사륜안의 동력을 갖게 된 자는 제3의 힘인 스사노오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다만 마다라는 스사노오 외 고유의 동력은 밝혀지지 않았다.

만화경 사륜안은 쓰면 쓸수록 시력을 잃게 되며, 마지막에 가서는 시력과 함께 눈의 동력조차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시력 뿐만 아니라 차크라도 대폭 소모시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건 적합하지 않다.
2.5.1.2. 스사노오(須佐能乎)
파일:51F36B494E09C2002A.jpg
스사노오
須佐能乎
만화경 사륜안 양쪽의 동력을 모두 개안한 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제3의 힘. 실체화된 차크라는 거대한 해골의 형상을 띄며 술자의 동력이 강해질수록 갑옷을 입은 투신으로 변모해 나간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스사노오・제3형태(須佐能乎・第3形態)
파일:MadaraPS.png
스사노오・제3형태
須佐能乎・第3形態
카라스 텐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밖의 특징은 불명. 완성체 스사노오로 가는 단계에서 잠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크기가 엄청나게 크게 묘사되었으나 이게 실제 3단계의 크기인지는 알 수 없다.


게임

2.5.1.2.1. 위장・스사노오(威装 須佐能乎)
2.5.1.2.2. 완성체・스사노오(完成体・須佐能乎)

2.5.2. 윤회안(輪廻眼)

파일:Rinnegan_de_Madara.webp
윤회안
輪廻眼
육도의 눈. 인드라의 환생자인 마다라는 종말의 계곡의 최종 결전에서 입수한 하시라마의 살점을 자신의 육체에 이식했고, 이후 노화되어 생사의 갈림길에 선 시점에서 이 눈을 개안하였다. 나가토와 오비토가 사용하는 윤회안은 마다라의 것을 계승한 것이며, 우여곡절을 거쳐 육도선인의 힘을 얻은 뒤 자신의 윤회안을 모두 되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마다라가 카구야의 부활을 위한 매개로 사용된 이후에는 두 눈 모두 실명되어 완전히 소실되었다.[24]


* 윤회안・시공간인술(輪廻眼・時空間忍術)
파일:마다테포.png
윤회안・시공간인술
輪廻眼・時空間忍術
윤회안의 능력 중 하나로, 마다라는 윤회사륜안을 사용해 이공간으로 향하는 게이트를 열 수 있다.[25] 기술의 원리는 술자가 한 번 이상 갔던 장소의 패턴을 저장하여 이를 여는 것으로 워프하는 것이다. 물론 가본 적이 없는 이공간으로도 갈 수 있기 때문에, 사스케의 경우는 오오츠츠키의 문장이 그려져 있던 유적지나 모모시키의 이공간, 또다른 개체의 십미가 봉인돼 있는 잇시키의 이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오갈 수 있었다.[26] 다만 이 동술을 사용할 경우에는 막대한 동력을 소모한다.

아메노미나카와 같은 계열의 기술로 보이지만, 작중의 묘사 외 명칭이나 설정 등 아무 것도 밝혀진 게 없다.[27] 때문에 윤회안의 고유 동력인지, 아니면 사스케만의 고유 동력인지는 알 수 없다. 마다라의 경우는 게임판에서 사용했으며, 스킬 설명에는 단순히 윤회사륜안의 동력이라고 소개되어 있다.[28]
2.5.2.1. 아귀도(餓鬼道)
파일:Caminho_Preta_29.webp
아귀도
餓鬼道
윤회안의 기본 동력 중 하나. 윤회안 술자에게 모든 형태의 차크라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봉술흡인)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이 술법은 인술에 기반한 술법을 모두 흡수하여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에 특화된 술법이라 할 수 있다.
2.5.2.2. 천도(天道)
파일:천도마다라.png
천도
天道
윤회안의 기본 동력 중 하나. 윤회안 술자에게 인력과 척력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물체와 사람을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늘을 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술법의 시전 규모에 따라 재사용 시간이 달라지며, 술법을 최소 출력으로 사용해도 기본적으로 최소 5초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2.5.2.3. 외도(外道)
파일:Ged28Madara_Uchiha_-_Anime_1%29.PNG.webp
외도
外道
윤회안의 기본 동력 중 하나. 윤회안 술자에게 삶과 죽음을 제어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외도의 술자는 신체에서 발생시킨 검은 수신기를 시체에 꽂아 그들을 자신의 아바타로서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윤회천생의 술로 술자 자신의 목숨을 바쳐 불러낸 영혼, 혹은 특정 범위 내에서 죽은지 얼마 되지 않은 자들을 되살리는 것이 가능하다.

2.5.3. 윤회사륜안(輪廻写輪眼)

파일:Rinne_Sharingan_de_Madara_29.webp
윤회사륜안
輪廻写輪眼
혈계망라의 근원이자, 3대 동술의 기원이 되는 동술.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윤회안과 사륜안의 능력을 모두 갖고 있으며[32], 모든 속성을 어우르는 혈계망라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흑제츠에 의해 조작된 우치하의 비석의 내용을 충실히 이행한 마다라는 그 내용에 따라 윤회안(육도)과 십미의 인주력(선인), 상반되는 두 힘을 모두 충족한 상태에서 달에 가까이 다가가 이 눈을 개안했다. 이로써 마다라는 카구야에 한없이 가까운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카구야 부활을 위한 제물이 될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마다라가 윤회사륜안을 갖고 벌인 일은 무한 츠쿠요미 뿐으로, 과연 마다라가 얼마나 이 눈을 잘 다뤘을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2.6. 고유능력(固有能力)



[1] 정사에 들어가는 더 라스트/보루토 애니메이션 제외.[2] 원작에서 나왔지만 기술명은 게임에서 명명된 기술 제외. EX,) 육도 초대옥 나선수리검.[3] 본인의 분신이 시체로 위장했다.[4] 지라이야가 묘목산으로 처음 갔던 계기가 소환수와 계약하지 않고 소환술을 사용해서였다. 이때 히루젠이 계약을 하지 않고 사용하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고 하였다.[5] 계약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지만 예토전생 후에도 소환술으로 쿠라마를 불러내려 했던 걸보면 계약을 했음은 분명하다. 실제로 소환술을 썼을 때 쿠라마는 마다라가 자신을 부르고 있음을 느꼈다.[6] 만약 봉인되지 않은 상태였다면, 오비토에게서 외도마상을 강제로 불러들인 것처럼 쿠라마가 강제로 빠져나갔을 가능성이 높다.[7] 카카시의 치도리에 찔려 자살한 이유가 이 때문이다.[8] 마다라의 모습이 변한 건 육도의 선술 때문이 아니라 십미의 인주력이라서 변한 것이다.[9] 명칭 출처 : 애니메이션 설정하 '검은 제츠에게 잡힌 오비토 & 육도의 석장' 中[10] 정황상 하시라마와의 싸움에서 양 눈이 만화경이였던 데다, 한동안 죽어있다가 이자나기로 부활한거라, 다른 눈으로 갈아끼운다던지하는 수작이 아예 불가능했다.[11] 그 사람이 누군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2] 정식 명칭이 없어 가칭을 사용한다.[13] 해당 특전 영상에서는 하시라마가 계약 봉인으로 마다라와 구미의 링크를 끊는, 원작과 완벽히 상반되는 묘사가 나오기 때문에 정사라고보기에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때문에 단순히 참고만 하는 것이 좋다.[14] 설령 아마테라스/츠쿠요미 세트를 지니고 있었다고 해도 "한명을 꼭 집어서 아작낸다"의 상황이 아닌지라 쓰기도 부적합 했을것이다.[15] 다만 기술의 발동은 완성체 스사노오부터 가능하다는 설정이다.[16] 참고로 원작에서는 단순히 스사노오가 형성되어 나루토가 팅겨져 나가는 묘사였다.[17] 원작에서는 마다라가 스사노오의 검을 두 번 휘두른 후 곧바로 가아라가 마다라를 스사노오에서 끄집어내는 전개였다. 애니메이션에서 마다라의 첫 데뷔전이 매우 퀄리티 높게 그려지면서 스사노오의 활약도 추가된 것.[18] 나루티밋 스톰 4까지는 '스사노오・영'이라 표기됐지만, 신작인 나루티밋 스톰 커넥션즈에서는 '스사노오・일도양단'이라 표기되었다.[19] 나루티밋 스톰에서의 표기.[20] 닌자 볼테이지 中.[21] 나 혼자서 충분하다. 이 때 사스케의 반응은 "칫..."[22]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마찬가지로 칫 하고 못마땅해하는 마다라는 덤.[23] 쓸때없어...[24] 작품 내에서 실명된 눈은 조점이 없고 새하얀 눈동자로 그려지는데, 카구야를 쓰러뜨린 직후 허약해진 마다라의 눈은 그런 상태로 그려졌다. 애니메이션에서도 마찬가지로 초점없는 흐리멍텅한 눈으로 그려지며, 곁으로 다가온 사람이 누군지조차 알아볼 수 없어 지레짐작으로 "하시라마...인가?"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25] 시노비 스트라이커에서의 기술 설명 中.[26] 다만 오비토가 마킹이 새겨진 이공간 외 다른 이공간으로 향하기 위해서 막대한 차크라를 소모했던 걸보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공간으로 향할 때는 막대한 동력을 소모할 가능성이 있다.[27] 위의 설명도 소설판 보루토 극장판에서 나오는 설정들이다.[28] 이를 더러 제작진들이 아메노미나카의 설정을 몰라서 연출을 이렇게 한 게 아닌가 싶을 수 있지만, 본 게임 내에서도 카구야가 플레이어블로 있고, 기술 중 '아메노미나카'가 따로 존재한다. 제작진들도 설정을 안다는 소리. 한편 본 술법의 명칭은 단순히 '시공간이동'으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아메노미나카와는 그 구분을 명확히하고 있다.[29] 정확히 어느 정도 실체화가 가능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긴 시간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30] 나루티밋 스톰 4의 내용 中. 원작에서는 마다라가 전력은 커녕 제대로 된 능력을 보여주기도 전에 카구야에게 바톤을 넘겨주고 말았다.[31] 토네리의 언급을 통해 드러난다. 마다라가 마음대로 마상을 훔쳐갔다고 하는데, 마다라는 그러한 사실에 대해서는 몰랐다.[32] 진의 서, 요모츠히라사카의 설정을 보면 카구야는 3대 동술을 모두 지녔다고 하는데, 이는 윤회사륜안 하나로 사륜안과 윤회안을 모두 지녔다는 걸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