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袁承志김용의 두번째 작품인 벽혈검의 주인공. 청나라에 대항했던 명대 최후의 명장인 원숭환(袁崇煥)의 아들이다. 캐릭터성은 어렸을 때부터 용감하고 총명하며 심지굳은 매우 전형적인 무협 협객 주인공 타입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의외로 김용 초기작에서 보여지는 한족제일주의 캐릭터는 아니다. 그의 가장 큰 원수는 아버지를 처형시킨 숭정제이며, 명을 침공한 청태종와 같이 척결해야 할 대상이다.[1] 썩을대로 썩어 수명이 다한 명왕조를 증오하며 그래서 이자성에게 지지를 보내고 있다.
2. 작중 행적
첫 등장은 10세로 이미 원숭환은 숭정제에게 사형당했다. 당연히 삼족형을 받은 원승지를 원승환의 충복들이 구출해서 산속에 숨어 훗날을 도모한다. 원승지를 잡기 위해 관군들이 산채로 들이닥치자, 협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화산파로 들어가게 되며 신검선원(神劍仙猿) 목인청(穆人淸)에게 황진, 귀신수에 이은 3번째 제자[2]로 거둬진다.[3]목인청의 무공을 충실히 3년동안 수행받으면서 목인청의 친구인 목상도인과 만나게 된다. 주로 목인청이 내공, 권각법을 전수했다면, 목상도인은 경공과 암기술을 전수해준다. 특히 벽혈검-녹정기 시대의 최강의 경공+회피술인 신행백변(神行白變)을 전수받아서 유용하게 구사했다.[4] 그리고 우연히 절벽안의 동굴에서 금사랑군이 남긴 비급과 금사검을 발견해서 수련한다. 즉 당대의 무림제일급 고수 3인에게 무공을 전수받은 것이다. 그리고 녹정기에도 등장하는 오잠의[5])를 목상도인에게 받아서 여러 번 유용하게 쓴다. 화산파 장문인 목인청을 10년간 사사했을 뿐만 아니라 철검문과 금사랑군의 독문무공까지 전수받아서 약관의 나이인 작중 중반부터 이미 작중 최고수급 반열에 오른다.
구판 결말은 원승지 일행이 마지막으로 어디로 떠났는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고, 원승지가 떠난 이유는 해도도(海島圖)를 보고 혈기가 치솟아 즉흥적으로 섬을 찾기 위해 청청, 하척수 이하 자신의 사람들을 모아 떠난 것이었다. 신판 결말은 원승지 일행이 떠난 곳은 브루나이로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원승지가 떠난 이유는 이자성의 변절과 몰락에 명이 청에게 복속되는 현실에 우울해했고, 지켜보던 장조당(張朝唐)이 브루나이로 떠나는 것이 어떻냐?는 제안한다. 이에 원승지는 해도도(海島圖)를 장조당에게 보여주니 장조당은 지도속의 섬이 브루나이 인근 섬이라 알려준다. 지도속의 섬이 현재 서양 해적들에게 점거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원승지가 서양 해적을 쫓아낸 후 그곳을 지배하기 위해 일행들을 끌어모아 떠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3. 기타
녹정기에서 구난사태와 하척수의 회상과 언급을 통해 간접적으로 묘사된다. 해외에서 자리 잘 잡아서 세력 구축하며 잘 먹고 잘 사는 것으로 나온다. 하척수를 중원으로 다시 파견한 장본인. 벽혈검의 20세 시절에 이미 옥진자를 누르면서 목인청을 제외하면 천하에 그를 이길 자가 없었는데, 20여년이 지난 녹정기에서는 단연 무림 천하제일로 짐작된다.[6][1] 정작 청태종은 성군으로 묘사되며, 원숭환을 존경한다고 하니 아이러니.[2] 말이 3번째 제자이지 첫째인 황진과 30살 이상, 둘째인 귀신수와 20살 이상 더 어리다. 그들의 제자들보다 원승지가 더 어려서 이것 때문에 난감할 수 있다고 목인청이 가르친다.[3] 흥미로운 점은, 목인청이 화산파를 소개하면서 풍(風)조사가 화산파를 개창했다고 한다. 그런데 역사상으로 화산파를 만든 개창조사는 학대통이다. 팬덤에서 소오강호 시절 지리멸렬 박살난 화산파를 풍청양이 재건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참고로 벽혈검은 녹정기와 등장인물들이 겹치는 이어지는 작품인데 녹정기에서 영호충의 이름이 등장했다.[4] 원승지 외에 구난사태, 위소보가 전수받았다. 위소보는 원승지보다 더 유용하게 잘 써먹는다.[5] 칼을 막아주는 방검복 비슷한 보호용 보의. 위소보가 오배의 보물창고에서 득템하면서 현철 비수와 세트로 엄청 잘 써먹는다.[6] 귀신수는 벽혈검 시절에 목인청, 목상보다 쳐지는 5손가락에 드는 고수인데 녹정기에서 진근남이 안될 정도의 중원 무림의 1인자로 놓을만한 무위를 자랑한다. 녹정기 시대에 손꼽히는 고수였던 구난사태가 위소보에게 자신보다 강한 고수가 있냐는 질문에 한 사람이 있다고 두루뭉실하게 대답한 적이 있는데, 다름 아닌 원승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