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일본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영국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독일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소련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프랑스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 프리미엄 | |
이탈리아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 프리미엄 | |
네덜란드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스페인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범아시아 | 구축함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유럽 | 구축함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범아메리카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영연방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이벤트 군함 | 기간 한정 군함 | |||||
초군함 |
1. 개요
동급의 같은 함종 다른 군함과 비교한 차이점입니다.
주포
* 높은 명중률
* 포탄 속도 빠름
어뢰
* 짧은 어뢰 사거리
피탐지
* 높은 피탐지율
내구력
* 내구도 높음
기동력
* 최고 속도 빠름
* 기동력 낮음
사실상 작은 순양함이라고 볼 수 있는 포격형 구축함이다.주포
* 높은 명중률
* 포탄 속도 빠름
어뢰
* 짧은 어뢰 사거리
피탐지
* 높은 피탐지율
내구력
* 내구도 높음
기동력
* 최고 속도 빠름
* 기동력 낮음
구축함 최강의 포격능력을 가졌고 속도도 상위권이다. 하지만 포탑회전속도, 함체선회속도가 느리고 어뢰사거리가 매우 짧고 피탐지범위가 커서 유연한 운용이 힘들다. 블리츠의 모든 함종을 통틀어 난도가 가장 높은 트리다.
저티어 함선들은 이상하게 수량이 많은 어뢰를 가지고 있지만, 5티어부터는 포격에 중점을 두는 소련 구축함의 냄새가 나기 시작하고, 실제로 주포가 쓸만한 수준으로 강해지는 7~8티어부터는 다른 국가의 구축함과는 상이한 플레이가 요구된다.
이론상으로는 강력한 포격능력으로 초반 구축함전에서 우위를 점할 순 있지만, 굼뜬 선회 때문에 적의 어뢰를 조심해야 한다. 주포화력만 봐서는 7티어 이후는 모든 구축중에서 최강급이지만, 소나와 강력한 철갑탄으로 안정적인 딜 교환을 하는 독구축이나 빠장 3단계를 가진 프구축, 연막 레이더 조합을 가진 범유구 2차를 상대로는 소구축이 크게 우위를 가지기는 힘들다. 이에 따라 소구축이 점령해역에서 버티기는 매우 어려우며, 초반 점령은 포기하고 거점의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서 적의 어그로를 끌고 구축함의 동향을 파악하는 플레이가 중요하다. 점령은 적 구축을 쫓아내거나 없앤 뒤 해도 충분하다.
독구축에 비해서는 고폭탄의 효율이 좋아, 초반 교전 이후에는 적의 전함이나 순양함의 양각을 잡고 불을 붙이며 어그로를 끌어주는 사실상 작고 빠른 순양함스러운 플레이가 요구된다. 하지만 회피기동을 대충 했다가는 구경이 커서 과관통이 나는 전함에게도 한방컷이 날수 있으니 주의하자.
똑같이 엔진 부스트와 빠른 장전, 우수한 고폭탄과 높은 최고속도를 가진 프랑스 구축함과 비교하자면 소련 구축함은 빠른 탄속과 우수한 집탄을 가진 주포를 기반으로 안정성 있는 포격전 위주의, 프랑스 구축함은 과감한 기동전과 근접 포격전 위주의 플레이가 요구된다. 2차 트리끼리 비교하자면 소련쪽은 밸런스 있는 뇌격과 포격 및 점령, 프랑스 쪽은 더 뇌격에 치중한 플레이가 요구되는 편.
2. 함선(공통 트리)
2.1. 스따라졔보이 - 2티어
| 군함명 | Storozhevoi | |
함급 | Storozhevoi급 | ||
건조 | 1916 | ||
배수량 | 1,000톤 | ||
전장 | 91m | ||
전폭 | 9m | ||
출력 | 16,000마력 | ||
군함 스킬 | 군함 특기 | ||
"중-배수량" 구축함으로 설계된 이 군함은 정찰 작전과 어뢰 공격에서 적선과의 함포 전투까지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최첨단 추진 장치 덕분에 빠른 속도로 운항할 수 있다.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6,104 | 5% | 10%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3% | 3% | }}} | ||
기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33.62knot | 11.04초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8.40도/초 | 2.70초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102 mm/60 Model 1911 | 3×1 | 5초 | 6.30km | 10도/초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고폭탄 | 283 | 2% | - | |
철갑탄 | 305 | - | 150%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어뢰 공격력 | ||||
450 mm Goncharov Triple | 3×3 | 37.20초 | 1,96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속력 | 침수 유발 확률 |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 |||
3.60km | 58.35knot | 8% | 15도/초 | }}} |
<colbgcolor=#309af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5.34km | 7.80km |
어차피 2티어니까 오래 있을 필요도 없다. 섬을 끼고 기동하면서 전함이나 순양함 상대로 어뢰 9발을 꽂고 다니자.
2.2. 데르즈키 - 3티어
| 군함명 | Derzki | |
함급 | Derzki급 | ||
건조 | 1914 | ||
배수량 | 1,070톤 | ||
전장 | 93m | ||
전폭 | 9.1m | ||
출력 | 25,500마력 | ||
군함 스킬 | 군함 특기 | ||
터빈을 장착한 최초의 러시아 구축함이다. Derzki는 속력이 빠르며 동시대의 다른 군함과 비교해 큰 선체때문에 내구력이 뛰어났다. 측면 일제 사격이 가능한 어뢰의 수로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상대가 없었던 군함이다.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8,284 | 5% | 10%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3% | 3% | }}} | ||
기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33.62knot | 9.43초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9.40도/초 | 2.70초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102 mm/60 Model 1911 | 3×1 | 5초 | 6.58km | 10도/초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고폭탄 | 283 | 2% | - | |
철갑탄 | 305 | - | 150%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어뢰 공격력 | ||||
450 mm Twin Model 1913 | 5×2 | 31초 | 1,96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속력 | 침수 유발 확률 |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 |||
3.60km | 58.35knot | 8% | 15도/초 | }}} |
<colbgcolor=#309af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5.34km | 7.44km |
2.3. 이쟈슬라프 - 4티어
| 군함명 | Izyaslav | |
함급 | Izyaslav급 | ||
건조 | 1916 | ||
배수량 | 1,350톤 | ||
전장 | 99,1m | ||
전폭 | 9.4m | ||
출력 | 25,500마력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전설적인 Novik급 구축함으로 개발된 Izyaslav는 러시아 해군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구축함 중 하나였으며 이전 모델과 비교해 더욱 강력한 함포로 무장하고 있었다. Izyaslav는 동시대 다른 국가의 구축함보다 어뢰관 구경이 열세였지만, 측면 일제 사격이 가능한 어뢰의 수로 이를 부분적으로 보완했다.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10,528 | 5% | 10%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3% | 3% | }}} | ||
기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35.01knot | 9.89초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8.60도/초 | 2.70초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102 mm/60 Model 1911 | 5×1 | 5초 | 7.00km | 10도/초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고폭탄 | 291 | 2% | - | |
철갑탄 | 314 | - | 150%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어뢰 공격력 | ||||
450 mm Model 1913 | 3×3 | 31.20초 | 2,35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사거리 | 속력 | 침수 유발 확률 |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 |||
4.20km | 61.13knot | 8% | 18도/초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소구경 대공포 | 13 | 1.50km |
<colbgcolor=#309af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5.52km | 7.44km |
화포는 102mm 주포로서 다른 국가 구축함들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구경을 가지고 있으나 해상 저격에 특화된 소련이 아니랄까봐 장거리 사격에 특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부터 엔진 부스터 스킬이 추가되어 소련 특유의 활발한 기동전이 가능해진다. 기본 기동력도 상향되었으니 5티어부터 확 바뀌는 플레이 스타일에 미리 적응하자.
2.4. 포드보이스키 - 5티어
어뢰의 투발량이 2X3으로 줄어들어 포격 구축함의 면모가 강해졌다. 다음티어부터는 뇌격의 난이도가 급상승하므로 포드보이스키로 포격위주의 운영을 연습해야 한다.2.5. 그녜브니 - 6티어
소련 구축함 트리의 고유스킬인 빠른 장전이 달렸다. 모든 구축함의 스킬 중 가장 쓸모없는 빠른 장전이지만 그래도 6티어에서는 그럭저럭 재미있게 쓸 수 있다.6티어부터는 전함도 원거리에서 구축함에 유효타를 맞출 수 있으므로 뇌격을 노리기 어렵다. 일본 구축함 1차트리가 주포를 쓰는 느낌으로 어뢰를 쓰면 되겠다.
2.6. 민스크 - 7티어
동티어 프레미엄 소련 구축함 레닌그라드의 완벽한 하위호환인데, 그 레닌그라드조차 항공어뢰 회피가 어려워 멸종했다. 민스크 따위는 말할 것도 없다.실력차이가 크지 않다면 카가의 항공어뢰 개막뇌격으로도 한 번에 침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대 항모 유저의 실력이 뛰어날 것같으면 개막뇌격회피를 위해 엔진 부스트 사용시점을 늦추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항공모함이 큰 위협이 아니었던 하위티어와 포격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상위티어에 비해 어려운 점이 많다.
3. 1차 트리(포격 구축함 트리)
3.1. 타슈켄트 - 8티어
주포배치가 전방2후방1로 합리적으로 변했다. 구축함치고는 강력한 주포화력의 2/3을 상시 투사할 수 있다. 게다가 주포회전속도가 미국 구축함 수준으로 빨라졌다.주포화력을 끌어내기 위해 측면을 노출시켜야하는 부담이 줄어들었으므로 대 구축함전에서의 어뢰회피가 쉬워졌고 상위함종의 견제사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헤드온한 상태로 전함에 고폭탄을 퍼부으며 어그로를 끄는 플레이도 충분히 쓸만하므로 도망치는 상대 구축함을 무리하게 추적할 필요가 없다. 상위함종 상대시 선회를 통한 회피는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철저하게 지형지물을 활용해야 한다.
이론상으로는 동티어대 구축함 중 대구축 능력은 상당히 뛰어난 편이다. 장전 부스트의 성능은 그리 뛰어나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적과 조우하는 짧은 시간동안 4.5초마다 6발의 철갑탄을 박아주기엔 충분한 시간이다. 그러나 선체가 크고 선회가 굼뜨며, 이에 따라 적의 포격이나 어뢰 회피에 지장이 있다. 미리미리 적 방향으로 선체를 틀어 회피기동을 하며 점령지를 밟을때는 가능한 아군 지원이 있을 때에 들어가도록 하자. 또한, 장전 부스트를 적절히 사용해 복구킷이 빠진 전함이나 연막을 칠수 없는 상태의 구축함에 더욱 효율적으로 딜을 넣도록 하자.
항공어뢰는 여전히 못 피한다. 기본 가속과 선회가 불량하기 때문에 어떤 세팅을 하건, 엔진부스트를 쓰건말건 뇌격 한차례에 체력절반이 증발한다. 하위티어 항공모함 카가, 사이판은 여전히 공포의 대상이다. 만약 타슈켄트가 항모포함매칭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면 상대팀 항모 플레이어에게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타슈켄트의 최대속도는 최고속도올인세팅시 47노트다. 그러나 여전히 어뢰를 눈으로 보고 피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최고속도에 올인하지 않으면 최고속도가 44노트 정도인데, 동티어 프랑스 순양함 샤를이 최고속도 42노트를 찍는다지만, 샤를은 포 성능이 구리고 선체가 거대하기 때문에 기동성 면에서는 구축함인 타슈켄트에 비할 바가 못 되며, 다른 구축함에 비해선 여전히 빠른 속력이다. 느렸던 미국전함도 8티어를 기점으로 30노트 전후의 고속전함이 되기 때문에 대전함 뇌격 난이도도 상승한다.
전체적으로 함의 난이도는 높다. 언제나 적을 주시하고 회피기동을 하며, 들어갈 때와 빠질때를 잘 깨달아야 한다. 쉴새 없이 포격을 가하고 뼈빠지게 기동하다 보면 적 구축함을 잘라내고 승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지만, 대충 몰면 초반부터 적 어뢰맞고 용궁 가는 함선이므로, 운용에 매우 큰 주의가 필요하다. 전티어에 비해 늘어난 포문수와 나아진 포 배치, 그러나 둔해진 기동과 늘어난 교전거리에 의해 더욱 소련 구축함 스러운 플레이가 필요해진다.
3.2. 키예프 - 9티어
스펙업된 것 말고는 타슈켄트와 큰 차이가 없지만, 실제로 타보면 묘하게 작은 선체와 약간 빨라진 선회, 그리고 24도/초 의 워쉽 블리츠에서 가장 빠른 주포 회전 속도가 전티어의 단점을 보완해 준다.주포의 사거리가 조금 늘어났다. 또한 기본 주포 회전 속도가 빨라져서 주포 장전 이큅을 마음 놓고 달수 있게 되어, 딜링 능력도 소폭 상승하였고, 어뢰도 5연장 2문으로 바뀌어 투발량이 한발 늘어났고 사거리도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이 녀석은 악명높은 9티어이다. 9티어부터는 동티어 독일 구축함이 연막을 두개씩 달고 나오고, 10티어인 하바롭스크와는 다르게 포문수도 그리 많지 않아 타슈켄트가 했던것 처럼 압도적인 화력을 보여주기는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