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19:57:59

웨이 백

웨이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년 영화에 대한 내용은 더 웨이 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피터 위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181818;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974 파리의 자동차 로고.png 파일:1975 행잉록에서의 소풍 로고.png 파일:1977 잃어버린 시간 로고.png
파일:1981 갈리폴리 로고.png 파일:1982 가장 위험한 해 로고.png 파일:1985 위트니스 로고.png
파일:1986 모스키토 코스트 로고.png 파일:1989 죽은 시인의 사회 로고.png 파일:1990 그린카드 로고.png
파일:1993 공포 탈출 로고.png 파일:1998 트루먼 쇼 로고.png 파일:2003 마스터 앤드 커맨더 위대한 정복자 로고.png
파일:2011 웨이백 로고.png
}}}}}}}}}}}} ||
<colbgcolor=#000><colcolor=#fff> 웨이 백 (2010)
The Way Back
파일:웨이 백 국내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피터 위어
각본 피터 위어
키스 R.클라크
제작 던컨 핸더슨
조니 레빈
나이겔 싱클레어
피터 위어
기획 모하메드 크할라프 알 마즈로우에이
토빈 암브러스트
에드 보르게르딩
키스 R. 클라크
가이 이스트
제이크 에버츠
아담 레이프지그
시몬 오크스
존 피탁
스콧 루딘
조나단 슈워츠
원작 슬라보미르 라비치
출연 에드 해리스, 짐 스터지스, 콜린 파렐, 시얼샤 로넌
음악 브루크하르트 폰 달비츠
촬영 러셀 보이드
편집 리 스미스
미술 존 스토다트
케스 보넷
의상/분장 웬디 스타이츠
그렉 펑크
제작사 내셔널 지오그래픽
Spitfire Pictures
이미지네이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Newmarket Film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쇼박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쇼박스, K&엔터테인먼트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0년 12월 2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3월 17일
상영 시간 133분
제작비 30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2,701,859[1]
월드 박스오피스 $24,172,201
총 관객수 106,223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시놉시스3. 예고편4. 등장인물5. 줄거리6. 원작과의 차이점7. 명대사8. 평가9. 여담

[clearfix]

1. 개요

슬라보미르 라비치의 '얼어붙은 눈물'[2]을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

라비치가 겪었던 일[3]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제작사가 제작사인지라 웅장한 자연 광경을 제대로 보여준다. 현지 올 로케이션을 통해서 시베리아 설원에서부터 거대한 침엽수림(타이가), 바이칼호, 고비사막, 히말라야, 티벳 고산지대 등 거대한 자연을 스크린에 잘 담아내고 있다.[4]

탈출기를 다룬 영화지만 기존의 프리즌 브레이크와 같은 작품들과 비교하면 곤란하다. 탈주영화라고는 해도 액션성은 거의 없다시피하다. 다른 탈주영화가 시시각각 좁혀들어오는 추격에 의한 압박감과 그로 인해 끊이지 않는 긴장감을 준다면, 이 영화는 광활한 자연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무기력한 존재인지, 그리고 그걸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영화를 보고있으면 긴장감이라기보다는 절망감이 더 많이 느껴진다.[5]

2013년 11월 15일 KBS1 명화극장로 방영했다. 연출은 이원희.

2. 시놉시스

1940년, 역사상 최악의 시베리아 강제 노동수용소라 불리는 `캠프105`!
7명의 수감자들이 목숨을 건 탈출을 감행한다.
살을 파고드는 시베리아의 살인적인 추위와 지옥보다 더 고통스러운 고비사막의 폭염을 이겨내며 오직 자유를 찾아 6,500KM라는 믿을 수 없는 거리를 탈주한 이들의 리얼 감동 실화가 시작된다!

3. 예고편


4. 등장인물

5. 줄거리

1940년. 소련. 조지아의 인간백정이 한창 도살을 하던 무렵 주인공은 아내의 자백(?)으로 인해 비밀경찰에 끌려간다. 강압적인 인민재판 끝에 결국 시베리아 강제 노동수용소 '캠프 105'로 끌려가게 된다.

6. 원작과의 차이점

영화에서 보면 아내가 고문에 못이겨 남편의 죄를 거짓으로 고백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는 각색된것이다. 원작을 읽어보면 소련측에서 멋대로 스파이 혐의를 붙여 판결을 내린 것으로 나온다. 가족을 불러서 고백시키는 것은 그저 요식행위일 뿐이고 이쯤이면 그냥 답정너 단계일 뿐이다. 물론 그렇다고 잘한 짓은 아니다.

영화에서는 주인공이 광산노동을 하는 듯 고생을 한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수용소장의 라디오를 고쳐주는 것을 계기로 나름 좋은 혜택을 받는다. 그리고 실제 주인공이 한 노역은 광산 노동이 아니라 스키를 만드는 비교적 편한 노동을 했다.

영화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주인공 일행의 탈출 사실을 수용소장의 부인은 미리 알고 있었다. 그리고 주인공들이 탈출한 것을 예상하고 필요한 물품을 마련해 주기도..[7]

원작에서 보면 주인공 일행이 히말라야 산맥을 넘는 도중 설인을 만나는 대목이 나온다. 그 설인을 피해서 주인공 일행이 다른 길로 돌아가다가 일행 중 한 명이 계곡 아래로 떨어져 목숨을 잃는다.

영화 말미에 이제 할아버지가 된 주인공이 폴란드에 남겨진 아내를 만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감동을 주기위해서 각색된것으로 실제로 주인공은 죽을때 까지 폴란드로 돌아가지 않았고[8] 영국에서 영국인 여자와 새로운 가정을 꾸렸다. 당시 서구권으로 망명했던 폴란드인들은 대부분 공산화된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극소수의 인원이 귀국을 했지만 전부 굴라그행을 당해버렸다. 사실 주인공도 고국의 가족들이 너무나도 보고 싶었지만 자신이 돌아가면 가족들까지 위험에 빠질까봐 평생을 타향에서 살아야만 했다. 심지어 처음 책이 출판 됐을때도 실명을 쓰면 공산측에서 자신의 가족들에게 해코지를 할까봐 가명을 썼다고 한다.

주인공과 함께 목숨을 건 탈출에 성공해 인도에 도착한 일행과는 인도에서 헤어진 후 다시는 만나지 못했고, 연락도 닿지 않았다고 한다.

7. 명대사

(몽골행이 좌절된 후 인도로 가자는 말에 일행들이 그럼 어떻게 갈거냐고 하자)
야누스: 걸어서 (We walk.).
(탈출도중 전부 살아남지는 못한다는 말에 대답하며)
야누스: 하지만 자유인으로 죽겠죠

8.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66 / 100 점수 7.2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74% 관객 점수 72%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1 / 5.0 관람객 별점 3.8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7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3.5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9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5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80%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52429"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52429;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52429|{{{#!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44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8.60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44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8.60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5.6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69 / 10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ff><tablebordercolor=#ba92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
별점 2.5 / 4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7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7.1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1144b><bgcolor=#fff> 파일:구글 TV 로고.svg ||
별점 / 5.0
피터 위어. 한 우물만 파는 거장.

1940년 시베리아 강제노동수용소에서 장장 6500km를 걸어서 탈출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다. 그런데 피터 위어는 극적인 요소를 굳이 집어넣을 생각없이 걷고 또 걷고 또 걷는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는 (피터 위어가 언제나 탐구해 온 주제인) 인간과 자연의 숙명적이고 숭고한 대결의 아름다움 앞에 무릎 꿇는다. 지루한가? 조금 그렇다. 위대한가. 약간 그렇다. 피터 위어의 최고작인가? 글쎄. 그럼 피터 위어다운 영환가? 당연하다!
김도훈 | ★★★☆ (씨네 21)
탈출 과정만큼이나 지루한

이 영화는 시베리아 수용소를 탈출해 인도까지 걸어간 실존인물들의 행보가 얼마나 지루한 여정이었는지는 확실히 보여준다. 걷고 대화하고 죽고 또 걷고 대화하고 죽고. 그들의 역경에 동참해보라는 피터 위어의 의도는 알겠는데, 관객이 지루함을 느낄 때 감동은 증발 된다.
최광희 | ★★★ (3M흥업)
로드무비의 궁극. ‘쿨’이 지배하는 세계에 던져진 뜨거운 구식 영화
김혜리 | ★★★★ (씨네21)
관광하듯 쉬엄쉬엄 가는 길
박평식 | ★★☆ (씨네21)
눈부신 설산을 보며 참혹한 인간의 생존의지를 생각해본다
유지나 | ★★★☆ (씨네21)
에픽의 시대를 재현하려는 힘겨운 몸부림
이용철 | ★★★ (씨네21)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방불케 한다
이화정 | ★★★ (씨네21)
살아있다는 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알게 한다.
이동진 | ★★★☆ (왓챠피디아)

9. 여담



[1] #[2] 1980년에 '소비에트 제 303수용소'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나, 출판사가 변경되며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그러다 영화 개봉 후엔 '웨이 백'으로 바뀌었다.[3] 하지만 실제는 라비치는 이러한 모험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후일 비톨트 글린스키(Witold Glinski)가 이것은 자신의 이야기라고 주장했으나 이 사람의 주장에도 헛점은 있다. 실제로 이런 경험을 한 사람이 있었던 것 같기는 하지만, 라비치도 책을 편집한 로널드 다우닝도 사망한 지금 진실을 아는 건 불가능하다.[4] 블루레이로도 출시되었으며 DVD판보다 훨씬 낫다는 평이 대부분이다.[5] 그러면서도 자유를 위해 모든 걸 내던지는 모습에서 고전명작인 빠삐용을 느낄 수 있다.[6] 오아시스 물은 배탈 나니까 많이 먹지 마라.[7] 원작이 1950년대 영국에서 출판되었다는 것을 감안해 본다면 이 원작을 계기로 주인공에게 도움을 준 수용소장의 부인과 남편은 숙청을 당했을 가능성이 아주 크다!![8] 1989년 이후에는 충분히 돌아갈 수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다.[9] 몽골이 중국으로부터 독립한 것 자체가 소련의 덕택이 크다.[10] 피터 홈즈 솔로몬의 저서 Soviet Criminal Justice Under Stalin에 그 상황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