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8:44:30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식 대회 입상 전적이 없는 특정 유희왕 플레이어의 발언을 서술하는 것을 금지한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로고.png 유희왕 마스터 듀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 DUEL 랭크 듀얼 · 프리 듀얼 · 이벤트 듀얼
(듀얼리스트 컵 · 듀얼 트라이얼 · 테마 크로니클)
| DECK 신규 작성 / 덱 편집 · 액세서리 · 스트럭처 덱
| SOLO 게이트 목록
(튜토리얼 · 절대적인 제왕 · SP 덱 챌린지 · 봉화요려담)
(별의 용사의 전설 · 난세를 헤쳐 나가는 여섯 무사 · TERMINAL WORLD)
| SHOP 마스터 팩 · 셀렉션 팩 · 시크릿 팩 · 보너스 팩 · 특설
| ETC 리미트 레귤레이션 · 초반 팁 · 환경 · 범용 카드 · 특수 연출 목록 · 시크릿 미션 · 도전과제 · 마스터 듀얼 검정 · 평가
}}}}}}}}} ||


1. 개요2. 오프라인과의 차이3. 역사
3.1. 2022년3.2. 2023년3.3. 2024년3.4. 2025년
3.4.1. 2025.01 금제 이후(2025/1/9~)
4. 덱 유형5. 덱 목록

1. 개요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최신 업데이트 환경 기준으로, 티어권 환경과 환경 내외에서 유저들에게 거론되는 카드군을 서술한다.

2. 오프라인과의 차이

실제 오프라인 환경과는 티어가 조금 다르다. 가장 주요한 원인은 오프라인은 3판 2선 매치인데 비해 마듀는 단판전이라는 것이다. 상대 덱에 맞춰 사이드를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단판으로 끝나므로, 특정 덱 상대로만 유효한 카드는 기피되고 최대한 둥글게 박히는 패트랩 계통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패트랩을 잘 맞지 않고 마법/함정 카드 위주로 플레이하는 함떡 계열이 오프라인보다 평가가 좋다.

누메론, 앤틱 기어, 사이버 드래곤 등 후공을 노리는 덱 역시 오프라인보다는 평가가 높지만, 천배룡 정도를 제외하면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지는 못했다. 대부분의 덱이 선공을 가져갔을 때의 고점이 높아서 후공 턴킬 덱이라도 돌파를 보장할 수 없는 데다, 후공은 선공의 플레이를 지켜본 후에 행동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랭크전에서의 선호도 역시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나 엑조디아, 시모치 번덱과 같은 FTK류의 극단적인 선공 올인형 덱 역시 그다지 좋은 평은 받지 못하는데, 선후공은 랜덤으로 결정되기에 후공 플랜이 전무하다면 평균 승률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덱은 선공이 유리하기 때문에, 결국 후공이 얼마나 강한가가 티어권과 비티어권을 가르는 척도가 된다.

기본적으로는 저점보다 고점을 높게 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고점이 높더라도 패트랩을 한 장이라도 맞으면 정지하는 저점이 없다시피 한 덱은 평가가 나쁘고, 기본적으로 패트랩을 맞았을 때도 어떻게든 타협빌드 정도는 낼 수 있으면서도 상대에게 패트랩이 없다면 대응할 여지도 주지 않고 완봉할 수 있는 덱이나 구축의 평가가 좋다.[1]

이런 이유로 덱 매수를 40장으로 최적화하여 최대한 원하는 카드를 잡을 확률을 높히는 OCG와는 달리 다소 말림을 감안하더라도 고점을 볼 수 있는 파츠를 투입하거나, 다양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환경에 둥글게 박히는 패 트랩이나 돌파 카드를 투입하여 덱 매수를 41장 이상으로 조정한 구축이 자주 보이는 편이다. 특히 절대 패에 잡아서는 안 되는 카드가 있는 덱일수록 41장 이상이 선호된다.

이러한 고점 중시, 41장 이상이 자주 보이는 덱 구축은 증식의 G가 없는 TCG와도 일맥상통하는 점으로, 글로벌 서비스라는 점과 함께 OCG와 TCG의 덱 구축 방식이 적절하게 혼용되는 것이 마스터 듀얼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이라면, 유행이 매우 빠르게 번진다. 기본적으로 환경에서 특정 덱이 강세를 띠면 작정하고 저격카드를 왕창 넣어오는 유저들이 흔하기 때문에 어떤 덱이건 이런 저격카드를 받아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특이해 보이는 독자적인 커스텀이라도 대회 등지에서 성과를 내면 아주 빠르게 유행을 타고 연구 결과 실전성이 있다 싶으면 바로 표준으로 정착하는 경향이 있다.

3. 역사

3.1. 2022년

3.2. 2023년

3.3. 2024년

3.4. 2025년

3.4.1. 2025.01 금제 이후(2025/1/9~)

신규 셀렉션 팩인 드래곤즈 리인카네이션이 추가되는데 신규 테마인 회멸과 지원 대상인 드라이트론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로드 관련 카드가 수록되고 단일 카드인 데카네로그-발드라스마루챠미가 추가된다.

1월 금제로 츈도라와 배만의 찬환장이 제한 카드가 되어 천배룡이 대폭적으로 약체화되고 9월 이전의 메타로 회귀할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오히려 천배룡이 마루챠미를 적극적으로 투입해 덱 파워를 보강하는 데 성공했고, 그 결과 지난 달과 크게 다르지 않은 양상이 되었는데 그나마 다른 점이 있다면 마루챠미의 추가로 인해 후공이 드로우를 받기 쉬워진 만큼 마루챠미의 효과를 덜 받는 덱[2]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거나 선공 덱은 작정하고 자턴드롤을 칠 수 있도록 최적화를 거치거나 드로우 받을 확률이 낮은 함떡 덱 등을 픽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4. 덱 유형

앞서 설명하자면 후술하는 덱 유형은 코나미가 직접적으로 정한게 아닌 유저들이 임의로 하는 구분이며, 그 구분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으니 참고용으로만 생각하는게 좋다.[3] 다만 유형을 알면 대충 어떤 덱인지 파악하기 쉬우니 사람들이 나눠놓는 것이다. 또한 같은 계열의 덱이라도 덱마다 특징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적힌 장단점 역시 덱마다 다르니 그냥 대략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비공식 용어 문서의 6번 문단도 참고하면 좋다.

5. 덱 목록

5.1. 환경권 내

5.1.1. 상위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상위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중하위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중하위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기타

5.2.1. 티어권 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기타 덱 문서
번 문단을
티어권 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2. 과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기타 덱/구 티어권 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3. 번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환경/기타 덱 문서
번 문단을
번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래서 패트랩 스페이스가 넓은 전개덱이나 선공 고점을 높인 운영덱 계열이 강세를 보인 환경이 많았다.[2] 호루스, 티아라멘츠가 대표적이다.[3] 예를 들어 과정 자체는 전개 덱이지만 실질적인 플레잉은 운영에 가까운 덱도 존재하며 운영 덱도 턴킬 각이 잡히면 자원 싸움을 과감히 배제하여 전개로 틀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4] 대표적으로 이시즈 낙인, 티아라멘츠, 고스트릭 퓨어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5] 물론 잔디깎이의 깡파워가 압도적이다 보니 묘지 자원이 중요한 60장 덱은 대부분 잔디깎이를 투입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5
, 7.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