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안의공주[[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정화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명숙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대한제국 태조의 황녀 의령옹주 | 義寧翁主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녀 의령옹주 | 義寧翁主 |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전경 | |||
출생 | 생년 미상 | ||
사망 | 1466년(세조 11년) 2월 24일(음력 2월 1일) | ||
능묘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1] |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 85번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부왕 | 태조 | ||
생모 | 찬덕 주씨 | ||
부군 | 계천군 이등(啓川君 李登) | ||
자녀 | 슬하 4남 3녀 장남 - 이황(李宺) 차남 - 이선(李宣) 3남 - 이림(李穼) 4남 - 이효(李孝) 장녀 - 정소(鄭韶)의 처 차녀 - 김맹형(金孟衡)의 처 3녀 - 이만생(李晩生)의 처 | ||
봉호 | 의령옹주(義寧翁主[2], 宜寧翁主[3]) |
[clearfix]
1. 개요
태조와 후궁 찬덕 주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 딸이 적었던 태조의 서장녀이다.[4] 옹주의 어머니 찬덕[5] 주씨는 신분이 낮았던 듯하다.[6]2. 생애
생년을 짐작할 수는 없으나 남편 계천위 이등이 1379년생이므로 비슷한 연령대가 아닐까 추측한다.[7] 조선 개국 이전에 하가한 듯한데, 남편과 사이에서 자녀 4남 3녀를 낳았다. 1466년(세조 12년)에 사망했다.1423년, 태종의 국상기간에 이복동생인 숙신옹주와 함께 신을 섬기는 모임이라 핑계대며 거문고를 타고 술을 마시자 사헌부에서 탄핵하였으나 세종이 허락하지 않았다.[8]
어찌 본다면 조선의 건국부터 계유정난 이후까지 모두 목격한 인물이라고 볼 수도 있기에 의령옹주를 주인공으로 한 관찰자 시점의 사극도 나올 법하나 잘 알려진 인물이 아니라 그런지 언급이나 등장은 없다.
3. 가족 관계
- 시부 : 판사수감사 이개(判司水監事 李開)
4. 묘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33호 | ← | 34호 | → | 35호 |
방학동 은행나무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34호 |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胡安公 李登과 義寧翁主 墓域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 85번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9基, 토지 46.77㎡ |
지정연도 | 2013년 7월 18일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10]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의령옹주와 남편 호안공 계천위 이등의 묘가 있다. 2013년 7월 18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받았다. 이등은 사후 시호를 받아 호안공으로도 불리며, 이에 서울특별시에서 기념물로 지정할 때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이라 명칭을 정했다.
[1]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4호[2] 《조선왕조실록》, 《묘비》[3] 《선원록》[4] 태조의 다섯딸 중 경순공주에 이어 둘째 딸로 추정된다.[5] 잠깐 사용하다 사라진 봉작으로 정3품 혹은 종2품의 품계로 태조 시절에 사용했던 품계이다. 그 이외에 현의(賢儀), 숙의(淑儀), 찬덕(贊德), 순성(順成)의 순으로 후궁의 품계가 있었으며 그 아래로 상궁 및 궁녀가 있었다[6] 《세종실록》 기록에 따르면 의령옹주가 천생이라고 하니, 그 어머니인 주씨는 종이나 노비 출신으로 신분이 낮았던 모양이다.[7] 1379년 부근 출생이 맞다면 어림잡아도 90대까지 살았다는 의미니 태조의 자식들 중 가장 오래 장수했다고 할 수 있다.[8] 세종 5년 5월 11일 경인 4번째기사[9] 조선 초기에 일시적으로 쓰였던 내명부 작위로 정3품이다. 태종시대에 최초로 사용되었고 세종시대엔 내명부가 새로이 정리되어 사라졌다.[10]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