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하십시오.
아시아 배구 연맹 소속 남자 국가대표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아프가니스탄 | 방글라데시 | 부탄 | 인도 | 이란 |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몰디브 | 네팔 | 파키스탄 | |
스리랑카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중국 | |
홍콩 | 일본 | 대한민국 | 마카오 | 몽골 | |
북한 | 중화 타이베이 | 미국령 사모아 | 호주 | 쿡 제도 | |
피지 | 미크로네시아 연방 | 괌 | 키리바시 | 마셜 제도 | |
북마리아나 제도 | 니우에 | 나우루 | 뉴질랜드 | 팔라우 |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통가 | 투발루 | |
바누아투 | 사모아 | 브루나이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필리핀 | 싱가포르 | |
태국 | 동티모르 | 베트남 | 바레인 | 이라크 | |
요르단 | 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레바논 | 오만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시리아 | 아랍 에미리트 | 예멘 | }}} |
일본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
Japan National Volleyball Team | |||
명칭 | バレーボール日本男子代表 | ||
애칭 | 龍神NIPPON[1] (류진 NIPPON) | ||
FIVB 코드 | JPN | ||
운영 주체 | 일본배구협회 (JVA) | ||
연맹 | 아시아 배구 연맹 (AVC) | ||
감독 | 공석 | ||
주장 | C 이시카와 유키 (石川祐希) | ||
키트 스폰서 | 아식스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color: #000000,#ffffff; margin: -6px -1px -11px" | 세계 대회 | ||
올림픽 | [출전] 15회 [최고] 1위 (1972) | ||
세계 선수권 대회 | [출전] 17회 [최고] 동메달 (1970, 1974) | ||
배구 월드컵 | [출전] 14회 [최고] 2위 (1969, 1977) | ||
월드 리그/VNL | [출전] 31회 [최고] 은메달 (2024) |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출전] 7회 [최고] 3위 (2009) | ||
대륙 대회 | |||
아시안 게임 | [출전] 17회 [최고] 금메달 (1958, 1962, 1966, 1970, 1974, 1982, 1994, 2010) |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출전] 22회 [최고] 금메달 (1975, 1983, 1987, 1991, 1995, 2005, 2009, 2015, 2017, 2023) | ||
AVC컵 | [출전] 7회 [최고] 은메달 (2022) |
FIVB 랭킹 | |
6위 / 338.12 (2024년 9월 14일 기준 / #) |
[clearfix]
1. 개요
남자 배구의 일본 내셔널 팀으로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10회)을 자랑하는 아시아 대표 강호다. 또한, VNL 동메달[2], 세계 랭킹 4위[3], 2024 파리 올림픽 자력 진출을 달성한 2023년을 기점으로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수준의 강팀들과 어깨를 견주는 유일한 아시아 팀으로 인정받고 있다.2. 역사
1927년 대일본배구협회(大日本排球協會)가 설립되었으며 1951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 1960년 4번째로 열린 세계배구선수권대회에 첫 출전,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배구 강호국으로서 활약하며 1964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유럽의 강호 독일을 꺾고 금메달을 차지한 1972 뮌헨 올림픽에서는 불가리아와의 준결승전에서 0-2로 뒤지고 있던 가운데 3세트를 내리 따내며 승리하는 드라마틱한 역전극을 보였으며 이를 '뮌헨의 기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4]이후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일본의 남자 배구는 카와이 슌이치[5], 쿠마다 야스노리, 이노우에 유즈루 등 스타 선수의 열풍에도 불구하고 긴 암흑기를 겪는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3회 연속 올림픽 출전권 획득에 실패했으며 이후 16년 만에 출전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1차 리그 5전 전패라는 참혹한 기록을 남기며 탈락했다.
2013년 일본 국가대표팀의 첫 외국인 감독으로서 전 미국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았던 게리 사토(Gary Sato)가 취임했다. 그러나 성적 부진으로 인해 2014년 해임, 후임 감독으로는 일본의 전 배구 선수인 남부 마사시가 취임했다. 남부 감독은 2015년 4월 이시카와 유키, 야나기다 마사히로, 타카하시 켄타로, 야마우치 아키히로의 네 선수를 차세대 대표팀의 리더 후보로 보고 'NEXT 4'로 명명하는 등 차세대 인재 발굴에 힘썼다. 이후 2015년 9월 일본에서 열린 배구 월드컵에서는 6위를 기록, 객석 또한 연일 만원을 이루며 남자 배구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기대가 모였다. 그러나 2016년 6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예선에서 탈락하며 올림픽의 꿈은 다시 좌절되었다. (이는 당시 대표팀의 에이스였던 야나기다와 이시카와의 부상 탓이 컸다.)
2017년 나카가이치 유이치 감독의 취임에 맞춰 전 배구 선수이자 폴란드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프랑스의 지도자 필립 블랑(Philippe Blain)이 코치를 맡게 되었다. 일본의 에이스 이시카와 유키, 니시다 유지의 큰 활약과 함께 2019년 배구 월드컵에서는 8승 3패로 28년 만에 4위를 기록했고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이래 29년 만의 8강 진출이라고 하는 쾌거를 이루며 국제무대에서 큰 상승세를 보였다.
현재 나카가이치의 퇴임 후 코치였던 필립 블랑이 감독을, 이탈리아 리그에서 활약 중인 해외파 선수 이시카와 유키가 주장을 맡고 있는 일본대표팀은 2022년 세계배구선수권대회에서 올림픽 챔피언인 프랑스와 5세트 듀스의 끈질긴 접전을 벌이고, 2023년 VNL에서는 브라질, 이탈리아를 꺾는 강력한 경기력으로 46년 만에 세계대회 동메달을 차지하는 등 다시금 일본의 남자 배구가 황금기를 맞이했다고 할 정도로 좋은 결과를 거두어 나가고 있다.
또한 신장면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창의적인 플레이와 우수한 수비력 등으로 연일 화제를 모으며 세계 배구팬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팀으로도 명성이 높다.
일본 VS 프랑스 (2022 세계배구선수권대회) |
일본 VS 브라질 (2023 VNL) |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하필 미국, 독일과 같은 조가 되는 불운으로 조 3위로 예선을 마무리했으나, 독일과 풀세트를 가서 승점 1점을 딴 덕분에 간신히 종합 8위로 8강에 올랐다. 그리고 이탈리아와의 8강에서 이탈리아에게 2세트를 선취하는 신바람을 일으켰으나, 3세트 24-21 상황에서 역전을 당한 것이 스노우볼이 굴러 그대로 리버스 스윕을 당하며 대회를 마치게 되었다. 일본 대표팀은 지난 2023년 3월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던 대표팀 동료 후지이 나오노부를 기리기 위해 후지이와 함께 뛴다는 의미로 그의 사진을 벤치에 함께 두고 대회를 치뤘으나, 아쉽게도 먼저 떠난 동료에게 메달을 바치지 못 했다.
3. 현재 선수단
3.1. 2024 파리 올림픽 예선
2024 파리 올림픽 예선 일본대표팀 | |||
<rowcolor=#000>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소속팀 |
OP | 1 | 니시다 유지 | 파나소닉 팬서스 |
4 | 미야우라 켄토 | 파리 발리 | |
OH | 5 | 오오츠카 타츠노리 | 파나소닉 팬서스 |
11 | 토미타 쇼마 | 도레이 애로우즈 | |
12 | 타카하시 란 | 산토리 선버즈 | |
14 | 이시카와 유키 | 파워발리 밀라노 | |
30 | 카이 마사토 | 센슈대학 | |
MB | 2 | 오노데라 타이시 | 산토리 선버즈 |
6 | 야마우치 아키히로 | 파나소닉 팬서스 | |
10 | 타카하시 켄타로 | 도레이 애로우즈 | |
S | 12 | 세키타 마사히로 | 제이텍트 스팅스 |
29 | 야마모토 류 | CS 디나모 부카레스트 | |
L | 13 | 오가와 토모히로 | 울프독스 나고야 |
20 | 야마모토 토모히로 | 파나소닉 팬서스 |
3.2.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rowcolor=#fff>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소속팀 |
OP | 18 | 니시야마 히로토 | 파나소닉 팬서스 |
31 | 타카하시 케이한 | 호세이대학 | |
OH | 7 | 타카나시 켄타 | 울프독스 나고야 |
15 | 야나기다 마사히로 | 도쿄 그레이트베어스 | |
26 | 야마자키 아키토 | 울프독스 나고야 | |
34 | 아라이 유다이 | JT 썬더즈 | |
MB | 25 | 난바 타카히로 | 도레이 애로우즈 |
32 | 아사노 켄토 | 와세다대학 | |
35 | 카시무라 히로히토 | 산토리 선버즈 | |
S | 3 | 후카츠 아키히로 | 도쿄 그레이트베어스 |
L | 24 | 타카하시 카즈유키 | 제이텍트 스팅스 |
코칭 스태프 | |
감독 | 심보 코이치로 |
코치 | 토요타 ・ 나가노 |
스태프 | 니시다 ・ 오카다 ・ 이케하라 |
4. 역대 선수단
자세한 내용은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역대 성적
5.1. 올림픽
- 1964년 - 동메달
- 1968년 - 은메달
- 1972년 - 금메달
- 1976년 - 4위
- 1980년 - 불참
- 1984년 - 7위
- 1988년 - 10위
- 1992년 - 6위
- 1996년 - 예선 탈락
- 2000년 - 예선 탈락
- 2004년 - 예선 탈락
- 2008년 - 11위
- 2012년 - 예선 탈락
- 2016년 - 예선 탈락
- 2020년 - 7위
5.2.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1960년 - 8위
- 1962년 - 5위
- 1966년 - 5위
- 1970년 - 동메달
- 1974년 - 동메달
- 1978년 - 11위
- 1982년 - 4위
- 1986년 - 16위
- 1990년 - 11위
- 1994년 - 9위
- 1998년 - 15위
- 2002년 - 9위
- 2006년 - 8위
- 2010년 - 13위
- 2014년 - 아시아 예선 탈락
- 2018년 - 17위
- 2022년 - 12위
5.3. 월드컵 (폐지)
- 1965년 - 4위
- 1969년 - 준우승
- 1977년 - 준우승
- 1981년 - 6위
- 1985년 - 6위
- 1989년 - 6위
- 1991년 - 4위
- 1995년 - 5위
- 1999년 - 10위
- 2003년 - 9위
- 2007년 - 9위
- 2011년 - 10위
- 2015년 - 6위
- 2019년 - 4위
5.4. 월드 리그 (폐지)
- 1990년 - 6위
- 1991년 - 7위
- 1992년 - 10위
- 1993년 - 6위
- 1994년 - 8위
- 1995년 - 8위
- 1996년 - 9위
- 1997년 - 12위
- 1998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1999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0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1년 - 9위
- 2002년 - 13위
- 2003년 - 13위
- 2004년 - 10위
- 2005년 - 10위
- 2006년 - 13위
- 2007년 - 13위
- 2008년 - 6위
- 2009년 - 15위
- 2010년 - 예선 탈락
- 2011년 - 15위
- 2012년 - 15위
- 2013년 - 18위
- 2014년 - 19위
- 2015년 - 13위
- 2016년 - 24위
- 2017년 - 14위
5.5. VNL
- 2018년 - 12위
- 2019년 - 10위
- 2020년 - 코로나 19로 취소
- 2021년 - 11위
- 2022년 - 5위
- 2023년 - 동메달
- 2024년 - 은메달
5.6.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폐지)
- 1993년 - 4위
- 1997년 - 5위
- 2001년 - 5위
- 2005년 - 4위
- 2009년 - 3위
- 2013년 - 6위
- 2017년 - 6위
5.7. 아시아 선수권 대회
- 1975년 - 우승
- 1979년 - 3위
- 1983년 - 우승
- 1987년 - 우승
- 1989년 - 준우승
- 1991년 - 우승
- 1993년 - 3위
- 1995년 - 우승
- 1997년 - 준우승
- 1999년 - 4위
- 2001년 - 3위
- 2003년 - 6위
- 2005년 - 우승
- 2007년 - 준우승
- 2009년 - 우승
- 2011년 - 5위
- 2013년 - 4위
- 2015년 - 우승
- 2017년 - 우승
- 2019년 - 3위
- 2021년 - 준우승
- 2023년 - 우승
5.8. 아시안 게임
- 1958년 - 금메달
- 1962년 - 금메달
- 1966년 - 금메달
- 1970년 - 금메달
- 1974년 - 금메달
- 1978년 - 은메달
- 1982년 - 금메달
- 1986년 - 4위
- 1990년 - 동메달
- 1994년 - 금메달
- 1998년 - 4위
- 2002년 - 동메달
- 2006년 - 5위
- 2010년 - 금메달
- 2014년 - 은메달
- 2018년 - 5위
- 2023년 - 동메달
6. 역대 감독
- 타다 토쿠오 (1923, 1925, 1927, 1930)
- 마에다 유타카 (1954)
- 나가사키 시게요시 (1955, 1958, 1960, 1962)
- 와다 스케노리 (1955)
- 사카가미 미츠오 (1957, 1958, 1961~1964)
- 마츠다이라 야스타카 (1965~1972)
- 코야마 츠토무 (1973~1976, 1986~1988)
- 나카무라 유조 (1977~1980)
- 나카노 나오히로 (1980~1984)
- 사이토 마사루 (1984~1986)
- 미나미 마사유키 (1989~1990)
- 오오코 세이지 (1991~1995)
- 츠지아이 신이치로 (1996)
- 테라마와리 후토시 (1997~2000)
- 타나카 미키야스 (2001~2004)
- 우에타 타츠야 (2005~2013)
- 게리 사토 (2013~2014)
- 남부 마사시 (2014~2016)
- 나카가이치 유이치 (2017~2021)
- 필립 블랑 (2021~2024)
7. 역대 주요 선수
- 마나베 마사요시 (1985~2003)
- 나카가이치 유이치 (1989~1998)
- 오기노 마사지 (1989~2008)
- 카토 요이치 (1998~2004)
- 우사미 다이스케 (2001~2005, 2007~2012)
- 코시카와 유 (2002~2012)
- 야마무라 코타 (2002~2013)
- 후쿠자와 타츠야 (2005~2021)
- 시미즈 쿠니히로 (2007~2021)
- 후카츠 히데오미 (2013~2021)
- 야나기다 마사히로 (2013~ )
- 이시카와 유키 (2014~ )
- 야마우치 아키히로 (2014~ )
- 세키타 마사히로 (2016~ )
- 니시다 유지 (2018~ )
- 야마모토 토모히로 (2019~ )
- 타카하시 란 (2020~ )
- 미야우라 켄토 (2021~ )
[1] 2009년 6월 일반 공모를 통해 공식 애칭으로 채택. 위력이 뛰어난 용을 신격화한 표현이며, 해당 애칭에 따라 용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또한 만들어졌다.[2] 아시아 팀 최초이자 최고 기록이다.[3] 아시아 팀 최초이자 최고 기록이다.[4] 게임 페르소나 5 등장인물인 배구부 고문인 체육 선생 카모시다 스구루가 배구 국가대표로 금메달을 땄다는 설정이 붙어있는데, 배경이 2016년이다 보니 타르타로스 극장에서 카모시다는 사실 60대를 넘었다는 드립이 나왔다. 물론 그냥 개그성 장면.[5] 現 일본배구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