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국군 소강공 | 1대 국군 연후 극 | 2대 국군 연후 지 | 3대 국군 연후 무 | 4대 국군 연후 헌 |
5대 국군 연후 화 | 실전 | 7대 국군 연후 성 | 실전 | 9대 국군 혜후 | |
10대 국군 희후 | 11대 국군 경후 | 12대 국군 애후 | 13대 국군 정후 | 14대 국군 목후 | |
15대 국군 선후 | 16대 국군 환후 | 17대 국군 장공 | 18대 국군 양공 | 19대 국군 환공 | |
20대 국군 선공 | 21대 국군 소공 | 22대 국군 무공 | 23대 국군 문공 | 24대 국군 의공 | |
25대 국군 혜공 | 26대 국군 도공 | 27대 국군 공공 | 28대 국군 평공 | 29대 국군 간공 | |
30대 국군 헌공 | 31대 국군 효공 | 32대 국군 성공 | 33대 국군 민공 | 34대 국군 희공 | |
35대 국군 후환공 | 36대 국군 후문공 | 초대 왕 역왕 | 2대 왕 연왕 쾌 | 비정통 연왕 자지 | |
3대 왕 소양왕 | 4대 왕 혜왕 | 5대 왕 무성왕 | 6대 왕 효왕 | 말대 왕 연왕 희 | |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0 0%, #c00 20%, #c00 80%, #c00);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제 | |||
초의제 웅심 | ||||
분봉자 | ||||
서초패왕 항적 | ||||
초 영역 楚 | ||||
구강왕 영포 | 형산왕 오예 | 임강왕 공오 | ||
진 영역 秦 | ||||
한왕 유방 | 옹왕 장한 | 새왕 사마흔 | 적왕 동예 | |
조 영역 趙 | 위 영역 魏 | |||
대왕 조헐 | 상산왕 장이 | 서위왕 위표 | 은왕 사마앙 | |
한 영역 韓 | 연 영역 燕 | |||
한왕 한성 | 하남왕 신양 | 요동왕 한광 | 연왕 장도 | |
제 영역 齊 | ||||
교동왕 전시 | 제왕 전도 | 제북왕 전안 | ||
<colbgcolor=#c00> 관련 틀: 전국시대 왕조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colbgcolor=#6a5acd> 연왕(燕王) 臧荼 장도 | ||
작위 | 연왕(燕王) | |
씨 | 장(臧) | |
휘 | 도(荼) | |
생몰 기간 | ? ~ 기원전 202년 7월 | |
재위 기간 | 기원전 206년 음력 2월 ~ 기원전 202년 7월 |
1. 개요
초한쟁패기의 인물.2. 생애
원래는 진나라 말기 진승·오광의 난을 틈타 기원전 209년에 재건된 연나라의 왕 한광의 장수로, 조나라가 진나라 장군 장한의 공격으로 거록에서 포위되자 이를 구원하러 갔다. 이후 조나라 구원에서 주축이 된 초나라의 항우를 중심으로 다른 제후들의 구원군과 연합하여, 함께 진나라의 수도 함양을 점령했다.기원전 206년, 진나라가 망하고 항우가 옛 진나라의 땅을 나누어 열여덟 제후를 봉건하면서, 자신을 따라 함양을 점령한 장군들을 각자의 소속국을 나누어 왕으로 삼아 장군들을 만족시키고 또 제후국들을 견제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장도는 항우를 따라 함양에 들어간 공적이 인정되어 원래 자신의 임금 한광을 대신하여 연나라 왕이 되었고, 한광은 연나라 일부를 쪼갠 요동왕이 되었다. 장도는 귀국하여 한광을 강제로 요동으로 옮기고자 했고, 한광이 따르지 않자 무종(無終)[1]에서 한광을 쳐 죽이고 한광의 봉지를 아울렀다.[2]한왕 3년(기원전 204년), 진여를 무찌르고 조나라를 아우른 한신이 이좌거의 진언을 받아들여 연나라에게 항복을 권유했고, 연나라는 이를 따라 한왕 유방에게 투항했다. 이후에는 연나라 승상인 소섭도미와 장군 온개를 파견하여 항우의 대사마 조구를 무찌르는데 힘을 보탰다. 한왕 5년(기원전 202년), 한왕 유방이 서초패왕 항우를 무찌르고 서초를 멸하자 초왕 한신, 한왕 신, 형산왕 오예, 양왕 팽월과 함께 상소하여 한왕 유방을 황제로 추대했다. 한 고조는 이들의 봉국을 그대로 추인했다. 이해 7월에 한나라에 반기를 들었고, 고제의 친정을 받아 사로잡혀 주살됐다.[3][4] 고제는 노관을 장도 대신 연나라 왕으로 세웠다.이후에도 한나라에 엿을 먹이는 일이 있었다. 훗날 진희가 난을 일으키고 흉노와 내통을 시작할 때 노관도 장승이라는 자를 흉노에 사신으로 보낸 일이 있었다. 이 때 장도의 아들인 장연(臧衍)이 흉노로 도망쳐 머물고 있었는데 장승을 설득하여 진희를 치는 일을 미루도록 만들었다. 이 일로 노관은 유방의 의심을 사서 끝내 반역자가 됐으니 끝까지 유방을 물먹인셈.
다만 묘하게도 본인들이 살아 생전 의도한건 아니지만(...) 한고조 유방과는 인척이다. 장도의 손녀인 장아(臧兒)가 한경제의 부인인 효경황후의 어머니이기 때문.[5]
[1] 한광의 근거지 였으며 베이징과 톈진 사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 그런데 장도의 근거지인 계(薊) 역시 근처에 있었다. 아마도 방 빼고 나가라고(...) 요구한 장도에게 한광이 반발했을 가능성이 크다.[2] 단, 이는 항우의 허락을 받지 않고 멋대로 한 일이다. 항우는 이 일로 장도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고 훗날 유방에게 항복하는 계기가 된다.[3] 반란을 고변한 것은 이전에 고제에게 파견했던 소섭도미와 온개였고 이들에게 공격당했다고 한다.[4] 아무리 혼란기라고 하나 황제로 추대한 다음 거의 바로(...) 반란을 일으킨 것. 이전에 한광을 죽인 일도 그렇고 당시의 혼란을 보여주는 인물상이라고 볼 수 있겠다.[5] 경제는 고제의 손자다. 즉 고제의 손자와 장도의 증손녀가 결혼한 것. 문제는 고제가 46세 때 낳은 늦둥이긴 하나 경제는 문제가 15세 때 낳은 아들이라 합치면 2대 59년으로 고제가 늦춘 세대차가 어느 정도 벌충된다. 효경황후는 재혼이었지만 한무제를 포함한 자녀들을 가졌으므로 젊다고 볼 여지가 있고 장도는 장이만큼은 아니지만 고제보다는 연장자일 확률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