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3:23:02

장풍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화민국에서 펑위샹의 1차 반란으로 벌어진 전쟁}}}에 대한 내용은 [[제1차 장풍전쟁]]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1차 장풍전쟁#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1차 장풍전쟁#|]]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중화민국에서 펑위샹의 2차 반란으로 벌어진 전쟁}}}에 대한 내용은 [[제2차 장풍전쟁]]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제2차 장풍전쟁#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제2차 장풍전쟁#|]]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화민국에서 펑위샹의 1차 반란으로 벌어진 전쟁: }}}[[제1차 장풍전쟁]]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1차 장풍전쟁#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1차 장풍전쟁#|]]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중화민국에서 펑위샹의 2차 반란으로 벌어진 전쟁: }}}[[제2차 장풍전쟁]]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제2차 장풍전쟁#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제2차 장풍전쟁#|]]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장풍전
<nopad> 파일:장풍전cover.jpg
<colbgcolor=#8ec9f0,#8ec9f0><colcolor=#464b47,#464b47> 장르 액션, 개그, 무협물
작가 신영우
출판사 재담미디어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2. 02. 12. ~ 연재 중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5세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등장인물
4.1. 주요인물4.2. 초월팀4.3. 흑룡회4.4. 유정혁 일당4.5. 기타 등장인물
5. 설정

1. 개요

한국의 무협 웹툰. 작가는 신영우. 작가의 전작인 서울협객전과 같은 현대 무협 장르이다.

2. 줄거리

세상 모두가 내공을 가질 수 있는 시대.
아직까진 고수라는 존재의 의미가 없지만,
세상 한편에선 옛 고서나 체계적인 연구로 인해 인간의 능력을 월등히
뛰어넘는 고수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세상에 공개된 내공수련법 이외에 다른 고서들이 있었고,
비밀리에 빼돌려진 무공비급들로 인해 점차 무서운 괴물들이 탄생한다.
이들은 개인적인 일탈로 사건을 일으키기도 하고,
문파라는 미명하에 조직을 결성해 힘을 키우며,
거대 자본의 어두운 뒷치닥거리도 서슴치 않는데...

3. 연재 현황

네이버 웹툰에서 2022년 2월 12일부터 매주 일요일에 연재된다.

4. 등장인물

4.1. 주요인물

4.2. 초월팀

4.3. 흑룡회


*마스터
흑룡회에 오랫동안 있던 사람으로 사자섬의 총관리자다.


*남 교관
사자섬의 교관 중 한 명으로 자하신권의 고수라고 한다
성별은 여성으로 밝혀졌다.

4.4. 유정혁 일당

4.5. 기타 등장인물

5. 설정



[1] 실제로 금강불괴라는 절대방어 무공이 존재하긴 하지만 쇠신체는 진용이 직접 개발한 무공인듯.[2] 공력이 불안정하고 너무 급속도로 강해져 옆에서 강력한 내공을 지닌 고수가 제어해 주지 않으면 몸이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넘는 공력의 방출로 인해 몸이 폭발해 버릴 수 있다.[3] 본인이나 강무호는 이 정도가 장풍이라고 할 수 있냐며 인정을 하지 않지만 유정혁이 쓰는 장풍이 패왕상후권이라면 권도원이 사용하는 장풍도 호황권 정도는 된다.[4] 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다. 처음 소개될 때는 동부와 서부 중 하나로 소개되기도 하였다.[5] 무려 한달에 50만원씩 상납.[6] 사과하는 장면의 묘사가 개그만화 답지 않게 꽤 진지한데, 피해자들은 사과를 받고 용서해 주는 이들도 있었지만 사과마저 필요없고 그저 모르는 사람 취급해 달라거나 제발 눈앞에서 보이지만 말아달라며 도리어 비는 이들도 많이 있었다. 피해자에게 폭력 그자체의 고통 뿐만 아니라 이후 심리적인 고통까지 수반하게 만드는 학교폭력의 잔인한 실태를 잘 보여주는 장면.[7] 제압 정도가 아니라 한방에 심정지 상태가 되어 버렸다. 아마 스토커는 무공 수련자가 아니라 내공으로 방어하는 법을 몰랐던 것 같다.[8] 사실 정부 입장에선 사악한 음모 등을 차치하더라도 현실세계의 무술이나 종합격투기 등을 어린애 장난 수준으로 보이게 할 정도의 무공이 사회에 만연해 지면 심각한 사회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를 통제하고 제어하려는 것은 당연한 목표이다. 실제로 작중 세계관에선 무공을 이용한 조직 폭력배 등이 판을 치고 있고 학교 일진들 마저 무공을 사용한다. 이 중 최강의 세력이라는 흑룡회는 아예 정계로 진출하려는 야욕 마저 드러내고 있다.[9] 각 문파에서 소수 엘리트들만 선별하여 극한의 수련을 통해 완성하는 무공이 아니라 다수의 경찰들이 속성으로 익혀야 하기 때문에 무공의 수준 자체는 대단하지 않을 것이다. 특수부대 스나이퍼와 일반 보병의 사격 훈련 수준과 가르치는 내용의 차이가 천지차이 이듯이.[10] 추가로 둘이 사승곤을 익혔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는 사승곤이 금력공에 미치는 장단점을 분석하기 위한 일종의 실험체로 취급하기도 한다.[11] 지렁이가 꼬리로 후려치는 듯한 동작의 기술. 해룡의 내공이 약했을 때는 그저 꿈틀거리다 두발로 돌려차는 수준의 허접한 기술이었으나 사승곤으로 인해 공력이 증가하고 금력공 수련을 통한 실력 상승으로 인해 중하급 정도의 적에게는 의미있는 타격을 입힐 수 있게 되었다.[12] 다만 무극신권의 상당한 고수인 장회장은 장풍을 사용할 수 없고 장풍 자체는 전설로 계속 내려오고 있었고 무극신권이 뭔지도 모르는 강무호 마저 장풍을 익히겠답시고 수련하던 것을 보면 장풍은 무공의 종류 상관 없이 강력한 공력을 지니고 있고 그것을 손바닥에 집중해 방출할 수 있다면 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13] 망치파를 배신하고 흑룡회에 붙었다가 정예 흑룡회의 존재를 알게 되고, 무인도로 보내진다. 적응 실패 시 외부 인원이라 살해당할 것이라는 협박을 받았다.[14] 정철완의 표현으로는 숨만 쉬어도 내공이 증가한다고.[15] 유정혁이 비급서를 훔쳐낸 깡철이를 살해하는 과정에서 책이 산산조각나 페이지 단위로 분해되어 버렸다.[16] 유정혁이 이를 회수하러 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자세한 내용 하나하나 까지는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