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9:48:01

장피에르 소바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헤르만 에밀 피셔 스반테 아레니우스 윌리엄 램지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돌프 폰 바이어 앙리 무아상 에두아르트 부흐너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오스트발트 오토 발라흐 마리 퀴리 빅토르 그리냐르
<rowcolor=#cd9f51> 1912 1913 1914 19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폴 사바티에 알프레드 베르너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리하르트 빌슈테터
<rowcolor=#cd9f51> 1918 1920 1921 192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츠 하버 발터 네른스트 프레더릭 소디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rowcolor=#cd9f51> 1923 1925 1926 19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프리츠 프레글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rowcolor=#cd9f51> 1928 1929 1930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아서 하든 한스 폰 오일러켈핀 한스 피셔
<rowcolor=#cd9f51> 1931 1932 193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카를 보슈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어빙 랭뮤어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 졸리오퀴리 이렌 졸리오퀴리 피터 디바이 월터 호어스
<rowcolor=#cd9f51> 1937 1938 193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울 카러 리하르트 쿤 아돌프 부테난트 레오폴드 루지치카
<rowcolor=#cd9f51> 1943 1944 1945 194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르주 드 헤베시 오토 한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제임스 B. 섬너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로버트 로빈슨 아르네 티셀리우스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윌리엄 지오크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에드윈 맥밀런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글렌 시보그 아처 마틴 리처드 싱 헤르만 슈타우딩거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라이너스 폴링 빈센트 뒤비뇨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R. 토드 프레더릭 생어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윌러드 리비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멜빈 캘빈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줄리오 나타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196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 치글러 도러시 호지킨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만프레트 아이겐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조지 포터 라르스 온사게르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디릭 바턴 오드 하셀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rowcolor=#cd9f51> 1972 197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스탠퍼드 무어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에른스트 오토 피셔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제프리 윌킨슨 폴 플로리 존 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립스컴 일리야 프리고진 피터 데니스 미첼 허버트 찰스 브라운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게오르크 비티히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후쿠이 겐이치 로알드 호프만 에런 클루그 헨리 타우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제롬 칼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위안저 존 찰스 폴라니 장마리 렌 찰스 피더슨
<rowcolor=#cd9f51>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도널드 J. 크램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시드니 올트먼 토머스 로버트 체크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돌프 마커스 캐리 멀리스 마이클 스미스 조지 앤드루 올라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 크뤼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마리오 호세 몰리나 로버트 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해럴드 크로토 리처드 스몰리 존 워커 폴 보이어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옌스 스코우 월터 콘 존 포플 아메드 즈웨일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
}}}
}}}}}}}}}
[ 21세기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장피에르 소바주
Jean-Pierre Sauvage
파일:장피에르 소바주.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colbgcolor=#fff,#191919>1944년 10월 21일 ([age(1944-10-21)]세)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일드프랑스 파리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1944~194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4공화국1946~1958

[[프랑스|]][[틀:국기|]][[틀:국기|]]1958~
직업 화학자
분야 광화학
나노공학
학력 ENSCS[1] (화학 / 1967년 석사)
루이 파스퇴르 대학교[2] (화학 / 1971년 박사)[3]
소속 옥스퍼드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ECPM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업적 MIMs의 합성
지도교수 장마리 렌
링크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구글 스칼라 아이콘.png 파일:스코푸스.png Lab

1. 개요2. 약력

[clearfix]

1. 개요

장피에르 소바주는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분자공학자로 나노 공학의 태동을 이끈 과학자중 한명이다.

2. 약력

1944년 10월 21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재즈 작곡가 카밀레 소바주 슬하 아들로 출생했다. 장피에르 소바주가 3살이 채 되지 않은 무렵, 카밀레 소바주가 인기를 끌자 가정에 소홀해져 이혼했고, 어머니가 새로 재혼하게 되면서 어머니와 양아버지와 함께 살았다. 3살 이후 프랑스 본토를 떠나서 튀니지, 알제리, 미국에서 8살까지 거주했다. 프랑스 귀국 이후 로렌을 거쳐 15살에 알자스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16살 무렵 식물 조직에서 클로로필을 추출하는 것으로 화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바칼로레아와 프레파를 이수하면서 에콜 네셔널레 슈페리에레 데 케미에(ENSCS)에 입학했고, 1971년 루이 파스퇴르 대학교에서 장마리 렌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포닥을 했고, ECPM의 장마리 렌 연구소로 돌아왔다. 당시 오일쇼크로 인해 전국적으로 친환경 대체 에너지가 열풍인 시기였고, 장마리 렌과 함께 광화학적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 생산을 연구하던 도중 루테늄-피리딘, 로듐-피리딘 합성물의 광화학적 작용을 이용해 물에서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기법을 개발한 업적으로 CNRS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그후 전자화학적 촉매인 니켈 화합물을 이용한 물에서의 이산화탄소 환원 작용으로 과산화수소형태로 수소를 분리하는 광화학적 연구를 했다.

1980년대 초반 퍼듀 대학교 교수인 데이비드 맥밀런의 구리 화합물의 유기합성 연구에 영감을 얻었다. dpp(2,9-diphenyl 1,10 phenanthroline) 1쌍을 구리 이온으로 연결해 12-crown-4로 Cu(dpp)2를 이은 사슬고리로 구성한 이상적 전구물질인 2개의 유기 배위자로 연결된 구리 킬레이트 구조물을 고안했다. 여기에 합성에 관해 NMR과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분석을 추가시켜 1983년에 tetrahedron letter에 연구 논문을 게시했다. 이후, 3년뒤 12-crown-4 대신, 4,4’-dimethyl 2,2’-bipyridine과 루테늄 이온간 결합인 Ru(bipy)3과 dpp를 합성해 catenane 계량을 하기도 했고, 아예 구리화합물 외에 여러 금속화합물을 이용한 합성으로 유사한 구조물을 생성할수 있음을 밝혀 금속화합물을 서로 공유할수 있는 유기 배위자 킬레이트 사슬을 총칭하여 카테네인(Catenane)으로 확장시켰다. 이로 인해 위상 화학과 리처드 파인만이 제창했던 나노공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장피에르 소바주가 고안한 카테네인(Catenane)은 로탁세인(Rotaxane)과 함께 나노기계의 기본적인 툴인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MIMA)을 구성하고 있다. 태동기였던 나노기술이 점점 첨단산업으로 대두되자, MIMA를 합성했던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201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1] 스트라스부르의 화학 특성화 그랑제콜. 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소속 에콜 데 키미에 폴리머르 에 메테리어(ECPM)[2] '스트라스부르 I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가 3개의 대학으로 나뉘었다가 1971년에 재통합되었다.[3] 박사 학위 논문 : Les Diaza-polyoxa-macrobicycles et leurs cryptates = 디아자폴리옥사이드 거대 두 고리와 크립테이트들(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