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9:41:16

정의기억연대

<colbgcolor=#fdfd96><colcolor=#000000>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Justice for the 'Comfort Women
'
파일:정의기억연대_가로형(수정).png
설립일 1991년 8월 14일[1]
이사장 이나영[2]
단체 종류 대한민국의 여성인권단체
전신 단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대협)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11길 12 1층 (2호선 홍대입구역)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활동 이력
2.1. 1990년대2.2. 2000년대2.3. 2010년대2.4. 2020년대
3. 주요 인물과 출신 인사
3.1. 이사장3.2. 이사
4. 논란
4.1.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4.2. 유럽 순방 중 북한 간첩 접선 논란4.3. 류경식당 집단탈북 종업원 월북 종용4.4. 여성가족부 국가보조금 이상 집행 논란4.5. 임옥상 작품 철거 반대
5. 여담

[clearfix]

1. 개요

1990년 11월 16일 37개 여성단체의 결의로 발족한 시민사회단체. 전후 반세기동안 침묵하고 있던 한국 사회와 국제 사회를 일깨우며, 일본군 위안부 가해 사실과 책임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에게 범죄 인정을 포함한 법적 책임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언론 등지에서 통용되는 약칭은 ‘정의연’이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첫 공개증언을 시작으로 스스로 생존자임을 밝히고 나아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평화와 여성인권 운동가로 살아오신 모든 피해자들의 존엄한 삶을 기억하고 기리고, 1992년 1월 8일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계속해온 수요시위를 통해 진실과 정의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전하며, 남북. 아시아.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의 목소리를 범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것이 목표다. 국제인권기구에 무력분쟁 하 여성폭력 피해자 문제 해결의 국제인권기준을 제시하며,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과 평화비를 건립하여 미래세대를 향한 평화교육과 피해자에 대한 기림활동을 실천하고 있으며, 나비기금을 설립하여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는 무력분쟁 하에서의 성폭력 피해자들을 지원하고 연대하고 있다.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의 인권회복 뿐 아니라 전시 성폭력 피해자의 인권회복, 재발방지에 기여하며 활동해온 한국정신대 문제 대책협의회의 지난 28년 동안의 업적과 활동을 계승하고 있다.

2016년 6월 9일 2015년 한일합의 무효화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100만 시민의 참여로 설립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 재단의 설립취지와 활동을 이어 받는다.

대한민국의 여성인권단체다. 1990년 발족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약칭 정대협)'와 2016년 설립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이 2018년 7월 11일 통합하여 출범하였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목표로 하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지원과 진상 규명을 위한 연구 및 조사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교육 및 장학사업, 기림사업과 국제 연대 사업을 추진한다. 그 밖에 위안부 합의 및 일본 내각총리대신들의 '담화'를 비판하는 여론을 조성하고 선전하는데도 힘썼으며, 수요집회를 주관하고 있다.

2020년 현재 위안부 피해자 단 1명의 생활 지원만 하고 있는데도 이사진이 여성단체, 정계 등 인맥이 막강해서 위상이 과대평가 되어 왔다 (비교하자면 전국의 피해자 할머니 17명. 조계종 계열 나눔의 집은 5명 수용. 즉 정의기억연대는 나눔의 집보다도 할머니들 지원을 덜 하고 있다)

윤미향 전 이사장은 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이후 2020년 4월 28일에 중앙대 여성학 이나영 교수가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되었다.

2. 활동 이력

2.1. 1990년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요집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000년대

2.3. 2010년대

2.4. 2020년대


파일:IMG_20210805_180417_553.jpg

3. 주요 인물과 출신 인사

3.1. 이사장

3.2. 이사

4. 논란

4.1.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유럽 순방 중 북한 간첩 접선 논란

유럽 각국을 돌아다니며 위안부 문제를 알리자는 취지의 프로그램인 유럽평화기행을 운영하면서 참가 학생들에게 유럽 현지에서 활동하는 북한 간첩을 만나게 하여 친북, 반미 교육을 행하였다는 참가자의 증언이 나왔다.#(아래 사진 설명: 2014년 프랑스 파리. 모자이크가 되어있지 않은 인물들은 왼쪽부터 길원옥 할머니, 베누아 케네데[3], 윤미향, 조덕원[4])파일:간첩조덕원과정의연.jpg

4.3. 류경식당 집단탈북 종업원 월북 종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류경식당 종업원 탈북자들에게 월북을 회유하고 이를 위해 수개월간 300만 원 이상의 기부금을 이들에게 주었다고 한다.

4.4. 여성가족부 국가보조금 이상 집행 논란

2022년 1월 28일, 정의연 측이 국고 보조금을 여가부로부터 받은 뒤 이를 직원에게 인건비 명목으로 주고서는 다시 기부받는 이상한 집행 방식을 택했음이 검찰 측에 의해 문제시되었다. #

4.5. 임옥상 작품 철거 반대

위안부 기념 공간인 기억의 터 안의 '대지의 눈'이라고 명명되는 기념물의 제작자 임옥상이 성추행 범죄자라고 밝혀지자 서울시에서 철거를 추진했으나, 정의연[5]은 이 철거를 '역사 지우기'라며 반대하고 나섰다. 정의연은 서울시와 정부에 대한 친일몰이를 통해 철거를 반대하고 있으나, 애초에 성폭력 피해자를 기념하는 공간에 성폭력 가해자의 작품을 놔두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여론이 압도적이다.# 결국 철거되었다.#

5. 여담



[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전신[2] 윤미향 이사장이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으로 인한 국회의원 겸직금지 사유로 인한 이사장 변경[3] 프랑스에서 북한 간첩으로 활동한 것이 발각되어 프랑스 정부로부터 반역죄 혐의로 기소된 상태.[4] 1992년 한국에서 북한 간첩으로 활동하다가 국가보안법 위반이 확정되어 징역 7년을 산 뒤 프랑스로 떠난 인물.[5] 그 외에 정의연과 연관이 있는 수많은 여성단체도 동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