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고려사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휘찬려사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동사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동사세가 | ||||
해동역사 | 열조통기 | 동사찬요 | ||||
기타 실전(失傳) |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 |
帝王年代歷
1. 개요
통일신라 말 최치원이 저술한 사서로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쓸 때 참고하고 인용하였으나, 현재는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신라 역대 왕의 연대기 혹은 연표로 추정되는데 최치원이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등 신라 고유의 왕호를 사용한 초기 군주들도 모두 무슨 왕 무슨 왕이라고 중국식 왕호로 바꿔 기술했고, 훗날 김부식이 이러한 점을 비판하였다. 흔히 김부식은 사대주의자라고 욕을 먹지만 삼국사기의 논평들을 보면 이는 잘못된 생각임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구절이 바로 최치원을 비판하는 이 대목이다.
사관이 논평한다.
신라왕으로서 거서간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차차웅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이사금이라 칭한 이가 열여섯 사람, 마립간이라 칭한 이가 네 사람이다. 신라 말의 이름난 유학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에서는 모두를 왕이라 칭하고 거서간 등으로 칭하지 않았다. 혹시 그 말이 천박하여 칭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여겨서일까? 『좌전(左傳)』과 『한서(漢書)』는 중국의 역사책인데도 오히려 초(楚)나라 말인 '곡오도(穀於菟)', 흉노(匈奴) 말인 '탱리고도(撑犁孤塗)' 등을 그대로 보존하였다. 신라의 일들을 기록함에 그 방언을 그대로 쓰는 것이 또한 마땅하다 본다.
《삼국사기》 제4권 신라본기 제4 지증 마립간
조상들이 쓴 왕호가 부끄러운 것도 아니고, 중국 사서들도 조상들이 쓰던 왕호에 대해서는 당대 명칭 그대로 썼는데 최치원은 왜 다 바꿔 썼느냐고 비판한 것.신라왕으로서 거서간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차차웅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이사금이라 칭한 이가 열여섯 사람, 마립간이라 칭한 이가 네 사람이다. 신라 말의 이름난 유학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에서는 모두를 왕이라 칭하고 거서간 등으로 칭하지 않았다. 혹시 그 말이 천박하여 칭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여겨서일까? 『좌전(左傳)』과 『한서(漢書)』는 중국의 역사책인데도 오히려 초(楚)나라 말인 '곡오도(穀於菟)', 흉노(匈奴) 말인 '탱리고도(撑犁孤塗)' 등을 그대로 보존하였다. 신라의 일들을 기록함에 그 방언을 그대로 쓰는 것이 또한 마땅하다 본다.
《삼국사기》 제4권 신라본기 제4 지증 마립간
2016년 국가직 7급 시험 한국사 문제 중에서, 제왕연대력을 알지 못하면 답을 알 수 없는 킬러 문제가 출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