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7:07:28

제왕연대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동국통감제강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동사회강대동사강
휘찬려사국조정토록
사략(史略)본조사략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일성록동궁일기
각사등록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응제시주제왕운기
기타삼국유사개황력대사편년
대사기속무정보감국조통기
발해고해동고승전동국병감
단군세가기자지동사
해동명장전단군고기신라고기
백제고기해동고기본국고기
삼한고기고려고기연려실기술
동사보유동국역대총목동사세가
해동역사열조통기동사찬요
기타 실전(失傳)<colbgcolor=#fff,#191919>고구려유기신집
신라국사제왕연대력화랑세기
백제백제기백제신찬
백제본기서기
고려구삼국사가락국기편년통록
왕대종족기성원록금경록
위서(僞書)환단고기규원사화단기고사
부도지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帝王年代歷
1. 개요2. 필사본3. 같이보기

1. 개요

통일신라최치원이 저술한 사서김부식삼국사기를 쓸 때 참고하고 인용하였으나, 현재는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신라 역대 왕의 연대기 혹은 연표로 추정되는데 최치원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등 신라 고유의 왕호를 사용한 초기 군주들도 모두 무슨 왕 무슨 왕이라고 중국식 왕호로 바꿔 기술했고, 훗날 김부식이 이러한 점을 비판하였다. 흔히 김부식은 사대주의자라고 욕을 먹지만 삼국사기의 논평들을 보면 이는 잘못된 생각임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구절이 바로 최치원을 비판하는 이 대목이다.
사관이 논평한다.
신라왕으로서 거서간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차차웅이라 칭한 이가 한 사람, 이사금이라 칭한 이가 열여섯 사람, 마립간이라 칭한 이가 네 사람이다. 신라 말의 이름난 유학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에서는 모두를 왕이라 칭하고 거서간 등으로 칭하지 않았다. 혹시 그 말이 천박하여 칭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여겨서일까? 『좌전(左傳)』과 『한서(漢書)』는 중국의 역사책인데도 오히려 초(楚)나라 말인 '곡오도(穀於菟)', 흉노(匈奴) 말인 '탱리고도(撑犁孤塗)' 등을 그대로 보존하였다. 신라의 일들을 기록함에 그 방언을 그대로 쓰는 것이 또한 마땅하다 본다.
삼국사기》 제4권 신라본기 제4 지증 마립간
조상들이 쓴 왕호가 부끄러운 것도 아니고, 중국 사서들도 조상들이 쓰던 왕호에 대해서는 당대 명칭 그대로 썼는데 최치원은 왜 다 바꿔 썼느냐고 비판한 것.

2016년 국가직 7급 시험 한국사 문제 중에서, 제왕연대력을 알지 못하면 답을 알 수 없는 킬러 문제가 출제됐다.

2. 필사본

오랫동안 소실되었다고 생각했다가 일제강점기에 제왕연대력을 재발견해 그것을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필사본이 있는데, 한글 '에'가 보인다거나 우발수를 '在今寧邊府'라 표시하는 등[1] 있을 수 없는 기록들이 쓰여 위서로 본다. 화랑세기와도 비슷하지만, 화랑세기는 학자들 중에서도 조금이나마 진서론을 미는 사람이 있긴 있는데 이건 미는 사람조차도 없다.

3. 같이보기



[1] 즉, 고주몽 신화에 등장하는 지명 우발수를 "오늘날의 영변부에 있다"라고 적었다는 소리. 영변부는 작금의 영변군이다. 영변부는 15세기 초 연산도호부와 무산현을 합치면서 생겨났기 때문에 최치원의 시대 때는 존재하지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