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07:21:49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역대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P1 COP2 COP3 COP4 COP5
파일:독일 국기.svg
1995 베를린
파일:스위스 국기.svg
1996 제네바
파일:일본 국기.svg
1997 교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98 아르헨티나
파일:독일 국기.svg
1999 본
COP6 COP7 COP8 COP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 헤이그
파일:독일 국기.svg
2001 본
파일:모로코 국기.svg
2001 마라케시
파일:인도 국기.svg
2002 뉴델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3 밀라노
COP10 COP11 COP12 COP13 COP1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4 부에노스아이레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5 몬트리올
파일:케냐 국기.svg
2006 나이로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7 발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2008 포즈난
COP15 COP16 COP17 COP18 COP19
파일:덴마크 국기.svg
2009 코펜하겐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0 칸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1 더반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2 도하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3 바르샤바
COP20 COP21 COP22 COP23 COP24
파일:페루 국기.svg
2014 리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5 파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2016 마라케시
파일:독일 국기.svg
2017 본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8 카토비체
COP25 COP26 COP27 COP28 COP29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9 마드리드
파일:영국 국기.svg
2021 글래스고
파일:이집트 국기.svg
2022 샤름엘셰이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23 두바이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2024 바쿠
COP30 COP31 COP32 COP33 COP34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5 벨렝
파일:국기.svg
2026 미정 (서유럽)
파일:국기.svg
2027 미정 (아프리카)
파일:국기.svg
2028 미정 (아시아태평양)
파일:국기.svg
2029 미정 (동유럽)
리우 회의 체제 교토의정서 체제 파리협정 체제
}}}}}}}}} ||

<colbgcolor=#fff><colcolor=#0c3464>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009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 15 | CMP5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대회 기간 2009년 12월 7일 ~ 12월 18일
개최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코펜하겐 벨라 센터
참가국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국
의장 코니 헤데고르
이전·이후 총회
2008년
포즈난
2009년
코펜하겐
2010년
칸쿤
1. 개요2. 결과3. 사건 사고

1. 개요

2009년 12월 7일부터 12월 18일까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 결과

미국이 주도로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섭씨 2도로 제한하고 선진국개발도상국에 금전적 지원을 하는 코펜하겐 협정을 발표했다.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프리카 연합이 참여를 했으나 만장일치로 통과되지 않아 구속력을 갖추지 못했다.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수단 공화국, 투발루 등은 코판하겐 협정의 목표와 과정에 동의하지 않아 반대표를 던졌다. 또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합의를 보지 못했고 결국, 회의는 실패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3. 사건 사고

에드워드 스노든NSA 기밀자료 폭로사건에 의하면 미국 국가안보국이 이 회의를 도청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