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3년 5월부터 2024년 초까지 개최 예정인 LG배.==# 예선 #==
- 이번 대회도 국가별 선발전으로 예선을 진행하며 한국대표 선발전은 4월 18일 부터 25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선발전 대진표(모바일웹) 선발전 대진표(PC버전) 한국선발전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40초 초읽기 5회로 진행한다.
- 이에 앞서 3월 14일 열린 아마 선발전에서 최환영, 박종욱, 유신성, 임지혁, 송민혁, 신유민 선수가 선발전을 통과하여 연구생 시드로 예선에 출전하는 조상연, 윤서원과 함께 한국 선발전에 출전하게 됐다.
- 중계대국(한프바, 수순, TV(바둑TV) 중계)
날짜 중계 경기 대진 결과 4/19 TV[1] E조 2회전 김은지 금지우 238수 백 불계승 한프바 A조 2회전 신민준 진시영 196수 백 불계승 수순 이창석 조한승 295수 백 반집승 C조 2회전 강지훈 김명훈 276수 백 불계승 G조 2회전 임경찬 서봉수 79수 흑 반칙승 박건호 권효진 181수 흑 불계승 4/20 TV[2] C조 3회전 김명훈 김채영 191수 흑 불계승 한프바 G조 3회전 박건호 정유진 155수 흑 불계승 수순 E조 3회전 이현호 김은지 108수 백 불계승 한우진 안정기 185수 흑 불계승 4/21 TV[A] E조 4회전 홍성지 김은지 211수 흑 불계승 한프바 안성준 백홍석 330수 백 3집반승 수순 A조 4회전 김정현 신민준 168수 백 불계승 G조 4회전 박건호 한상조 206수 백 불계승 4/24 TV[4] B조 준결승 강동윤 박상진 213수 흑 불계승 한프바 E조 준결승 홍무진 홍성지 222수 백 불계승 수순 A조 준결승 김정현 강유택 302수 백 6집반승 B조 준결승 허영호 박영훈 180수 백 불계승 C조 준결승 송지훈 김명훈 350수 흑 반집승 D조 준결승 최광호 한태희 201수 흑 불계승 E조 준결승 안성준 김형우 207수 흑 불계승 G조 준결승 한승주 현유빈 310수 백 반집승 4/25 TV F조 결승[A] 김지석 설현준 219수 흑 불계승 수순 A조 결승 김정현 최민서 174수 백 불계승 B조 결승 박상진 박영훈 240수 백 불계승 C조 결승 김명훈 최정관 174수 백 불계승 D조 결승 원성진 한태희 273수 흑 13집반승 E조 결승 안성준 홍성지 172수 백 불계승 G조 결승 박진솔 한승주 257수 흑 불계승
- 중국 선발전은 3월 랭킹을 기준으로 12명이 2단계로 직행하고 16명이 1단계를 거쳐서서 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4개조 토너먼트로 4명을 선발했다. 대만은 1장의 국가시드를 놓고 선발전을 벌여 라이쥔푸가 선발전을 획득했다. 일본 선발전은 4월 18일에 진행하여 위정치가 본선에 출전하게 됐다. 관련 기사
2. 본선 출전 참가 선수
구분 | 출전 선수 | |
전기 시드 | 딩하오(전기 우승)[16강], 양딩신(전기 준우승)[16강] | |
국가 시드 | 신진서[16강], 박정환[16강], 변상일[16강], 안국현 | |
리쉬안하오, 미위팅 | ||
시바노 도라마루[16강], 쉬자위안 | ||
라이쥔푸 | ||
선발전 통과 | 안성준, 김정현, 김명훈, 한승주, 박상진, 설현준, 한태희 | |
구쯔하오, 리웨이칭, 왕싱하오, 커제[16강] | ||
위정치 | ||
와일드 카드 | 신민준[16강] |
3. 본선
- 이번 대회는 본선 24강부터 전면 대면 대국으로 진행한다. 5월 28일에 대회 개막식이 열린다. 또한 이번 대회는 종전에 24강과 16강 대진을 한꺼번에 추첨으로 정했으나 이번부터 같은 국가끼리 붙는 대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24강 종료 후 16강 대진을 다시 추첨해서 진행하게 된다. 즉, 매 라운드 대진 추첨을 하는 것이다.
- 모든 대국은 오전 10시부터 시작한다.
3.1. 24강
- 날짜: 2023년 5월 29일 (월)
- 장소: 곤지암리조트
- 중계 (괄호안의 대진은 중점 중계 대국)
- 바둑TV - 김지명, 유창혁(김명훈:왕싱하오/안국현:리쉬안하오/김정현:리웨이칭/안성준:쉬자위안[H/L])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안성준:쉬자위안/김정현:리웨이칭[H/L])[14]
- 오로바둑 - 위태웅(안국현:리쉬안하오)
- 타이젬(유튜브) - 배윤진(안성준:쉬자위안/안국현:리쉬안하오)[15]
24강 (2023년 5월 29일 오전 10시 개시) | ||||
한승주 | 181수 흑 불계승 | 라이쥔푸 | ||
한태희 | 220수 백 불계승 | 미위팅 | ||
설현준 | 290수 백 불계승 | 위정치 | ||
김명훈 | 210수 백 불계승 | 왕싱하오 | ||
안국현 | 198수 백 불계승 | 리쉬안하오 | ||
박상진 | 177수 흑 불계승 | 구쯔하오 | ||
안성준 | 222수 백 불계승 | 쉬자위안 | ||
김정현 | 310수 백 불계승 | 리웨이칭 |
- 헌국 선수 가운데는 한승주, 안성준, 김정현이 승리를 거두며 16강에 진출했다. 안성준은 중반에 승기를 잡았고, 한승주는 역전을 한 후엔 라이쥔푸의 대마를 잡았다. 그리고 김정현은 리웨이칭에게 후반에 우세를 잡아서 항복을 받아냈다.
- 안국현과 리쉬안하오의 대국은 중간에 안국현이 대마를 잡을 기회가 있었으나 여러번 놓치면서 결국엔 리쉬안하오가 승리를 거뒀고, 박상진은 구쯔하오에게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한태희는 중반까지 미위팅에게 크게 우세한 상황이었던 바둑을 전개했으나 대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설현준도 역시 위정치에게 역전패를 당했고, 한국랭킹 5위 김명훈은 왕싱하오에게 덜미가 잡히며 아쉬움을 남겼다.
- 24강 진행 결과 중국 4명(미위팅, 왕싱하오, 리쉬안하오, 구쯔하오), 한국 3명(한승주, 안성준, 김정현), 일본 1명(위정치)이 16강에 진춣해 16강은 한국과 중국이 각각 7명, 일본이 2명인 상태로 진행하게 됐다.
3.2. 16강
- 날짜: 2023년 5월 31일 (수)
- 장소: 곤지암리조트
- 중계:
- 바둑TV - 문도원, 박정상(신민준:커제/신진서:리쉬안하오/안성준:양딩신/한승주:딩하오[H/L])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신민준:커제/변상일:위정치[H/L]/신진서:리쉬안하오[H/L])
- 오로바둑 - 홍무진(신진서:리쉬안하오)
- 타이젬(유튜브) - 조혜연(안성준:양딩신)
16강 (2023년 5월 31일 오전 10시 개시) | ||||
리쉬안하오 | 164수 백 불계승 | 신진서 | ||
왕싱하오 | 200수 백 불계승 | 박정환 | ||
위정치 | 215수 흑 불계승 | 변상일 | ||
커제 | 173수 흑 불계승 | 신민준 | ||
한승주 | 184수 백 불계승 | 딩하오 | ||
안성준 | 270수 백 불계승 | 양딩신 | ||
김정현 | 211수 흑 불계승 | 미위팅 | ||
구쯔하오 | 166수 백 불계승 | 시바노 도라마루 |
- 한국은 신진서, 박정환, 변상일, 신민준, 중국은 커제 그리고 전기 우승자 딩하오와 준우승자 양딩신, 일본의 시바노 도라마루가 16강전부터 시작한다.
- 한승주는 전기 우승자 딩하오를 잡아내며 8강에 올라갔다. 중반부터 우세를 잡은 한승주는 이후에는 격차를 벌려가며 결국엔 딩하오의 흑 대마를 잡으며 LG배 첫 8강에 진출했다. 딩하오가 조기에 탈락하며 LG배는 연속 우승자가 나오지 않는 징크스가 이번에도 이어지게 됐다.
- 안성준은 치열한 접전 끝에 전기 준우승자 양딩신을 16강에서 조기에 탈락시키며 8강에 진출했다. 계가까지 갔으면 안성준의 1집반 승리가 유력했으나 양딩신이 돌을 거뒀다. 이로써 이번 LG배는 전기 우승자와 준우승자가 모두 16강에서 탈락했다.
- 신진서는 리쉬안하오에게 지난 해 연말 춘란배에서 당한 패배를 설욕해내며 8강에 진출했다. 팽팽했던 승부에서 리쉬안하오가 비세를 의식해 둔 수로 인해 흑이 엷어져 바둑이 신진서쪽으로 기울어졌다.
- 유일한 한일전 대국으로 열린 변상일과 위정치의 대국에서는 변상일이 초중반 불리했던 바둑을 역전한 후에는 격차를 벌려가며 위정치에게 항복을 받아냈고, 역시 유일하게 진행된 중일전 대국이었던 구쯔하오와 시바노 도라마루의 대국은 구쯔하오가 승리를 거뒀다.
- 박정환과 신민준은 각각 왕싱하오와 커제에게 완패를 당하며 16강에서 탈락했고, 김정현은 미위팅에게 역전패를 당했다. 이로써 16강전 결과 일본은 전원 탈락하고 한중 4:4 구도로 8강전이 펼쳐지게 됐다.
3.3. 8강
8강 (2023년 12월 11일 오전 10시 개시) | ||||
신진서 | 154수 백 불계승 | 구쯔하오 | ||
변상일 | 171수 흑 불계승 | 왕싱하오 | ||
안성준 | 213수 흑 불계승 | 미위팅 | ||
한승주 | 203수 흑 불계승 | 커제 |
- 커제와 대국하는 한승주는 8월 26일(삼성화재배 국내선발전) 대국 이후 107일만의 공식 대국이다.
- 신진서와 구쯔하오의 한중랭킹 1위의 맞대결은 상변에서 초반에 승패가 갈렸다. 초반에 구쯔하오가 상변에서 착오가 나왔고 이를 응징을 하면서 바둑을 초반부터 압도적인 우세 국면을 잡는데 성공한 신진서는 그 이후부터는 완벽하게 바둑을 운영하며 대국시작 3시간 20분 만에 구쯔하오에게 항복을 받아내고 가장 먼저 4강을 확정지었다.
- 변상일은 왕싱하오에게 몰아붙이는 내용으로 완승을 거두어 4강에 진출했다. 변상일은 지난 25회 대회 이후 3년 만에 LG배 4강에 진출했으며, 왕싱하오에게 상대전적 통산 첫 승을 거뒀다.
- 안성준과 한승주는 각각 미위팅과 커제에게 완패를 당하며 8강에서 탈락했다. 이로써 4강은 한중 2:2 구도가 됐다.
3.4. 4강
4강 (2023년 12월 13일 오전 10시 개시) | ||||
신진서 | 251수 흑 1집반승 | 커제 | ||
변상일 | 174수 백 불계승 | 미위팅 |
- 변상일은 미위팅에게 중앙과 좌상에서 우세 국면을 잡아내며 결국 미위팅에게 항복을 받아내고 먼저 결승에 선착했다. 변상일은 자신의 커리어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을 이뤄냈던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 이어 통산 두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동시에 첫 LG배 결승이다.
- 신진서는 커제를 상대로 압도적인 우위 국면을 잡고도 끝낼 수 있는 기회를 놓쳤고, 그 틈을 타 커제가 추격하면서 어려운 바둑으로 이어졌다.[16] 하지만 신진서는 실수를 했지만 냉정하게 수습해내며 결국 계가까지 간 끝에 흑 59집, 백 51집으로 반면 8집, 덤을 줘도 1집반을 남겼다. 이로써 제28회 LG배 결승은 한국 선수끼리의 결승 대결로 펼쳐지며 동시에 2년 만에 LG배 우승컵을 한국이 탈환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3.5. 결승
- 날짜: 2024년 1월 29 / 31일
- 장소: 한국기원 2층 대회장
제28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 3번기 | |||||||||
신진서 | 2 | 0 | 변상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대국 | 흑번 | 백번 | 중계 | |||||
1국 (1/29) | 변상일 | 신진서 | 바둑TV - 문도원, 박정상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수순) - 오유진(1국), 문민종(2국) 타이젬(유튜브) - 최철한(1국), 조혜연(2국) | ||||||
252수 백 불계승 | |||||||||
2국 (1/31) | 신진서 | 변상일 | |||||||
229수 흑 불계승 | |||||||||
3국 (2/1) | - | - | |||||||
2:0으로 종료 되어 해당 사항 없음 | |||||||||
우승 | 신진서 九단 (6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LG배 3회 우승) | }}} |
2년 만에 한국의 LG배 우승이 확정된 가운데 열리는 제28회 LG배 결승은 24회 대회 결승 이후 4년 만에 한국 기사들 간의 결승 대결로 펼쳐지게 됐다. 신진서는 통산 여섯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과 함께 4회 우승을 기록했던 이창호에 이어 역대 두 번째 LG배 3회 우승에 도전하며, 변상일은 통산 두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이자 LG배 첫 우승에 도전하는 3번기이다.
결승 1국은 두 기사가 팽팽한 흐름 속에 전개되었는데 좌하귀에거 변상일이 수를 내려 했으나 돌들이 엷어지면서 바둑이 점차적으로 신진서에게 기울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변상일이 승부수가 통하면서 추격이 되면서 끝내기 승부로 갔는데 끝내기에서 신진서는 우세한 흐름을 잡은 이후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결국 변상일에게 항복을 받아내고 선승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하루 쉬고 열린 2국에서는 중앙에서 변상일이 서둘렀던 것이 통하지 않으며 바둑이 서서히 신진서에게 기울어진 상태로 이어졌고 좌중앙에서 확실히 우위를 잡은 후 추격을 허용했지만 우세한 형세를 결국 마지막까지 지켜낸 끝에 다시 한 번 변상일에게 항복을 받아낸 신진서는 시리즈 전적 2승 무패로 LG배 세 번째 우승과 함께 개인 통산 여섯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LG배 3회 우승은 4회 우승을 달성했던 이창호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그리고 변상일을 상대로도 상대전적을 15연승을 이어갔다.
4. 이야깃거리
- 서봉수 九단이 임경찬 初단과의 예선전에서 79수까지 진행되다가 대국 전에 휴대폰을 보관한다는걸 잊어버리고 도중에 알아채면서 반칙패를 당했다.
- 원성진 九단은 이연 五단에게 3회전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통산 1000승을 달성했다. 역대 17번째 기록이다.
- 한국 선발전 최대 이변은 25회 우승자 신민준 九단의 예선 탈락. 8강에서 김정현 八단에게 덜미가 잡혀서 탈락했다. 또한 20회 대회 우승자이자 전기 4강이었던 강동윤 九단은 예선 준결승에서 박상진 七단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이후 신민준은 와일드카드로 본선에 출전하게 됐다.
- 한국 선발전 결과 선발전 통과자 7명 전원이 1990년 이후 출생자들로 구성됐다. 91년생의 안성준과 김정현, 93년생의 한태희, 96년생의 한승주, 97년생의 김명훈, 99년생 설현준 그리고 2001년생인 박상진이 본선을 통과했는데 이중 한승주, 한태희, 박상진은 처음으로 LG배 본선에 진출했다. 또한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외국 선수들, 와일드카드 신민준까지 해서 이번 LG배는 24강에 출전하는 기사 전원이 1990년 이후 출생자들로 구성됐다.
[1] 캐스터 김지명, 해설 유창혁 九단[2] 캐스터 문도원 三단, 해설 박정상 九단[A] 캐스터 김지명, 해설 박정상 九단[4] 캐스터 문도원 三단, 해설 유창혁 九단[A] [16강] 16강전 부터 시작[16강] [16강] [16강] [16강] [16강] [16강] [16강] [14] 공교롭게도 K바둑은 메인 중계 판으로 안형준 해설의 동생인 안성준 선수의 바둑을 중계했고, 하이라이트로는 장혜연 캐스터의 남편인 김정현 선수의 바둑을 선택했다.[15] 타이젬은 11시 부터 중계를 시작한다.[16] 특히 중반에는 빠르게 시간 공격을 하다가 끝낼 기회를 놓치고 형세가 미세해지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바둑TV 해설을 맡은 유창혁 九단은 승부처에서 너무 빠르게 손이나가는 점은 고쳐야한다고 지적하는 내용의 해설을했다.